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보병(步兵, 영어: infantry, infantrymen)은 주로 소(小)화기를 가지고 전투를 수행하는 병사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며, 육군병과 중 하나를 뜻하기도 한다. 또한 보병전투는 공군, 포병, 기갑 등과의 긴밀한 협동과 지원하에 수행되는 것이 보통이며, 화력과 육박전으로 육상 전투를 한다. 후진국형 군대일 수록 보병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보병의존도가 높은 군대는 조선인민군이다. 조선인민군의 경우, 대장이 차수로 진급하게 되면 해군이나 공군 대장의 경우도 예외없이 육군 보병으로 병과가 전환된다. 실제로도 해군 대장이던 김일철이 차수로 진급하자 해군에서 육군 보병으로 군종과 병과가 전환되었다.

보병의 의의

편집

가장 기본적인 병과로 최소한의 무기와 최대한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현대의 소총수 뿐만 아니라 과거의 검병 및 창병 등도 전부 보병으로 분류되었다. 보병이란 동물이나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탑승할 경우 기병 내지는 기갑이 된다.) 최소한의 무기로 전투를 수행(무기가 월등할 경우 포병이 된다. 과거에는 투석기를 운용하는 병력들도 포병이었다.)하는 병과를 의미한다.

지상전력의 근간이 되며, 적을 공격해서 섬멸하고, 분쟁지역을 점령하거나, 적의 공격을 저지하고 격퇴하여 지역을 방어하는 것이 주임무이다. 보병전투는 전술공군 ·포병 ·기갑 등과의 긴밀한 협동과 지원하에 수행되는 것이 보통이며, 화력과 육박전으로 육상 전투를 한다. 주로 보병은 1~2명이 운반 할 수 있는 소형 화기(개인화기 및 공용화기)를 이용하고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근래에는 보병에게도 상당한 화력, 기동력, 전자 병기가 요구되어 소형의 미사일 병기가 채택되고, 기계화 또는 차량화부대도 생겨났다. 따라서 기계화 보병 또는 차량화 보병을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

장비

편집

일반적으로 소총, 탄약, 대검, 수류탄, 방탄모, 화생방 장비, 감시 장비 등의 개인 장비와 경기관총, 중기관총, 박격포, 대전차화기(로켓포, 무반동총 등), 대공화기 등의 공용화기를 갖추고 있다. 그 외 생활용품으로 여벌의 전투복 및 전투화, 수통, 판초우의, 야전삽 등을 휴대한다.

대한민국

편집

보병 사단의 구성

편집

사단은 단독 작전이 가능한 부대로서 부대 내부에 모든 병과의 직할대 및 예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1개의 보병사단은 사단본부(사단장, 부사단장, 사단 참모장, 비서실장, 전속부관) 및 각 참모부(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교육훈련과, 군수과, 공보정훈과, 군종과), 본부대, 직할대(수색대대, 전차대대, 포병대대, 통신대대, 방공대대, 공병대대, 보급수송대대,신병교육대대, 화생방지원대, 의무근무대, 헌병대, 정비대, 군악대, 토우 중대), 포병연대, 3~4개의 보병연대로 구성된다. 각 참모부에는 담당참모가 처부의 장으로 존재한다. 본부대장은 소령이다.

편제인원은 1or2(장성)/60(영관장교)/500(위관장교)/35(준위)/900(부사관)/9000(병)이다.

  • 사령부
    • 사단본부 - 사단장(소장), 부사단장(대령or준장)[1], 참모장(대령), 비서실장(대위), 전속부관(중위), 주임원사(원사), 비서행정관(상사)
    • 인사처 - 인사참모(중령), 인사과장(소령), 인사장교(대위), 복지행정장교(대위), 상훈장교(중위), 인사담당관(중사), 상훈담당관(중사)
    • 정보처 - 정보참모(중령), 정보과장(소령), 정보장교(대위), 전자전장교(대위), 통역장교(소위), 기상담당장교(중위), 지형분석담당관(준위), 영상해독관(준위), 정보담당관(중사)
      • 보안과 - 보안과장(소령), 보안장교(대위), 보안담당관(중사)
    • 작전처 - 작전참모(중령), 작전과장(소령), 작전장교(대위), 연습장교(대위), 동원장교(대위), 심리전장교(대위), 작전담당관(상사)
      • 작전계획과 - 작전계획과장(소령), 작전계획장교(대위), 기갑장교(대위), 공병장교(대위), 화학장교(대위)
      • 지휘통제과 - 지휘통제과장(대위), 지휘통제장교(중위, 2명 이상 편제)[2],
    • 교육훈련처 - 교육훈련참모(중령), 교육훈련과장(소령), 교육훈련장교(대위), 교육훈련담당관(중사), 태권도심사담당관(중사)
    • 군수처 - 군수참모(중령), 군수과장(소령), 군수장교(중위), 군수담당관(중사)
      • 보급과 - 보급과장(소령), 보급장교(중위), 탄약장교(대위), 탄약담당관(준위), 보급담당관(중사)
    • 공보정훈처 - 공보정훈참모(소령), 공보정훈장교(중위), 공보정훈교육담당관(상사)
    • 군종처 - 군종참모(소령), 목사(개신교, 중위), 신부(천주교, 대위)[3], 법사(불교, 중위), 천주교,불교,개신교담당관(각 중사)
  • 직할대대
    • 수색대대 - 대대장(중령)
    • 전차대대 - 대대장(중령)
    • 포병대대 - 대대장(중령)
    • 통신대대 - 대대장(중령)
    • 방공대대 - 대대장(중령)
    • 공병대대 - 대대장(중령)
    • 보급수송대대 - 대대장(중령)
    • 신병교육대대 - 대대장(중령)
    • 화생방지원대 - 화생방지원대장(소령)
    • 의무근무대 - 의무근무대장(소령)
    • 헌병대 - 헌병대장(소령)
    • 정비대대 - 정비대대(중령)
    • 군악대 - 군악대장(대위)
    • 토우중대 - 토우중대장(대위)
  • 보병연대 3개
  • 포병연대 1개

보병 연대의 구성

편집

2020년 12월 1일을 기해 보병사단 예하의 연대(보병연대, 포병연대)는 모두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아래 기술된 연대본부 및 직할중대 편성은 2020년 11월 30일 이전 기준이다.

보병연대는 3개의 보병대대 수개의 직할대로 구성 된다. 연대 본부(연대장, 주임원사) 및 각 참모부(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와 본부중대, 직할대(수색중대, 지원중대, 의무중대, 통신중대, 수송대) 및 3개의 보병대대로 구성된다. 각 참모부(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에서는 담당참모가 처부의 장으로 존재한다. 본부중대장은 대위이다. 의무중대는 군의관이 중대장을 겸직하고 있다. 수송대는 각종 차량과 차량 정비를 위해 구성 되며 수송대장은 준위이다.

편제인원은 0(장성)/14(영관장교)/120(위관장교)/2(준위)/210(부사관)//2400(병)이다.

  • 연대본부
    • 본부 - 연대장(대령), 부연대장(중령), 주임원사(원사)
    • 인사과 - 인사과장(소령), 인사장교(대위), 인사담당관(중사), 상벌담당관(중사)
    • 정보과 - 정보과장(소령), 정보장교(대위), 보안담당관(중사), 지형분석담당관(중사)
    • 작전과 - 작전과장(소령), 작전장교(대위), 교훈장교(중위), 공보정훈장교(중위), 교육지원담당관(중사)
    • 군수과 - 군수과장(소령), 군수장교(대위), 병기담당관(준위), 보급급양관(상사), 탄약반장(중사 or 하사) ,급양관리관/취사반장(중사, 하사)
  • 직할중대
    • 본부중대 - 본부중대장(대위)
    • 수색중대 - 수색중대장(대위)
    • 전투지원중대 - 전투지원중대장(대위)
    • 의무중대 - 의무중대장(대위)
    • 통신대 - 통신대장(대위)[4]
    • 수송대 - 수송대장(준위)
  • 보병대대 3개

보병 여단의 구성

편집

2020년 12월 1일자로 개편된 사단 예하 보병 여단의 편성은 아래와 같다.[5] 연대를 여단으로 개칭한 후, 편성과 장비를 순차적으로 개편중이므로 일부 여단은 기존 보병연대 편성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 여단본부 : 참모부
  • 직할중대/직할대
    • 본부중대
    • 정보중대 : 기존 수색중대를 확대 개편 (드론을 활용한 공중정찰 기능 추가)
    • 의무중대
    • 통신중대
    • 여단 포병대 : 기존 전투지원중대를 확대 개편 (차량탑재형 105㎜ 자주곡사포 또는 155mm 자주포 장비)
  • 여단 군수지원대대 : 기존 연대 수송대 전력에 기존 사단의 보급 및 정비부대의 인력과 자원을 결합하여 편성
    • 대대본부
    • 정비중대
    • 보급수송중대
  • 3개 보병대대 (대대 편성에도 일부 변화 있음)

보병 대대의 구성

편집

1개의 보병 대대는 대대 본부(대대장, 주임원사) 및 각 참모부(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 본부중대와 1개의 화기중대, 3개의 보병중대로 구성된다. 각 참모부(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에서는 담당참모가 처부의 장으로 존재한다. 본부중대는 2개의 소대 3개의 반으로 이루어져있는데 통신소대, 전투소대, 취사반, 탄약반, 저격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부중대의 실질적인 전투력은 전투소대밖에 없다. 다만 본부중대장의 계급이 다른 중대장과는 달리 중위인 관계로 어떤 경우에는 본부중대장과 그 예하의 통신소대장의 계급이 같은 경우도 가끔 발생된다. 전투소대장은 상사나 중사로 편제되어 있으며 대대본부와, 본부중대를 경비를 담당하는 소대이다. 화기중대는 주로 3개의 81mm박격포 소대와 1개의 직사화기소대(90mm 무반동총 분대 2개, K4 고속유탄기관총 분대 2개)로 구성 된다.

편제인원은 0(장성)/2(영관장교)/29(위관장교)/55(부사관)/400(병)이다.

  • 대대본부 - 대대장(중령), 부대대장(소령), 주임원사(원사)
  • 인사과 - 인사과장(대위), 인사장교(중위), 군기강담당관(중사)
  • 정보과 - 정보과장(대위), 정보장교(중위), 보안담당관(중사)
  • 작전과 - 작전과장(소령/대위), 작전장교(중위), 공보정훈장교(중위), 교육지원담당관(중사)
  • 군수과 - 군수과장(대위), 군수장교(중위), 탄약반장(상사or중사), 보급급양관(상사or중사), 급양관리관/취사반장(상사, 중사)
  • 본부중대 - 본부중대장(중위), 통신소대장(중위), 본부중대 행정보급관(원사, 상사), 전투소대장(상사, 중사)
    • 통신소대 - 통신소대장(중위), 통신부소대장(상사, 중사), 유선반장(하사), 무선반장(하사), 처부소대장(예비역 중사)
    • 전투소대 - 전투소대장(상사, 중사), 전투1분대장(하사), 전투2분대장(병장, 상병)
    • 처부소대 - 처부소대장(예비역 중사)
  • 3개 소총중대(Rifle Company)
  • 1개 화기중대(Weapons Company)

보병 중대의 구성

편집

보병 중대는 소총 중대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1개의 보병 중대는 중대 본부와 3개의 소총 소대, 포반으로 구성된다. 중대 본부에 부중대장은 평시에는 없는 보직이나, 전시가 되면 예비역 중위가 부중대장에 보임 된다. 3개의 소총 소대와 포반으로 1개 중대가 구성된다. 편제인원은 0(장성)/0(영관장교)/5(위관장교)/0(준위)/11(부사관)/100(병)이다.

  • 중대본부 - 중대장(대위), 부중대장(예비군 중위), 행정보급관(상사), 통신병 2명, 인사병, 보급병, 작전화학병(병기)
  • 소대 3개 - 소대장(소위), 부소대장(중사)
  • 포반 - 포반장(하사)

보병 소대의 구성

편집

보병 소대는 소총 소대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1개의 보병 소대는 소대 본부와 3개의 소총 분대로 구성된다.

편제인원은 0(장성)/0(영관장교)/1(위관장교)/0(준위)/3(부사관)/28(병)이다.

  • 소대 본부 - 소대장(소위, 중위), 부소대장(중사), 기관총 사수 2명, 부사수 2명, 통신병 겸 전령
  • 분대 3개 - 분대장(하사, 병장, 상병), 부분대장(병장, 상병)

보병 분대의 구성

편집

보병 분대는 소총 분대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1개의 보병 분대는 다음과 같다.[6]

편제인원은 0(장성)/0(영관장교)/0(위관장교)/0(준위)/1(부사관)/9(병)이다.

  • 분대 - 분대장(하사, 병장, 상병), 부분대장(병장, 상병)
  • 소총수 4명(2명은 예비군), 유탄수 2명, 기관총 사수 1명, 기관총 부사수 1명

기타

편집

한 때 대한민국 해군에도 보병 병과가 있었다. 바로 대한민국 해병대가 해체되면서 그 인원을 흡수한 해군이 원래 해병대였던 인원들을 해군 보병으로 편성했다. 대한민국 해병대가 재창설된 이후 해군에서 보병 병과는 폐지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일반적으로 1명이 보직되어야 정상이지만 군 고급간부의 적체현상으로 인하여 상당수의 장포대(장군 진급 포기 대령)가 이 보직을 할당받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1개 사단에 5명까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2. 한명은 사단 사령부에 근무하고 다른 한명은 군단 사령부에 파견가서 상주한다.
  3. 가톨릭신학대학교의 특성 때문인데 2학년을 수료하면 병사로 군복무를 한 이후 졸업 이후 다시 군종신부로 한번 더 군복무한다. 이에 국방부에서는 병으로서의 군경력을 인정하여 대위로 임관시키는 것이다.
  4. 상황에 따라서는 통신중대(통신중대장) 편성
  5. “<기사> 육군 '연대를 여단으로' 전투 기동력 높였다”. 《경향신문》. 2021년 2월 22일. 
  6. 2020년대 중반부터 1개 분대 편제를 기존 10명에서 8명으로 조정하는 부대 구조 개편안이 확정 및 순차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