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 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
||
(사용자 10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
|||
{{성소수자}} |
{{성소수자}} |
||
{{의사과학}} |
{{의사과학}} |
||
[[파일:Countries banning conversion therapy.svg|섬네일|{{범례|Navy|모든 전환 치료를 법으로 금지}} |
|||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또는 '''성적 지향 전환 치료''', '''동성애 치료'''(Gay cure)란 개인의 [[성적 지향]]을 [[동성애]]나 [[양성애]]에서 [[이성애]]로 전환한다고 주장하는 치료법으로, 주요 학계에서 [[사이비과학]]으로 비판받고 있다.<ref name=Haldeman>{{웹 인용 | url=http://drdoughaldeman.com/doc/Pseudo-Science.pdf | title=The Pseudo-science of Sexual Orientation Conversion Therapy | publisher=Institute for Gay and Lesbian Strategic Studies | work=Angles | date=December 1999 | accessdate=January 31, 2015 | author=Haldeman, Douglas C.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107155046/http://drdoughaldeman.com/doc/Pseudo-Science.pdf | 보존날짜=2018-01-07 | url-status=dead }}</ref><ref name=ISPN>{{웹 인용 | url=http://www.ispn-psych.org/docs/PS-ReparativeTherapy.pdf | title=Position Statement On Reparative Therapy | publisher=International Society of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es (ISPN) | accessdate=January 31, 2015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517042600/http://www.ispn-psych.org/docs/PS-ReparativeTherapy.pdf | 보존날짜=2017년 5월 17일 | url-status=dead }}</ref><ref name=APA-Answers>{{웹 인용| url=http://www.apa.org/topics/lgbt/orientation.aspx | title=Answers to Your Ques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exual Orientation and Homosexuality | publisher=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date=2008 | accessdate=January 31, 2015}}</ref><ref>{{harvnb|Ford|2001}}</ref> 전환 치료는 많은 국가와 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으며,<ref name="DrescherandZucker">{{Harvnb|Drescher|Zucker|2006|pp=126, 175}}</ref> 주류 [[정신의학]]과 [[심리학]], [[행동과학]], [[사회과학]]계는 동성애도 정상적이고 건강한 성적 지향 중 하나로 전환 치료는 효과가 전혀 입증되지 않았으며 유해하다고 결론내렸다.<ref name="apa2009">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www.apa.org/about/governance/council/policy/sexual-orientation.aspx Resolution on Appropriate Affirmative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Distress and Change Efforts]</ref><ref name="Psych">{{인용 |url=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spx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110120228/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spx |archivedate=2011-01-10 |title=Position Statement on Therapies Focused on Attempts to Change Sexual Orientation (Reparative or Conversion Therapies) |accessdate=2007-08-28 |date=May 2000 |publisher=[[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format=PDF }} archived from [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aspx the original] {{웨이백|url=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aspx |date=20080910045820 }}</ref><ref name="APA">{{인용|url=http://www.apa.org/pi/lgbt/resources/just-the-facts.pdf |title=Just the Facts About Sexual Orientation & Youth: A Primer for Principals, Educators and School Personnel |accessdate=2010-05-14 |year=1999 |publisher=Just the Facts Coalition}}</ref><ref>{{Harvnb|Haldeman|1991|pp=149,156–159}}</ref><ref name="NewAPA">{{인용|url=http://www.apa.org/pi/lgbt/resources/therapeutic-response.pdf |format=PDF |title=Repor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Appropriate Therapeutic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accessdate=2009-09-24 |first=JM |last=Glassgold | author2=et al. |publisher=[[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ate=2009-08-01 }}</ref><ref name="Memorandum">{{인용|url=http://www.psychotherapy.org.uk/UKCP_Documents/policy/MoU-conversiontherapy.pdf|title=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Conversion Therapy in the UK|accessdate=2015-01-19|date=January 2015|format=PDF}}</ref><ref name="GMC">{{인용|url=http://www.gmc-uk.org/news/26043.asp|title=General Medical Council supports Memorandum on conversion therapy in the UK|accessdate=2015-01-19|date=January 2015}}</ref><ref name="PSA">{{인용|url=http://www.professionalstandards.org.uk/footer-pages/news-and-media/latest-news/news-article?id=db1f5a9e-2ce2-6f4b-9ceb-ff0000b2236b|title=Professional Standards Authority supports action by Accredited Registers on Conversion Therapy|accessdate=2015-01-19|date=January 2015}}</ref> 어떤 주류 정신의학계도 전환 치료에 대한 허가를 내주지 않으며, 해당 행위의 부작용과 악영향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glad.org/uploads/docs/cases/2009-11-17-doma-aff-herek.pdf|archiveurl=https://www.webcitation.org/5sEshQkXj?url=http://www.glad.org/uploads/docs/cases/2009-11-17-doma-aff-herek.pdf|archivedate=2010-08-25|title=Expert affidavit of Gregory M. Herek, Ph.D.|format=PDF|accessdate=2010년 8월 24일|url-status=dead}}</ref><ref name=royal2009>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http://www.rcpsych.ac.uk/press/pressreleasearchives/2009/statement.aspx Statement from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Gay and Lesbian Mental Health Special Interest Group]{{ {{웨이백|url=http://www.rcpsych.ac.uk/press/pressreleasearchives/2009/statement.aspx |date=20100527055029 }}</ref><ref name="aps">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https://archive.is/20120529134851/www.psychology.org.au/publications/tip_sheets/orientation/ Sexual orientation and homosexuality]{{깨진 링크|date=April 2014}}</ref> 미국 심리학회와 영국 정신과의사 학회는 전환 치료에 대해 과학 및 의학적으로 지지해줄 수 없으며, 편견과 차별에 기반한 바보같은 행위라고 비판하였다.<ref name="royal2009"/><ref name="apaexgay">{{웹 인용|url=http://www.apa.org/pi/lgbt/resources/policy/ex-gay.pdf |title=Statemen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format=PDF |accessdate= 2010년 8월 24일}}</ref> |
|||
{{범례|#0000ff|의료인의 전환 치료 금지}} |
|||
{{범례|Gold|현재 전환 치료 금지가 추진 중}} |
|||
{{범례|LightGrey|전환 치료에 대한 법적 규제 없음}}]] |
|||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또는 '''성적 지향 전환 치료''', '''동성애 치료'''(Gay cure)란 개인의 [[성적 지향]]을 [[동성애]]나 [[양성애]]에서 [[이성애]]로 전환한다고 주장하는 치료법으로, 주요 학계에서 [[사이비과학]]으로 비판받고 있다.<ref name=Haldeman>{{웹 인용 | url=http://drdoughaldeman.com/doc/Pseudo-Science.pdf | title=The Pseudo-science of Sexual Orientation Conversion Therapy | publisher=Institute for Gay and Lesbian Strategic Studies | work=Angles | date=December 1999 | accessdate=January 31, 2015 | author=Haldeman, Douglas C.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107155046/http://drdoughaldeman.com/doc/Pseudo-Science.pdf | 보존날짜=2018-01-07 | url-status=dead }}</ref><ref name=ISPN>{{웹 인용 | url=http://www.ispn-psych.org/docs/PS-ReparativeTherapy.pdf | title=Position Statement On Reparative Therapy | publisher=International Society of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es (ISPN) | accessdate=January 31, 2015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517042600/http://www.ispn-psych.org/docs/PS-ReparativeTherapy.pdf | 보존날짜=2017년 5월 17일 | url-status=dead }}</ref><ref name=APA-Answers>{{웹 인용| url=http://www.apa.org/topics/lgbt/orientation.aspx | title=Answers to Your Ques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exual Orientation and Homosexuality | publisher=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date=2008 | accessdate=January 31, 2015}}</ref><ref>{{harvnb|Ford|2001}}</ref> 전환 치료는 많은 국가와 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으며,<ref name="DrescherandZucker">{{Harvnb|Drescher|Zucker|2006|pp=126, 175}}</ref> 주류 [[정신의학]]과 [[심리학]], [[행동과학]], [[사회과학]]계는 동성애도 정상적이고 건강한 성적 지향 중 하나로 전환 치료는 효과가 전혀 입증되지 않았으며 유해하다고 결론내렸다.<ref name="apa2009">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www.apa.org/about/governance/council/policy/sexual-orientation.aspx Resolution on Appropriate Affirmative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Distress and Change Efforts]</ref><ref name="Psych">{{인용 |url=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spx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110120228/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spx |archivedate=2011-01-10 |title=Position Statement on Therapies Focused on Attempts to Change Sexual Orientation (Reparative or Conversion Therapies) |accessdate=2007-08-28 |date=May 2000 |publisher=[[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format=PDF }} archived from [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aspx the original] {{웨이백|url=http://www.psych.org/Departments/EDU/Library/APAOfficialDocumentsandRelated/PositionStatements/200001a.aspx |date=20080910045820 }}</ref><ref name="APA">{{인용|url=http://www.apa.org/pi/lgbt/resources/just-the-facts.pdf |title=Just the Facts About Sexual Orientation & Youth: A Primer for Principals, Educators and School Personnel |accessdate=2010-05-14 |year=1999 |publisher=Just the Facts Coalition}}</ref><ref>{{Harvnb|Haldeman|1991|pp=149,156–159}}</ref><ref name="NewAPA">{{인용|url=http://www.apa.org/pi/lgbt/resources/therapeutic-response.pdf |format=PDF |title=Repor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Appropriate Therapeutic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accessdate=2009-09-24 |first=JM |last=Glassgold | author2=et al. |publisher=[[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ate=2009-08-01 }}</ref><ref name="Memorandum">{{인용|url=http://www.psychotherapy.org.uk/UKCP_Documents/policy/MoU-conversiontherapy.pdf|title=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Conversion Therapy in the UK|accessdate=2015-01-19|date=January 2015|format=PDF}}</ref><ref name="GMC">{{인용|url=http://www.gmc-uk.org/news/26043.asp|title=General Medical Council supports Memorandum on conversion therapy in the UK|accessdate=2015-01-19|date=January 2015|archive-date=2017-09-2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923011704/http://www.gmc-uk.org/news/26043.asp}}</ref><ref name="PSA">{{인용|url=http://www.professionalstandards.org.uk/footer-pages/news-and-media/latest-news/news-article?id=db1f5a9e-2ce2-6f4b-9ceb-ff0000b2236b|title=Professional Standards Authority supports action by Accredited Registers on Conversion Therapy|accessdate=2015-01-19|date=January 2015|archive-date=2015-05-05|archive-url=http://webarchive.nationalarchives.gov.uk/20150505175118/http://www.professionalstandards.org.uk/footer-pages/news-and-media/latest-news/news-article?id=db1f5a9e-2ce2-6f4b-9ceb-ff0000b2236b}}</ref> 어떤 주류 정신의학계도 전환 치료에 대한 허가를 내주지 않으며, 해당 행위의 부작용과 악영향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glad.org/uploads/docs/cases/2009-11-17-doma-aff-herek.pdf|archiveurl=https://www.webcitation.org/5sEshQkXj?url=http://www.glad.org/uploads/docs/cases/2009-11-17-doma-aff-herek.pdf|archivedate=2010-08-25|title=Expert affidavit of Gregory M. Herek, Ph.D.|format=PDF|accessdate=2010년 8월 24일|url-status=dead}}</ref><ref name=royal2009>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http://www.rcpsych.ac.uk/press/pressreleasearchives/2009/statement.aspx Statement from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Gay and Lesbian Mental Health Special Interest Group]{{ {{웨이백|url=http://www.rcpsych.ac.uk/press/pressreleasearchives/2009/statement.aspx |date=20100527055029 }}</ref><ref name="aps">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https://archive.today/20120529134851/www.psychology.org.au/publications/tip_sheets/orientation/ Sexual orientation and homosexuality]{{깨진 링크|date=April 2014}}</ref> 미국 심리학회와 영국 정신과의사 학회는 전환 치료에 대해 과학 및 의학적으로 지지해줄 수 없으며, 편견과 차별에 기반한 바보같은 행위라고 비판하였다.<ref name="royal2009"/><ref name="apaexgay">{{웹 인용|url=http://www.apa.org/pi/lgbt/resources/policy/ex-gay.pdf |title=Statemen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format=PDF |accessdate= 2010년 8월 24일}}</ref> |
|||
전환 치료의 주요 지지자들은 보수 [[근본주의]] [[기독교]]계이다.<ref name="Yoshino">{{Harvnb|Yoshino|2002}}</ref> 이들 다수는 근본주의 종교적 이해관계에 놓여있는 비중립적 단체인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의 조언에 따라 전환 치료를 운영하고 있다.<ref name="Yoshino" /> 전환 치료는 환자에게 동성애와 관련된 매체를 보여줄 때마다 [[손]] 또는 [[성기]]에 전기 충격을 가하거나 불쾌한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혐오 요법]]과 [[자위]] 억제, 단체 기도·토론, 정신 분석 상담 등을 포함한다.<ref name="haldeman">{{Harvnb|Haldeman|2002|pp=260–264}}</ref> |
전환 치료의 주요 지지자들은 보수 [[근본주의]] [[기독교]]계이다.<ref name="Yoshino">{{Harvnb|Yoshino|2002}}</ref> 이들 다수는 근본주의 종교적 이해관계에 놓여있는 비중립적 단체인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의 조언에 따라 전환 치료를 운영하고 있다.<ref name="Yoshino" /> 전환 치료는 환자에게 동성애와 관련된 매체를 보여줄 때마다 [[손]] 또는 [[성기]]에 전기 충격을 가하거나 불쾌한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혐오 요법]]과 [[자위]] 억제, 단체 기도·토론, 정신 분석 상담 등을 포함한다.<ref name="haldeman">{{Harvnb|Haldeman|2002|pp=260–264}}</ref> |
||
8번째 줄: | 13번째 줄: | ||
[[정신분석학]]이 태동하던 20세기 초에는 동성애를 병으로 보지 않았으며, 성적 지향이 전환 가능한지 또한 그런 치료나 방법이 윤리적인지를 중점으로 논해졌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모든 사람은 양성애자로 태어나며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이성애자나 동성애자로 정해진다고 믿었다.<ref name="Ruse">{{Harvnb|Ruse|1988|p=22}}</ref> 그는 성적 지향 전환이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 한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미 이성애자 혹은 동성애자로 확정된 사람의 성적 지향은 바꿀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ref name="ErnstLFreud">{{Harvnb|Freud|1992|pp=423–424}}</ref> |
[[정신분석학]]이 태동하던 20세기 초에는 동성애를 병으로 보지 않았으며, 성적 지향이 전환 가능한지 또한 그런 치료나 방법이 윤리적인지를 중점으로 논해졌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모든 사람은 양성애자로 태어나며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이성애자나 동성애자로 정해진다고 믿었다.<ref name="Ruse">{{Harvnb|Ruse|1988|p=22}}</ref> 그는 성적 지향 전환이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 한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미 이성애자 혹은 동성애자로 확정된 사람의 성적 지향은 바꿀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ref name="ErnstLFreud">{{Harvnb|Freud|1992|pp=423–424}}</ref> |
||
1920년대가 되면서 정신분석학계는 동성애를 일종의 병으로 추정하여 전환 치료를 적절한 것으로 취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를 주장한 학자로는 [[페렌치 샨도르]]와 [[안나 프로이트]], [[멜라니 클라인]], [[에드먼드 버글러]]등이 있다. 이후 2차 세계 대전 등을 거치면서 동성애는 치료가 불가능한 성적 도착증으로 여겨졌다. 이 시기에 많은 게이 환자들은 조롱과 학대의 피해자가 되었다.<ref name="Lewes">{{Harvnb|Lewes|1988}}</ref> 1952년 동성애를 정신병으로 분류한 [[미국 정신의학 협회]]의 첫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이 발표되었다.<ref name="RonaldBayer" /> 이에 따라 1939년의 프로이트 사후부터 [[스톤월 항쟁]]이 일어난 1969년까지 즉 약 30년간 많은 국가에서 전환 치료가 허용되었다.<ref name="Drescher">{{Harvnb|Drescher|1998|pp=19–42}}</ref> |
1920년대가 되면서 정신분석학계는 동성애를 일종의 병으로 추정하여 전환 치료를 적절한 것으로 취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를 주장한 학자로는 [[페렌치 샨도르]]와 [[안나 프로이트]], [[멜라니 클라인]], [[에드먼드 버글러]] 등이 있다. 이후 2차 세계 대전 등을 거치면서 동성애는 치료가 불가능한 성적 도착증으로 여겨졌다. 이 시기에 많은 게이 환자들은 조롱과 학대의 피해자가 되었다.<ref name="Lewes">{{Harvnb|Lewes|1988}}</ref> 1952년 동성애를 정신병으로 분류한 [[미국 정신의학 협회]]의 첫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이 발표되었다.<ref name="RonaldBayer" /> 이에 따라 1939년의 프로이트 사후부터 [[스톤월 항쟁]]이 일어난 1969년까지 즉 약 30년간 많은 국가에서 전환 치료가 허용되었다.<ref name="Drescher">{{Harvnb|Drescher|1998|pp=19–42}}</ref> |
||
1950년대에 들어 [[알프레드 킨제이]], [[에블린 후커]]등 동성애도 이성애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이고 건강한 성적 지향의 하나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ref name="MKirby">{{Harvnb|Kirby|2003|pp=674–677}}</ref> 스톤월 항쟁 이후 미국을 비롯 세계 곳곳에서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벌여졌으며, 전환 치료는 운동가들에게 공개적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미국 정신의학 협회는 1974년 학술대회에서 동성애가 정신병이 아니라고 확정하였다.<ref name="RonaldBayer">{{Harvnb|Bayer|1987|p=}}</ref> 그러나 전환 치료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였고, 로버트 크로네메이어와 헤라르트 J. M. 반 덴 아드베흐 같은 몇몇 학자 및 근본주의 기독교계 중심으로 전환 치료 연구가 지속되었다. 1992년에는 동성애가 치료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세명의 심리학자 조셉 니콜로시와 찰스 소키라이즈, 벤자민 카우프먼이 주류 학계에 반발하며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를 설립하였다. |
1950년대에 들어 [[알프레드 킨제이]], [[에블린 후커]]등 동성애도 이성애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이고 건강한 성적 지향의 하나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ref name="MKirby">{{Harvnb|Kirby|2003|pp=674–677}}</ref> 스톤월 항쟁 이후 미국을 비롯 세계 곳곳에서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벌여졌으며, 전환 치료는 운동가들에게 공개적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미국 정신의학 협회는 1974년 학술대회에서 동성애가 정신병이 아니라고 확정하였다.<ref name="RonaldBayer">{{Harvnb|Bayer|1987|p=}}</ref> 그러나 전환 치료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였고, 로버트 크로네메이어와 헤라르트 J. M. 반 덴 아드베흐 같은 몇몇 학자 및 근본주의 기독교계 중심으로 전환 치료 연구가 지속되었다. 1992년에는 동성애가 치료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세명의 심리학자 조셉 니콜로시와 찰스 소키라이즈, 벤자민 카우프먼이 주류 학계에 반발하며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를 설립하였다. |
||
2001년 미국의 [[의무감]] 데이빗 새처 박사는 성적 지향을 인위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어떤 과학적, 의학적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보고서를 발행하였다.<ref name="SurgeonGeneral">{{인용|url=http://www.surgeongeneral.gov/library/sexualhealth/call.htm#III |title="The Surgeon General's call to Action to Promote Sexual Health and Responsible Sexual Behavior", A Letter from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ccessdate=2007-03-29 |publisher=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ref> 같은 해 로버트 스피처는 전환 치료를 통해 동성애자가 이성애자로 바뀔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지만,<ref>{{인용|url=http://www.springerlink.com/content/rk67865783602411/ |title=Can Some Gay Men and Lesbians Change Their Sexual Orientation? |publisher=Archive of Sexual Behavior |volume |
2001년 미국의 [[의무감]] 데이빗 새처 박사는 성적 지향을 인위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어떤 과학적, 의학적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보고서를 발행하였다.<ref name="SurgeonGeneral">{{인용 |url=http://www.surgeongeneral.gov/library/sexualhealth/call.htm#III |title="The Surgeon General's call to Action to Promote Sexual Health and Responsible Sexual Behavior", A Letter from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ccessdate=2007-03-29 |publisher=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rchive-date=2007-02-20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220184835/http://www.surgeongeneral.gov/library/sexualhealth/call.htm#III }}</ref> 같은 해 로버트 스피처는 전환 치료를 통해 동성애자가 이성애자로 바뀔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지만,<ref>{{인용 |url=http://www.springerlink.com/content/rk67865783602411/ |title=Can Some Gay Men and Lesbians Change Their Sexual Orientation? |publisher=Archive of Sexual Behavior |volume=32 |issue=5 |year=2001 |format= }}{{깨진 링크|url=http://www.springerlink.com/content/rk67865783602411/ }}</ref> 2012년 자신의 논문을 철회하고, 검증되지 않은 치료 방법이 효과 있다고 오도하던 것에 대해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사과하였다.<ref name="spitzer1">{{뉴스 인용| url=http://prospect.org/article/my-so-called-ex-gay-life/| work=The American Prospect | title=My So-Called Ex-Gay Life| date=April 11, 2012}}</ref> [[미국정신분석협회]]는 2004년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를 강력히 비판했으며,<ref>{{인용|last=Crow |first=C. |date=2004-11-20 |title=Irate reader's expert on gays has drawn fire from his peers |publisher=[[San Antonio Express-News]]}}</ref> [[미국 심리학회]]와 [[미국 상담학회]]는 전환 치료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히고<ref name=Apa2009>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www.apa.org/about/policy/sexual-orientation.aspx Resolution on Appropriate Affirmative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Distress and Change Efforts]</ref> 회원 단체와 의사, 상담가 등에게 전환 치료를 삼가토록 하는 윤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ref name="Psych" /> |
||
2016년 [[세계 정신의학 협회]]는 전환 치료가 비과학적, 비윤리적이며 효과도 없고 유해하기만 하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www.wpanet.org/uploads/WPA_Position_statement_on_same_sex_FINAL-21March2016.pdf |제목=WPA Position Statement on Gender Identity and Same-Sex Orientation, Attraction, and Behaviours |확인날짜=2016-03-23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1235038/http://www.wpanet.org/uploads/WPA_Position_statement_on_same_sex_FINAL-21March2016.pdf |보존날짜=2016-04-01 |url-status=dead }}</ref> |
2016년 [[세계 정신의학 협회]]는 전환 치료가 비과학적, 비윤리적이며 효과도 없고 유해하기만 하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www.wpanet.org/uploads/WPA_Position_statement_on_same_sex_FINAL-21March2016.pdf |제목=WPA Position Statement on Gender Identity and Same-Sex Orientation, Attraction, and Behaviours |확인날짜=2016-03-23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1235038/http://www.wpanet.org/uploads/WPA_Position_statement_on_same_sex_FINAL-21March2016.pdf |보존날짜=2016-04-01 |url-status=dead }}</ref> |
||
18번째 줄: | 23번째 줄: | ||
== 이론과 요법 == |
== 이론과 요법 == |
||
=== 행동 수정 === |
=== 행동 수정 === |
||
{{ |
{{참고|행동 수정}} |
||
더글라스 홀드먼은 자신의 저서《게이 남성과 레즈비언을 위한 성적 지향 전환 치료 : 과학적 조사》에서 환자에게 동성애와 관련된 매체를 보여줄 때엔 전기 충격이나 불쾌한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혐오 요법을 사용하고 이성애와 관련된 매체에선 혐오 요법을 중단하는 방법을 통해 이성애적 기질을 강화하여 58%의 성공률로 동성애를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되는 당대 전환 치료 기법에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ref name="haldeman2">{{Harvnb|Haldeman|1991|p=152}}</ref> 홀드먼은 이 치료 기법을 '[[고문]]'이라고 부르면서, 동성애자를 이성애자로 만드는 효과는 없고 환자가 자신의 성적 지향에 대해 창피해하고 두려워하게 만들기만한다고 비판하였다.<ref name="haldeman2" /> 그는 손과 성기 등 신체에 가하는 전기 충격과 불쾌한 약물 투여, 자위 억제, 시각화 등 이런 모든 방법은 '동성애는 습득된 행동'이라는 발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하였다.<ref name="haldeman"/> |
더글라스 홀드먼은 자신의 저서《게이 남성과 레즈비언을 위한 성적 지향 전환 치료 : 과학적 조사》에서 환자에게 동성애와 관련된 매체를 보여줄 때엔 전기 충격이나 불쾌한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혐오 요법을 사용하고 이성애와 관련된 매체에선 혐오 요법을 중단하는 방법을 통해 이성애적 기질을 강화하여 58%의 성공률로 동성애를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되는 당대 전환 치료 기법에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ref name="haldeman2">{{Harvnb|Haldeman|1991|p=152}}</ref> 홀드먼은 이 치료 기법을 '[[고문]]'이라고 부르면서, 동성애자를 이성애자로 만드는 효과는 없고 환자가 자신의 성적 지향에 대해 창피해하고 두려워하게 만들기만한다고 비판하였다.<ref name="haldeman2" /> 그는 손과 성기 등 신체에 가하는 전기 충격과 불쾌한 약물 투여, 자위 억제, 시각화 등 이런 모든 방법은 '동성애는 습득된 행동'이라는 발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하였다.<ref name="haldeman"/> |
||
=== 탈동성애 전도 === |
=== 탈동성애 전도 === |
||
{{ |
{{참고|탈동성애 운동}} |
||
탈동성애 전도는 임상적인 치료 요법을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동성간 관계를 시작하거나 추구하지 말라고 권하는 운동이다. 탈동성애 또는 전동성애(ex-gay)라는 단어는 1980년 E. 맨셀 패티슨에 의해 도입되었다. 전환 치료 지지자들은 개인별 '전환 사례' 등을 대중에 소개하곤 하는데, 과거 이 운동에 관여하며 성공적으로 동성애자에서 이성애자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하거나 인용되던 인물들 중 전환 치료는 전혀 효과가 없으며, 자신이 여전히 동성애자임을 시인하는 사람이 늘어났고, 2013년 6월 탈동성애 운동을 비판하며 자신들이 끼친 해에 대해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공개적으로 사과를 하였다.<ref name=Change>{{인용|url=http://exodusinternational.org/2013/06/i-am-sorry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23013409/http://exodusinternational.org/2013/06/i-am-sorry |archivedate=2013-06-22 |title=I am sorry |accessdate=2013-06-22 |publisher=Exodus International}}</ref> |
탈동성애 전도는 임상적인 치료 요법을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동성간 관계를 시작하거나 추구하지 말라고 권하는 운동이다. 탈동성애 또는 전동성애(ex-gay)라는 단어는 1980년 E. 맨셀 패티슨에 의해 도입되었다. 전환 치료 지지자들은 개인별 '전환 사례' 등을 대중에 소개하곤 하는데, 과거 이 운동에 관여하며 성공적으로 동성애자에서 이성애자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하거나 인용되던 인물들 중 전환 치료는 전혀 효과가 없으며, 자신이 여전히 동성애자임을 시인하는 사람이 늘어났고, 2013년 6월 탈동성애 운동을 비판하며 자신들이 끼친 해에 대해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공개적으로 사과를 하였다.<ref name=Change>{{인용|url=http://exodusinternational.org/2013/06/i-am-sorry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23013409/http://exodusinternational.org/2013/06/i-am-sorry |archivedate=2013-06-22 |title=I am sorry |accessdate=2013-06-22 |publisher=Exodus International}}</ref> |
||
32번째 줄: | 37번째 줄: | ||
== 위험성 == |
== 위험성 == |
||
미국 심리학회는 2009년 발행한 공식 보고서를 통해 자신감 약화, 자기비난, 자기혐오, 가족 및 친구·연인관계파탄, 사회성 위축, 인간성 감소, 성기능장애, [[우울증]], [[무기력증]], 약물 남용, [[자살]] 등의 위험성이 전환 치료에 존재함을 알리고 있다. 특히 이런 위험성은 미성년자에게 더 증가하는데, [[미국 아동 청소년 정신과 협회]]는 전환 치료가 부모에게 거부받는 성소수자 청소년의 비율 증가, 자신감의 약화, 유대감의 결여, 자살성 사고와 자살 시도를 조장한다며 경고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guideline.gov/content.aspx?id=38417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년 4월 10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11003257/http://www.guideline.gov/content.aspx?id=38417#Section420 |보존날짜=2015년 4월 11일 |url-status=dead }}</ref> 부모에게 거부받은 성소수자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성소수자 청소년에 비해 자살을 할 가능성이 8배,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5배, 마약을 시도할 가능성이 3배, 에이즈 등 성병에 걸릴 확률이 3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많은 사례에서 전환 치료에 참여했던 미성년자가 성인이 되어서도 트라우마를 겪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다.<ref>[http://www.theguardian.com/world/2015/apr/11/survivors-crusade-conversion-therapy-ban-pray-gay-away 'Praying the gay away': Trauma survivors crusade to ban conversion therapy], 더 가디언즈, 2015년 4월 11일</ref> |
미국 심리학회는 2009년 발행한 공식 보고서를 통해 자신감 약화, 자기비난, 자기혐오, 가족 및 친구·연인관계파탄, 사회성 위축, 인간성 감소, 성기능장애, [[우울증]], [[무기력증]], 약물 남용, [[자살]] 등의 위험성이 전환 치료에 존재함을 알리고 있다. 특히 이런 위험성은 미성년자에게 더 증가하는데, [[미국 아동 청소년 정신과 협회]]는 전환 치료가 부모에게 거부받는 성소수자 청소년의 비율 증가, 자신감의 약화, 유대감의 결여, 자살성 사고와 자살 시도를 조장한다며 경고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guideline.gov/content.aspx?id=38417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년 4월 10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11003257/http://www.guideline.gov/content.aspx?id=38417#Section420 |보존날짜=2015년 4월 11일 |url-status=dead }}</ref> 부모에게 거부받은 성소수자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성소수자 청소년에 비해 자살을 할 가능성이 8배,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5배, 마약을 시도할 가능성이 3배, 에이즈 등 성병에 걸릴 확률이 3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많은 사례에서 전환 치료에 참여했던 미성년자가 성인이 되어서도 트라우마를 겪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다.<ref>[http://www.theguardian.com/world/2015/apr/11/survivors-crusade-conversion-therapy-ban-pray-gay-away 'Praying the gay away': Trauma survivors crusade to ban conversion therapy], 더 가디언즈, 2015년 4월 11일</ref> |
||
성 지향 전환 노력[Sexual orientation change efforts (SOCE)]이나 성 정체성 전환 노력[Gender identity change efforts (GICE)]은 자해(Self-harm)를 60.01%[OR 1.58], 자살 계획(Suicide Planning)을 70.74%[OR 2.58],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3.48%[OR 2.925] 높이고, 종교적 지도자가 제안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suggested by religious leaders)는 자살 계획(Suicide Planning)을 70.61%[OR 2.565],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3.96%[OR 2.99] 높이며, 가족 구성원이 제안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suggested by Family member)는 자살 계획(Suicide Planning)을 71.53%[OR 2.675],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4.25%[OR 3.03] 높이고, 스스로 제안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suggested by myself)마저도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8.89%[OR 3.745] 높인다.<ref name="ConversionDep">{{저널 인용|vauthors=John Fenaughty, Kyle Tan, Alex Ker, Jaimie Veale, Peter Saxton, Mohamed Alansari |title=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Change Efforts for Young People in New Zealand: Demographics, Types of Suggeserts, and Associations with Mental Health |journal=Springer |pages=157-158 |date=October 2023 |url=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813061/pdf/10964_2022_Article_1693.pdf}}</ref>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는 그 밖에 우울(Depression), 친밀감 회피(Intimacy avoidance) 및 성 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가 따를 수 있다.<ref>{{저널 인용|vauthors=Jack Drescher, Ariel Shidlo, Michael Schroeder |title=Sexual Conversion Therapy: Ethical, Clinical and Research Perspectives |journal=CRC Press |page=120 |year=2018 |url=https://www.google.nl/books/edition/Sexual_Conversion_Therapy/vDFRDwAAQBAJ?hl=nl&gbpv=1&dq=%2B"Conversion+therapy"+%2B"Depression"&pg=PA120&printsec=frontcover}}</ref> 이는 직장 폭력([[:en:Workplace bullying]])이 우울(Depression)을 46.67%[r=0.28], 불안(Anxiety)을 56.67%[r=0.34] 높이는 것<ref name="Bullyin">{{저널 인용|vauthors=Bart Verkuil, Serpil Atasayi, Marc L. Molendijk |title=Workplace Bullying and Mental Health: A MetaAnalysis on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journal=PLOS ONE |page=1 |date=August 2015 |url=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549296/pdf/pone.0135225.pdf}}</ref>과 비교할 때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가 아동 성 학대(Child sexual abuse)만큼 유해하다<ref name="ChildAbuse">{{저널 인용|author=Stephanie A. Sellers |title=Daughters Healing from Family Mobbing |journal=North Atlantic Books |page=129 |year=2023 |url=https://www.google.nl/books/edition/Daughters_Healing_from_Family_Mobbing/Uhd8EAAAQBAJ?hl=nl&gbpv=1&dq=%2B"2023"+%2B"Conversion+therapy"+%2B"Abuse"&pg=PA129&printsec=frontcover}}</ref>는 것은 사실이다. |
|||
== 법적 현황 == |
== 법적 현황 == |
||
미국에서만 전환 치료는 의학이나 종교 교리 문제를 떠나 그 자체로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사업분야이다.<ref>[http://www.advocate.com/commentary/2015/05/18/op-ed-we-must-protect-disabled-lgbt-adults-conversion-therapy Op-ed: We Must Protect Disabled LGBT Adults From Conversion Therapy], ADVOCATE, 2015년 5월 18일</ref><ref> |
미국에서만 전환 치료는 의학이나 종교 교리 문제를 떠나 그 자체로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사업분야이다.<ref>[http://www.advocate.com/commentary/2015/05/18/op-ed-we-must-protect-disabled-lgbt-adults-conversion-therapy Op-ed: We Must Protect Disabled LGBT Adults From Conversion Therapy], ADVOCATE, 2015년 5월 18일</ref><ref>{{웹 인용 |url=https://www.truthwinsout.org/ex-gay-industry-snapshot/ |제목=‘Ex-Gay’ Industry Snapshot |확인날짜=2015-05-31 |archive-date=2015-05-2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526030426/http://www.truthwinsout.org/ex-gay-industry-snapshot/ }}</ref> |
||
[[브라질]]과<ref>[http://www.correiobraziliense.com.br/app/noticia182/2010/05/16/brasil,i=192631/HA+20+ANOS+A+OMS+TIROU+A+HOMOSSEXUALIDADE+DA+RELACAO+DE+DOENCAS+MENTAIS.shtml Homosexuality is not deviant - Federal Council of Psychologists of Brazil]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 |
[[브라질]]과<ref>[http://www.correiobraziliense.com.br/app/noticia182/2010/05/16/brasil,i=192631/HA+20+ANOS+A+OMS+TIROU+A+HOMOSSEXUALIDADE+DA+RELACAO+DE+DOENCAS+MENTAIS.shtml Homosexuality is not deviant - Federal Council of Psychologists of Brazil]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730161520/http://www.correiobraziliense.com.br/app/noticia182/2010/05/16/brasil,i=192631/HA+20+ANOS+A+OMS+TIROU+A+HOMOSSEXUALIDADE+DA+RELACAO+DE+DOENCAS+MENTAIS.shtml |날짜=2012년 7월 30일 }} {{언어링크|pt}}</ref><ref name="lgbtudo">[http://blogs.diariodepernambuco.com.br/lgbtudo/2013/07/psiquiatra-jairo-bouer-fala-dos-efeitos-colaterais-da-cura-gay/ Psychiatrist Jairo Bouer talks about the "collateral effects" of "gay cure" bill] {{웨이백|url=http://blogs.diariodepernambuco.com.br/lgbtudo/2013/07/psiquiatra-jairo-bouer-fala-dos-efeitos-colaterais-da-cura-gay/ |date=20140115041606 }} {{언어링크|pt}}</ref> [[몰타]], 미국의 [[캘리포니아]],<ref name=wyattbuchanan>{{뉴스 인용|title=State bans gay-repair therapy for minors |author=Wyatt Buchanan |work=San Francisco Chronicle |date= 2012년 9월 29일 |url=http://www.sfgate.com/news/article/State-bans-gay-repair-therapy-for-minors-3906032.php |accessdate= 2012년 10월 1일}}</ref> [[뉴저지]]<ref>{{뉴스 인용|url=http://www.nj.com/politics/index.ssf/2013/06/nj_senate_sends_bill_banning_gay-to-straight_conversion_therapy_to_christie.html|title=N.J. Senate sends bill banning gay-to-straight 'conversion therapy' to Christie|date= 2013년 6월 27일|publisher=NJ.com}}</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uffingtonpost.com/2013/08/19/chris-christie-gay-conversion-ban_n_3779489.html|title= Chris Christie Signs Ban On Gay Conversion Therapy|date= 2013년 8월 19일|publisher=Huffington Post}}</ref> [[워싱턴 D.C.]], [[오리건]] 등이 미성년자에게 성적 지향 전환 치료 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일리노이]]와 [[콜로라도]]에서도 금지 법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2015년 2월 뉴저지의 주 고등 법원에서 전환 치료가 [[사기 (법률)|사기]]에 해당한다고 판결을 내렸다.<ref>[http://www.theguardian.com/world/2015/feb/11/new-jersey-judges-rules-gay-conversion-therapy-is-consumer New Jersey judge rules 'gay conversion therapy' is consumer fraud ], 더 가디언, 2015년 2월 11일</ref> 2015년 4월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미성년자에 대한 전환 치료를 금지해야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으며,<ref>[http://www.nytimes.com/2015/04/09/us/politics/obama-to-call-for-end-to-conversion-therapies-for-gay-and-transgender-youth.html Obama Calls for End to ‘Conversion’ Therapies for Gay and Transgender Youth], 뉴욕타임즈, 2015년 4월 8일</ref> 미국 하원 의회에 전환 치료를 연방법에 따라 사기에 포함시키는 법안이 상정 중에 있다.<ref>[http://www.nbcnews.com/news/asian-america/ted-lieu-introduces-first-federal-ban-sex-conversion-therapy-n361546 Ted Lieu Introduces First Federal Ban on Gay Conversion Therapy], NBC NEWS, 2015년 5월 20일</ref> |
||
[[중국]]에서도 피해자에게 전환 치료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있었다.<ref>[http://news.yahoo.com/china-court-raps-clinic-over-gay-conversion-therapy-152922828.html China court raps clinic over 'gay conversion' therapy], AFP, 2014년 12월 19일</ref> [[에콰도르]]와 [[영국]], [[독일]] 등 다른 나라에서도 미성년자를 대상으로한 전환 치료 금지법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pinknews.co.uk/2013/07/12/tuc-and-unison-urge-government-to-ban-gay-conversion-therapy-as-petition-heads-to-parliament/|title=TUC and Unison urge government to ban gay conversion therapy as petition heads to Parliament|date= 2013년 7월 12일|publisher=PinkNews}}</ref> |
[[중국]]에서도 피해자에게 전환 치료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있었다.<ref>[http://news.yahoo.com/china-court-raps-clinic-over-gay-conversion-therapy-152922828.html China court raps clinic over 'gay conversion' therapy], AFP, 2014년 12월 19일</ref> [[에콰도르]]와 [[영국]], [[독일]] 등 다른 나라에서도 미성년자를 대상으로한 전환 치료 금지법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pinknews.co.uk/2013/07/12/tuc-and-unison-urge-government-to-ban-gay-conversion-therapy-as-petition-heads-to-parliament/|title=TUC and Unison urge government to ban gay conversion therapy as petition heads to Parliament|date= 2013년 7월 12일|publisher=PinkNews}}</ref> |
||
몇몇 종교 단체들은 [[아동학대]] 관련 법이 미비한 [[도미니카 공화국]]와 같은 제 3국에 전환 치료 캠프를 우회 운영하고 있으며 부모의 용인 하에 사실상 아동 및 청소년을 납치하여 몇 개월간 해외 캠프에 가두어 신체적 및 정신적 학대를 가한다. 이와 관련된 《Kidnapped for Christ》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
몇몇 종교 단체들은 [[아동학대]] 관련 법이 미비한 [[도미니카 공화국]]와 같은 제 3국에 전환 치료 캠프를 우회 운영하고 있으며 부모의 용인 하에 사실상 아동 및 청소년을 납치하여 몇 개월간 해외 캠프에 가두어 신체적 및 정신적 학대를 가한다. 이와 관련된 《Kidnapped for Christ》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
||
한국에서도 2015년 트랜스젠더를 정상범주로 돌려놓는다고 주장하며 충남 태안의 모 교회에서 목사가 자신의 아들이 여성으로 성전환 하고 싶다고 커밍아웃한 아들을 |
|||
받아들이지 못해 대구에 있는 모 교회 김기환 목사에게 아들을 맡겨 귀신이 들려서 그러니 귀신만 내 쫓으면 아들의 성정체성이 바뀔것이라고 믿고 아들이 트랜스젠더라는 사실을 |
|||
받아들이지 못해 전환치료를 시도했으나 아들이 바뀌지 않자 또 다른 영성치유센터인 미션코람데오 영성치유센터가 있는 진주사랑의 교회 정호석 목사에게 전환치료를 맡겨 |
|||
치유사역이라고 주장하는 전환치료를 한 회 당 평균 2~3일에 걸쳐 당하며 온갖 신체적 폭력과 정신적 폭력을 당한 사건이 있어 한국에서도 기독교 계열의 전환치료 실체가 밝혀지기 시작했다. ( 관련기사 - http://www.sisters.or.kr/load.asp?b_code=2&idx=3304&board_md=view,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33737.html) |
|||
(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02241) |
|||
== [[한국]]에서 전환치료 사건 == |
|||
충남 태안에서 사는 김연희(가명)씨는 트랜스젠더이다. |
|||
본인이 초등학교 시절부터 남들과 다르다고 느꼈고 남자로 살아오면서 괴로운 날이 더 많았다. |
|||
성인이 되어서 성전환 수술을 결심하기로 마음먹었고 이 사실을 집에 부모님께 알렸다. |
|||
하지만 집에서는 아들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
|||
아들에게 귀신이 들렸다고 생각되었다. |
|||
목사인 아버지는 여성이 되고 싶은 아들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아들에게 귀신이 들렸다고 생각했다. |
|||
귀신을 쫓아내면 아들이 바뀔 거라 생각한 아버지는 그를 데리고 대구로 갔다. 치유 사역을 하는 김기환 목사에게 아들을 맡겼다. 수차례 치유에도 아들이 변하지 않자 진주에 있는 또 다른 영성 치유 센터로 향했다. 이곳은 김기환 목사가 치유 사역을 배운 신학원이 있는 곳으로 신학원장 정호석 목사에게 아들의 치유를 부탁했다. 연희는 그곳에서 끔찍한 일을 겪었다. |
|||
[출처: 뉴스앤조이] 트랜스젠더, 때리면 치유되나요? |
|||
김 목사는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연희에게 "성서에 너 같은 것들을 돌로 쳐 죽여야 한다고 적혀 있으니 네가 맞는 것에 불합리함이 없다"고 하는가 하면, 가위를 들고 와 "고추, 그거 어차피 필요 없으니 잘라버리겠다"고 협박했다. |
|||
언어폭력에만 그치지 않았다. 사역자들은 귀신을 쫓아낸다며 연희의 단전·관자놀이·눈 등 신체 급소를 눌렀다. 그곳에 있던 다른 사람들이 연희를 붙잡아 바닥에 눕혔다. 악한 영이 나가야 한다며 머리채를 잡고 바닥에 머리를 찍었다. 무릎으로 얼굴을 눌러 움직이지 못하게 했다. 주먹으로 뺨과 얼굴을 때렸다. 연희는 더 있다가는 죽을 것 같아 귀신 흉내를 내며 몸속에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모든 것이 '치유 사역'의 일환이었다. |
|||
집과 치유 센터를 오가기를 3개월. 연희는 결국 집을 탈출했다. 아버지와 목사의 계속되는 폭력에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 "이 새끼는 말이 안 통하니 다리를 줄로 묶어 놓고 축사해야 한다"는 말을 들은 후 맨발로 창문 밖으로 뛰어내렸다. |
|||
연희의 경험담은 충격적이다. 트랜스젠더를 '정상'이라는 범주로 돌려놓는다는 전환 치료의 일환으로 가해진 '치유 사역'은 한 사람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교계에서 이런 종류의 사역이 실제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처음이었다. |
|||
연희 때린 목사 편든 가족들 |
|||
목사 아버지의 폭언과 폭행, 치유 사역자라고 불리는 목사에 의한 또 다른 언어·물리적 폭력을 당한 연희는 방문을 걸어 잠그고 창문으로 도망쳤다. 맨발로 뛰어나가 찾아간 곳은 경찰서였다. 연희는 경찰에서 아버지와 김기환 목사에게 맞았다고 증언했다. |
|||
경찰 조사에서 가족들은 대구에서 연희를 치유한 김기환 목사 편을 들었다. 아버지가 연희를 때린 것은 인정했지만 김 목사는 아버지를 말리려 했다고 증언했다. 덕분에 김 목사는 참고인 조사만 받았다. 경찰 조사가 끝난 후 아버지는 가정 보호 사건으로 검찰에 송치됐다. |
|||
2016년 1월 12일, 대전가정법원 재판부는 '치료를 포기하고 군대를 다시 가라며 발로 피해자의 안면부를 1회 걷어차고 넘어진 피해자의 온몸을 주먹과 발로 수십 회 때렸으며, 방안에 있던 목검과 죽도로 다리 정강이 부위를 수회 때렸다'며 아버지를 가정 지원 센터에 상담 위탁했다. |
|||
연희는 지금 혼자 생활하고 있다. 성 소수자 자립을 돕는 단체의 도움으로 정신과 상담도 받고 몸과 마음을 추스리고 있다. 연희는 트랜스젠더의 삶을 선택했다기보다 이렇게 태어났기에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정호석 목사, 김기환 목사, 연희의 가족은 그를 '귀신 들린 사람' 취급하며 폭력적인 방법으로 치유를 시도했다. |
|||
최근 동성애치유상담학교를 개소한 이요나 목사(홀리라이프 대표)도 이런 방법에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뉴스앤조이> 기자와 대화에서 "게이나 트랜스젠더 문제는 간단히 말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동성애자를 이해하고 성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곳에서 치유 사역을 해야 한다. (진주사랑의교회처럼) 치유 사역하는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다. 그들은 무당만도 못한 사람들이다. 동성애가 귀신인 것처럼 말하는 한국교회가 문제"라고 했다. |
|||
상담비를 지급한 후 다시 정호석 목사와 통화했다. 탈동성애 상담이 아닌 취재가 목적이었다고 밝히고 연희를 기억하느냐고 물었다. 정 목사는 연희의 본명을 말하며 작년에 한 번 치유를 도와준 적이 있다고 했다. |
|||
연희가 대구와 진주에서 치유 사역 중 맞았다고 하자 정 목사는 "우리 쪽에 담당하는 친구(김기환 목사)가 있다. 사람마다 사역 방법이 있고 다 같지 않다. 제가 하는 방법이 다르고 다른 사람이 다르다"고 했다. 정 목사는 기자와 상담할 때 연희를 치유했고 그를 성매매로 유인하려는 조직도 일망타진했다고 했다. 이 부분은 사실과 다르지 않냐고 물었다. 그는 직답을 피했다. |
|||
[출처: 뉴스앤조이] 트랜스젠더, 때리면 치유되나요?] |
|||
사건이후 연희(가명)는 띵동이라는 성소수자를 돕는 단체의 도움을 받아 생활하였다. |
|||
진주사랑의교회 트랜스젠더 인권유린사건 사건경과보고 |
|||
박에디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상임활동가) |
|||
2015년 11월12일 오후 6시 충남 서산에 사는 연희로부터 자신의 정체성으로 인해 가정폭력을 당하였고 갈 곳이 없어 도와달라는 한 통의 전화로 띵동과 만남은 시작 되었습니다. |
|||
이야기를 나눈 후 연희에게 일어난 일은 단순한 가정폭력이 아닌 가족과 종교가 합심하여 전환치료라는 명목아래 자행된 계획된 폭력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
|||
띵동은 의식주와 의료지원을 약속하고 서울로 올라 올 것을 권유하였고 그 다음날인 11월 13일 오후 7시 띵동 사무실에서 연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
|||
얼굴은 멍에, 두 눈은 핏줄이 터져 있었고 몸 구석구석 멍과 상처가 뒤 덮여 있었습니다. |
|||
언제 다시 가해자인 가족이 들이 닥칠지 몰라 두려움에 떨고 있던 연희의 모습이 아직도 기억납니다. |
|||
가해자이자 가족인 아버지의 직업은 목사였습니다. 가족의 손에 이끌려 연희는 2015년 9월부터 11월동안 총 4회의 전환치료가 받았습니다. |
|||
한 회당 평균 2일~3일, 장소는 미션코람데오 대구지부에서 2회, 진주 사랑의 교회에서 1회 아버지가 사역한 교회에서 1회 였습니다. |
|||
축사라 불리는 행위들, 관자놀이를 있는 힘껏 누르고 신체의 급소를 찌르고 때리며 혐오발언을 쏟아내는가 하면 논리적이지 못하고 이해할 수 없는 말에 항변을 할 때마다 ‘귀신이 남아있다’는 명목으로 몸을 혹사시켜 오로지 자신들이 원하는 말과 행동을 할 수 밖에 없게끔 사지로 몰아넣었습니다. 성적지향과 성별정체성에 대한 이해없이 ‘몸이 남자인데 여자가 되고 싶은 거 보니 동성애자고 동성애자는 돌로 쳐 죽여도 된다’ 라는 성경구절을 인용하여 옳은 행동인 것 마냥 혐오폭력을 자행하였다고 합니다. 특히 진주 사랑의 교회에서 받은 축사가 가장 괴롭고 참을 수 없는 아픔과 고통이 동반되었다고 하였습니다. |
|||
연희가 몇 번의 전환치료 폭행을 견뎠던 건 “가족으로써 널 사랑하고 치료를 받아보자, 그래도 안 된다면 네가 원하는 삶을 살게 해 주겠다”는 희망이였습니다. 하지만 그건 고문과 같았다고 증언합니다. “이렇게까지 견디는데 이해 해주시겠지”라는 마음은 무시당했고, 자신들이 원하는 대답이 나올 때까지 고통을 주고 결국 포기하게 만드는 방법을 취했다고 합니다. |
|||
몸과 마음이 상할 대로 상한 연희는 대응할 힘이 없었고 가족과 전환치료 관계자들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강제로 가족의 손에 끌려 군 입대 훈련소로 끌려가게 되었고 정체성 문제로 퇴소하게 되자 이일을 알게 된 가족이 전환치료 관계자들과 함께 아버지가 목사로 사역하고 있는 교회 안에서 폭행을 하였고 생명의 위협을 느낀 연희는 맨발로 경찰서로 달려갔다고 합니다. 살려달라는 말과 함께 신고를 한 후 몇 일간의 경찰의 보호를 받은 후 연희는 띵동과 만나게 되었던 것입니다. |
|||
띵동은 상처입은 몸과 마음을 회복하는 중에 연희의 폭행사건에 대한 신고접수가 재판부로 넘어간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
연희는 아직도 가족을 사랑하고 보고 싶지만 전환치료라는 혐오폭력을 당하도록 밀어 넣고 방관한 가족을 용서 할 수 없으며 강력한 처벌을 까진 아니더라도 어떤 잘못을 했는지 스스로 깨울칠 수 있길 바랐습니다. 그리고 전환치료를 시행한 미션코람데오 관계자들이 다시는 이런 폭력을 자행 할 수 없도록 강력한 처벌을 받길 원했습니다. |
|||
연희의 의지를 확인한 띵동은 재판부로 이 사건은 단순한 가정폭력이 아닌 계획된 혐오범죄임을 증명하기위해 연희의 입장을 보냈고 2016년 1월12일 가해자인 아버지를 지역 가정지원센터에 상담위탁한다 라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조사해보니 전환치료 폭행사건은 단순한 가정폭력으로 인정되었고 판결문 어디에도 폭행에 가담한 전환치료 관계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
|||
재판 당일 띵동과 연희는 재판에 참석하였는데 판결 후 가해자인 목사 아버지가 했던 말과 행동이 기억납니다. ‘여자같이 생기지도 않는 게 여자같이 웃고 있네 재수없게’ ,‘더러운 것들’ 이유야 어쨌든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로 폭력을 가한 아버지로서의 미안한 마음은 찾아볼 수 없었던 모습에서 만일 띵동으로 오지 않고 계속 가족과 연희가 있었다면 어떤 결과를 나았을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띵동 옆에 연희가 있음에 감사함을 느꼈습니다. |
|||
연희는 띵동에서 2개월간 의료지원, 법률지원, 의식주 등 여러 가지 회복과 안정에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몸과 마음의 안정을 찾아 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평소에 꿈꿨던 작가가 되기 위해 공모전 준비를 하고 있으며 연희의 정체성을 지지해주는 친구들 속에서 추억과 희망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
|||
연희는 이 사건을 ‘기억하고 싶지 않은 시간’ 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알리는 이유는 자신에게 일어난 전환치료와 같은 혐오범죄가 대한민국 안에 존재하고 있으며 빈번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림과 동시에 다시는 이런 말도 안 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이야기 해 주었습니다.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157번째 줄: | 56번째 줄: | ||
== 각주 == |
== 각주 == |
||
{{각주}} |
{{각주}} |
||
{{전거 통제}} |
|||
[[분류:전환 치료| ]] |
[[분류:전환 치료| ]] |
||
[[분류:동성애]] |
[[분류:동성애]] |
||
[[분류: |
[[분류:유사과학]] |
||
[[분류:성적 지향과 의학]] |
2024년 9월 16일 (월) 17:50 기준 최신판
성소수자 |
---|
성정체성 (Gender identity) |
사회적 성 (Gender) |
성적 지향 (Sexual orientaition) |
기타 |
역사 |
문화 |
권리 |
사회의 반응 |
차별과 폭력 |
학문적 접근 |
유사과학 pseudo-science |
---|
유사과학의 문제점 |
유사과학의 분류 |
과거의 원형과학 |
사이비과학/반과학 |
논란의 대상 |
유사의학 |
정치 현상과 매개한 경우 |
유사과학 단체 |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또는 성적 지향 전환 치료, 동성애 치료(Gay cure)란 개인의 성적 지향을 동성애나 양성애에서 이성애로 전환한다고 주장하는 치료법으로, 주요 학계에서 사이비과학으로 비판받고 있다.[1][2][3][4] 전환 치료는 많은 국가와 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으며,[5] 주류 정신의학과 심리학, 행동과학, 사회과학계는 동성애도 정상적이고 건강한 성적 지향 중 하나로 전환 치료는 효과가 전혀 입증되지 않았으며 유해하다고 결론내렸다.[6][7][8][9][10][11][12][13] 어떤 주류 정신의학계도 전환 치료에 대한 허가를 내주지 않으며, 해당 행위의 부작용과 악영향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14][15][16] 미국 심리학회와 영국 정신과의사 학회는 전환 치료에 대해 과학 및 의학적으로 지지해줄 수 없으며, 편견과 차별에 기반한 바보같은 행위라고 비판하였다.[15][17]
전환 치료의 주요 지지자들은 보수 근본주의 기독교계이다.[18] 이들 다수는 근본주의 종교적 이해관계에 놓여있는 비중립적 단체인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의 조언에 따라 전환 치료를 운영하고 있다.[18] 전환 치료는 환자에게 동성애와 관련된 매체를 보여줄 때마다 손 또는 성기에 전기 충격을 가하거나 불쾌한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혐오 요법과 자위 억제, 단체 기도·토론, 정신 분석 상담 등을 포함한다.[19]
역사
[편집]정신분석학이 태동하던 20세기 초에는 동성애를 병으로 보지 않았으며, 성적 지향이 전환 가능한지 또한 그런 치료나 방법이 윤리적인지를 중점으로 논해졌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모든 사람은 양성애자로 태어나며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이성애자나 동성애자로 정해진다고 믿었다.[20] 그는 성적 지향 전환이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 한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미 이성애자 혹은 동성애자로 확정된 사람의 성적 지향은 바꿀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21]
1920년대가 되면서 정신분석학계는 동성애를 일종의 병으로 추정하여 전환 치료를 적절한 것으로 취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를 주장한 학자로는 페렌치 샨도르와 안나 프로이트, 멜라니 클라인, 에드먼드 버글러 등이 있다. 이후 2차 세계 대전 등을 거치면서 동성애는 치료가 불가능한 성적 도착증으로 여겨졌다. 이 시기에 많은 게이 환자들은 조롱과 학대의 피해자가 되었다.[22] 1952년 동성애를 정신병으로 분류한 미국 정신의학 협회의 첫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이 발표되었다.[23] 이에 따라 1939년의 프로이트 사후부터 스톤월 항쟁이 일어난 1969년까지 즉 약 30년간 많은 국가에서 전환 치료가 허용되었다.[24]
1950년대에 들어 알프레드 킨제이, 에블린 후커등 동성애도 이성애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이고 건강한 성적 지향의 하나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25] 스톤월 항쟁 이후 미국을 비롯 세계 곳곳에서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벌여졌으며, 전환 치료는 운동가들에게 공개적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미국 정신의학 협회는 1974년 학술대회에서 동성애가 정신병이 아니라고 확정하였다.[23] 그러나 전환 치료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였고, 로버트 크로네메이어와 헤라르트 J. M. 반 덴 아드베흐 같은 몇몇 학자 및 근본주의 기독교계 중심으로 전환 치료 연구가 지속되었다. 1992년에는 동성애가 치료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세명의 심리학자 조셉 니콜로시와 찰스 소키라이즈, 벤자민 카우프먼이 주류 학계에 반발하며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를 설립하였다.
2001년 미국의 의무감 데이빗 새처 박사는 성적 지향을 인위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어떤 과학적, 의학적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보고서를 발행하였다.[26] 같은 해 로버트 스피처는 전환 치료를 통해 동성애자가 이성애자로 바뀔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지만,[27] 2012년 자신의 논문을 철회하고, 검증되지 않은 치료 방법이 효과 있다고 오도하던 것에 대해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사과하였다.[28] 미국정신분석협회는 2004년 동성애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전미 협회(NARTH)를 강력히 비판했으며,[29] 미국 심리학회와 미국 상담학회는 전환 치료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히고[30] 회원 단체와 의사, 상담가 등에게 전환 치료를 삼가토록 하는 윤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7]
2016년 세계 정신의학 협회는 전환 치료가 비과학적, 비윤리적이며 효과도 없고 유해하기만 하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31]
이론과 요법
[편집]행동 수정
[편집]더글라스 홀드먼은 자신의 저서《게이 남성과 레즈비언을 위한 성적 지향 전환 치료 : 과학적 조사》에서 환자에게 동성애와 관련된 매체를 보여줄 때엔 전기 충격이나 불쾌한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혐오 요법을 사용하고 이성애와 관련된 매체에선 혐오 요법을 중단하는 방법을 통해 이성애적 기질을 강화하여 58%의 성공률로 동성애를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되는 당대 전환 치료 기법에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32] 홀드먼은 이 치료 기법을 '고문'이라고 부르면서, 동성애자를 이성애자로 만드는 효과는 없고 환자가 자신의 성적 지향에 대해 창피해하고 두려워하게 만들기만한다고 비판하였다.[32] 그는 손과 성기 등 신체에 가하는 전기 충격과 불쾌한 약물 투여, 자위 억제, 시각화 등 이런 모든 방법은 '동성애는 습득된 행동'이라는 발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하였다.[19]
탈동성애 전도
[편집]탈동성애 전도는 임상적인 치료 요법을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동성간 관계를 시작하거나 추구하지 말라고 권하는 운동이다. 탈동성애 또는 전동성애(ex-gay)라는 단어는 1980년 E. 맨셀 패티슨에 의해 도입되었다. 전환 치료 지지자들은 개인별 '전환 사례' 등을 대중에 소개하곤 하는데, 과거 이 운동에 관여하며 성공적으로 동성애자에서 이성애자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하거나 인용되던 인물들 중 전환 치료는 전혀 효과가 없으며, 자신이 여전히 동성애자임을 시인하는 사람이 늘어났고, 2013년 6월 탈동성애 운동을 비판하며 자신들이 끼친 해에 대해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공개적으로 사과를 하였다.[33]
정신 분석
[편집]어빙 비버는 1962년 《동성애 : 남성 동성애에 대한 정신분석 연구》에서 개인이 어릴적 겪었던 불쾌하거나 고통스러운 경험등이 동성애자가 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며, 이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도록 도우면 성적 지향이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더글라스 홀드먼은 이 연구에서 밝힌 전환 치료 성공률 27%가 불풀려진 수치이며 실제로 동성애자에서 이성애자로 전환되었다고 보여지는 사례는 18%에 불과했으며, 양성애자의 사례를 오도하고 있다며 이 연구에 신뢰성이 거의 없다고 비판하였다.[34] 또한 어빙 비버의 저서에서 인용된 에드먼드 버글러의 1956년 연구도 동성애자 표본의 대표성이 의심된다며 비판받았다.[35]
1957년 출판된 쿠란과 파는 그들의 정신분석 연구 저서《동성애 : 100명 남성 사례 분석》에서 그들이 상담한 100명의 동성애자 남성에게서 이성애적 기질이 전혀 증가하지 않았다고 서술하였다. 1965년 메이어슨과 리프는 자신들의 19명의 동성애자 환자 중 절반이 5년여간의 치료를 통해 이성애자가 되었다고 발표하였으나 환자의 자기 증언에만 의존하였을 뿐 추가 확인 절차는 거치지 않은 결론이였다. 이런 방식의 다수 사례 연구는 양성애자를 동성애자로 오해하거나 의도적으로 조작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다.[36]
위험성
[편집]미국 심리학회는 2009년 발행한 공식 보고서를 통해 자신감 약화, 자기비난, 자기혐오, 가족 및 친구·연인관계파탄, 사회성 위축, 인간성 감소, 성기능장애, 우울증, 무기력증, 약물 남용, 자살 등의 위험성이 전환 치료에 존재함을 알리고 있다. 특히 이런 위험성은 미성년자에게 더 증가하는데, 미국 아동 청소년 정신과 협회는 전환 치료가 부모에게 거부받는 성소수자 청소년의 비율 증가, 자신감의 약화, 유대감의 결여, 자살성 사고와 자살 시도를 조장한다며 경고하고 있다.[37] 부모에게 거부받은 성소수자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성소수자 청소년에 비해 자살을 할 가능성이 8배,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5배, 마약을 시도할 가능성이 3배, 에이즈 등 성병에 걸릴 확률이 3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많은 사례에서 전환 치료에 참여했던 미성년자가 성인이 되어서도 트라우마를 겪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다.[38]
성 지향 전환 노력[Sexual orientation change efforts (SOCE)]이나 성 정체성 전환 노력[Gender identity change efforts (GICE)]은 자해(Self-harm)를 60.01%[OR 1.58], 자살 계획(Suicide Planning)을 70.74%[OR 2.58],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3.48%[OR 2.925] 높이고, 종교적 지도자가 제안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suggested by religious leaders)는 자살 계획(Suicide Planning)을 70.61%[OR 2.565],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3.96%[OR 2.99] 높이며, 가족 구성원이 제안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suggested by Family member)는 자살 계획(Suicide Planning)을 71.53%[OR 2.675],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4.25%[OR 3.03] 높이고, 스스로 제안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 suggested by myself)마저도 자살 시도(Suicide Attempt)를 78.89%[OR 3.745] 높인다.[39]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는 그 밖에 우울(Depression), 친밀감 회피(Intimacy avoidance) 및 성 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가 따를 수 있다.[40] 이는 직장 폭력(en:Workplace bullying)이 우울(Depression)을 46.67%[r=0.28], 불안(Anxiety)을 56.67%[r=0.34] 높이는 것[41]과 비교할 때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전환 치료(Conversion therapy)가 아동 성 학대(Child sexual abuse)만큼 유해하다[42]는 것은 사실이다.
법적 현황
[편집]미국에서만 전환 치료는 의학이나 종교 교리 문제를 떠나 그 자체로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사업분야이다.[43][44]
브라질과[45][46] 몰타, 미국의 캘리포니아,[47] 뉴저지[48][49] 워싱턴 D.C., 오리건 등이 미성년자에게 성적 지향 전환 치료 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일리노이와 콜로라도에서도 금지 법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2015년 2월 뉴저지의 주 고등 법원에서 전환 치료가 사기에 해당한다고 판결을 내렸다.[50] 2015년 4월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미성년자에 대한 전환 치료를 금지해야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으며,[51] 미국 하원 의회에 전환 치료를 연방법에 따라 사기에 포함시키는 법안이 상정 중에 있다.[52]
중국에서도 피해자에게 전환 치료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있었다.[53] 에콰도르와 영국, 독일 등 다른 나라에서도 미성년자를 대상으로한 전환 치료 금지법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54]
몇몇 종교 단체들은 아동학대 관련 법이 미비한 도미니카 공화국와 같은 제 3국에 전환 치료 캠프를 우회 운영하고 있으며 부모의 용인 하에 사실상 아동 및 청소년을 납치하여 몇 개월간 해외 캠프에 가두어 신체적 및 정신적 학대를 가한다. 이와 관련된 《Kidnapped for Christ》라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ldeman, Douglas C. (December 1999). “The Pseudo-science of Sexual Orientation Conversion Therapy” (PDF). 《Angles》. Institute for Gay and Lesbian Strategic Studies. 2018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Position Statement On Reparative Therapy” (PDF). International Society of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es (ISPN). 2017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Answers to Your Ques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exual Orientation and Homosexualit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8. 2015년 1월 31일에 확인함.
- ↑ Ford 2001
- ↑ Drescher & Zucker 2006, 126, 175쪽
-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solution on Appropriate Affirmative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Distress and Change Efforts
- ↑ 가 나 《Position Statement on Therapies Focused on Attempts to Change Sexual Orientation (Reparative or Conversion Therapie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May 2000, 2011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28일에 확인함 archived from the original Archived 2008년 9월 10일 - 웨이백 머신
- ↑ 《Just the Facts About Sexual Orientation & Youth: A Primer for Principals, Educators and School Personnel》 (PDF), Just the Facts Coalition, 1999,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Haldeman 1991, 149, 156–159쪽
- ↑ Glassgold, JM; 외. (2009년 8월 1일), 《Repor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Appropriate Therapeutic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PD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Conversion Therapy in the UK》 (PDF), January 2015,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General Medical Council supports Memorandum on conversion therapy in the UK》, January 2015, 2017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Professional Standards Authority supports action by Accredited Registers on Conversion Therapy》, January 2015, 2015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Expert affidavit of Gregory M. Herek, Ph.D.” (PDF). 2010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Statement from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Gay and Lesbian Mental Health Special Interest Group{{ Archived 2010년 5월 27일 - 웨이백 머신
- ↑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Sexual orientation and homosexuality[깨진 링크]
- ↑ “Statement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DF).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Yoshino 2002
- ↑ 가 나 Haldeman 2002, 260–264쪽
- ↑ Ruse 1988, 22쪽
- ↑ Freud 1992, 423–424쪽
- ↑ Lewes 1988
- ↑ 가 나 Bayer 1987
- ↑ Drescher 1998, 19–42쪽
- ↑ Kirby 2003, 674–677쪽
- ↑ 《"The Surgeon General's call to Action to Promote Sexual Health and Responsible Sexual Behavior", A Letter from the Surgeon Genera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7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Can Some Gay Men and Lesbians Change Their Sexual Orientation?》 32 (5), Archive of Sexual Behavior, 200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My So-Called Ex-Gay Life”. 《The American Prospect》. 2012년 4월 11일.
- ↑ Crow, C. (2004년 11월 20일), 《Irate reader's expert on gays has drawn fire from his peers》, San Antonio Express-News
-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solution on Appropriate Affirmative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Distress and Change Efforts
- ↑ “WPA Position Statement on Gender Identity and Same-Sex Orientation, Attraction, and Behaviours” (PDF). 2016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Haldeman 1991, 152쪽
- ↑ 《I am sorry》, Exodus International, 2013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Haldeman 1991, 150–151쪽
- ↑ Bayer 1987. p. 78.
- ↑ Haldeman 1991, 151, 256쪽
- ↑ “보관된 사본”. 2015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Praying the gay away': Trauma survivors crusade to ban conversion therapy, 더 가디언즈, 2015년 4월 11일
- ↑ John F, Kyle T, Alex K, Jaimie V, Peter S, Mohamed A (October 2023).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Change Efforts for Young People in New Zealand: Demographics, Types of Suggeserts, and Associations with Mental Health” (PDF). 《Springer》: 157–158. 밴쿠버 양식 오류 (도움말)
- ↑ Jack D, Ariel S, Michael S (2018). "Conversion+therapy"+%2B"Depression"&pg=PA120&printsec=frontcover “Sexual Conversion Therapy: Ethical, Clinical and Research Perspectives”. 《CRC Press》: 120. 밴쿠버 양식 오류 (도움말)
- ↑ Bart V, Serpil A, Marc L M (August 2015). “Workplace Bullying and Mental Health: A MetaAnalysis on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PDF). 《PLOS ONE》: 1. 밴쿠버 양식 오류 (도움말)
- ↑ Stephanie A. Sellers (2023). "2023"+%2B"Conversion+therapy"+%2B"Abuse"&pg=PA129&printsec=frontcover “Daughters Healing from Family Mobbing”. 《North Atlantic Books》: 129.
- ↑ Op-ed: We Must Protect Disabled LGBT Adults From Conversion Therapy, ADVOCATE, 2015년 5월 18일
- ↑ “‘Ex-Gay’ Industry Snapshot”. 2015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Homosexuality is not deviant - Federal Council of Psychologists of Brazil 보관됨 2012-07-30 - archive.today (포르투갈어)
- ↑ Psychiatrist Jairo Bouer talks about the "collateral effects" of "gay cure" bill Archived 2014년 1월 15일 - 웨이백 머신 (포르투갈어)
- ↑ Wyatt Buchanan (2012년 9월 29일). “State bans gay-repair therapy for minors”. 《San Francisco Chronicle》. 2012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N.J. Senate sends bill banning gay-to-straight 'conversion therapy' to Christie”. NJ.com. 2013년 6월 27일.
- ↑ “Chris Christie Signs Ban On Gay Conversion Therapy”. Huffington Post. 2013년 8월 19일.
- ↑ New Jersey judge rules 'gay conversion therapy' is consumer fraud , 더 가디언, 2015년 2월 11일
- ↑ Obama Calls for End to ‘Conversion’ Therapies for Gay and Transgender Youth, 뉴욕타임즈, 2015년 4월 8일
- ↑ Ted Lieu Introduces First Federal Ban on Gay Conversion Therapy, NBC NEWS, 2015년 5월 20일
- ↑ China court raps clinic over 'gay conversion' therapy, AFP, 2014년 12월 19일
- ↑ “TUC and Unison urge government to ban gay conversion therapy as petition heads to Parliament”. PinkNews. 2013년 7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