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에도 후기의 대표적 유학자, 가이호 교손(海保漁村)의 주역고
점법을 고찰해 그의 주희 점서법 비판과 복원 및 학문적 특징을 규명하고
자 한 것이다. 그는 주역... more 본 연구는 에도 후기의 대표적 유학자, 가이호 교손(海保漁村)의 주역고 점법을 고찰해 그의 주희 점서법 비판과 복원 및 학문적 특징을 규명하고 자 한 것이다. 그는 주역, 좌전 등의 경전과 이와 시대적으로 가까운 정현, 두예 등 한당의 고주를 근거로 삼고 이를 역사서와 송명청대의 여러 유관자료들을 참고해 고증하는 방식을 통해, 주희의 점서법을 비판하고 다 음과 같이 복원한다. 첫째 그는 하상조의 占彖 방식과 주왕조의 占爻 방식 을 주역 본래의 점법을 구성하는 큰 틀로 보고, 변효가 하나인 경우에만 해당 효사로 점치는 점효 방식을 적용하고 나머지 경우는 본괘 또는 지괘 의 단(彖), 즉 괘사, 괘의, 괘상을 바탕으로 점치는 점단 방식을 적용해 점 법을 체계화한다. 둘째 그는 하도낙서로 대연지수를 해명하고 태극을 理와 동일시하는 주희의 일부 해석을 비판하고 「계사전」과 한당 고주를 바탕으 로 ‘대연지수’장을 재해석함으로써 ‘태극은 음양미분의 원기’, ‘시책의 개수 는 본래 49’라는 등 설시법에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서의」가 주희 의 저작임을 부정하고 의례의 유관 경문을 재구성해 유가 본연의 서법 의례를 복원하고, 전승이 끊어진 한역의 逸象 및 괘기설과 효진설 관련 도 상을 집록하며 한역의 상수적 요소들을 주역의 이해와 점서에 있어 필수 적이라 강조한다. 그의 점서법 복원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七은 시책의 수, 八은 괘의 수’라는 견해는 「계사상전」 “蓍之德圓而神, 卦之德方以知”에 대한 정현과 최경의 해석에 근거한 것이다. 교손이 이처럼 점서법 복원에 몰 두한 이유는 점서가 주역의 본질로서 우리가 일상에서 ‘과실을 줄이도록 하는’(寡其過) 모범적 인간의 길을 제시해준다고 보았고, 그것이 바로 공자가 ‘玩占’과 ‘學易’을 강조한 본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이러한 주역 이해가 당시 일본의 시대적 상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기 위해서 는 그의 사상 전반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道敎文化硏究(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2022
This paper is that critically reviewed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from the perspective of Yixu... more This paper is that critically reviewed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易學).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that the current Taegeukgi design confirmed by the National Flag Manufacturing Act in October 1949 does not conform to the principle of Yi(易). The researchers who insists on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argue that the Taiji mark of Taegeukgi must be modified to the same shape as the old diagram of Taiji to conform to the principle of Yi. In this paper, the arguments of the Taegeukgi errorist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 and it was shown that the Taegeukgi design did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Yi. According to this papers consideration, the diagrams of Yi, which shows the change of yin and yang in Taiji,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Taiji pattern, the old diagram of Taiji belongs to the ‘⼄’ shape, and the Taegeukgi belongs to the ‘S’ shape. The Taegeukgi errorists argue that the S-shaped Taiji pattern is wrong and only the ⼄-shaped is right. According to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shaped and ⼄-shaped Taiji patterns is only a difference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Gua(卦), and both fully embody the principle of Xiaoxi(消息) of yin and ya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shaped Taegeukgi also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Yi, and that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wrong.
‘Is there a Cuojian in Zagua?’ The dispute over this topic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I-Ching s... more ‘Is there a Cuojian in Zagua?’ The dispute over this topic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I-Ching studies. There has been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the ‘Revisionist’ faction that argues people should recognize Cuojian and should understand Zagua through the revised script, and the ‘Preservationist’ faction that insists people should understand Zagua as the original script. In this debate, the former (the Revisionists) had to secure justification for revising the script, and the latter (the Preservationists) had to present a working theory that could explain the Zagua more consistently. In the process, both factions (or parties) showed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Zagua’s authoring intent. Lai Zhide, a representative of the Revisionist faction, sought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Cuojian revision through the theory of Cuo Zong, which is the King Mun’s creation principle of I-Ching, is consistently presented in the scripture. Therefore he asserted that Zagua is to exhibit Cuo Zong theory. Li Guangdi, a representative of the Preservationist faction, tried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preserving the meaning of the script by explaining the Zagua with the theory of Hu Ti. Therefore he contended that the intention of Zagua is the theory of Hu Ti. Thus, the issue of contention did not stop at ‘whether Cuojian exists’; rather it extended to ‘authoring intent’ of the Zagua. ‘「잡괘전雜卦傳」에는 착간錯簡이 존재하는가?’ 이 문제를 둘러싼 착간 논쟁은 역학사의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로, ‘착간개정파’와 ‘경문고수파’가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이 논쟁에서 착간개정파는 통행본 64괘의 배열원리를 근거로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고, 경문고수파는 ‘협운설’, ‘호체설’과 같은 새로운 해명원리를 바탕으로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마련하려 했다. 그러나 양측의 정당화 방식에는 여전히 난점이 존재하였다. 착간개정파는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왜 「잡괘전」에서도 지켜져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해명해야 했고, 경문고수파는 착간개정파와 같이 「잡괘전」을 일관되게 해명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양측의 논쟁은 「잡괘전」 저작 의도를 둘러싼 논쟁으로 확대되었다. 착간개정파를 대표하는 내지덕來知德은 64괘의 배열에 나타나는 ‘착종錯綜’을 성인의 주역 창작 원리인 음양의 ‘대대對待’와 ‘유행流行’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이 착종의 원리가 주역 전체에 일관되어 있다는 ‘착종설’을 제시함으로써,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잡괘전」에서도 일관되게 지켜져야 함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착종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경문고수파를 대표하는 이광지李光地는 호병문의 호체설을 「잡괘전」 전체로 확장하고 대과 이후의 불규칙한 배열을 ‘순환호체설’로 해명함으로써, 「잡괘전」의 전체 배열에 ‘호체互體’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호체의 원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이처럼 양자의 「잡괘전」 이해는 매우 상이한 듯이 보이지만, 이광지 또한 호체설의 四象을 통해 우주자연의 변화를 드러내려 했다는 점에서 양자가 「잡괘전」에서 본 易의 원리, 즉 착종과 호체는 “一陰一陽之謂道”의 異名同實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at the history of studies of Guaxu(卦序: the orderly sequence of... m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at the history of studies of Guaxu(卦序: the orderly sequence of 64 hexagrams in current version of I Ching) is acting as an important pillar of his theory of Cuozong by reviewing Lai Zhide(Lai)’s Shangxiajingpianyi(上下經篇義).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study of Guaxu, which tried to identify the 64 hexagrams’s allocation and distin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lines, then redefined them in two branches. According to the review, one is a study of Guaxu that expands its viewpoint based on the theory of ‘Shangjingtiandao, Xiajingrendao’(上經天道, 下經人道) from Xuguazhuan, the other is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Ererxiangou, Feifujibian’(二二相耦, 非覆卽變) from Zhouyizhengyi. Based on such comprehension, this study reviewed Lai’s Shangxiajingpianyi. According to this, Lai’s work made clear that of Wenwang’s main principles of Xugua(序卦), which based on the history of Guaxu, was Cuo(錯) and Zong(綜). This confirmed that the history of Guaxu study is working as another important pillar in his theory of Cuozong.
keywords: Lai Zhide, Shangxiajingpianyi, theory of Cuozong, principles of Xugua, the study of Guaxu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s a comparative review of the editions of Lai Zhide’s ... mor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s a comparative review of the editions of Lai Zhide’s Zhouyi Jizhu, Zhang Weiren’s (Zhang) and Gao Wengying’s (Gao), to clearly 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ranches, while revealing the origin of the diagrams that are only contained in Gao’s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the difference between Zhang’s branch and Gao’s branch is appeared in three main aspects, other than their differences in printing. The first difference is whether or not there exists a volume of sixteen. Zhang’s consists of sixteen volumes in total, however, Gao’s only has fifteen. The sixteenth volume of Zhang’s has two episodes, Kaoding Jicishangxiachuan (考定繋辭上下傳) and Buding Shuoguachuan (補定說卦傳), which Gao’s does not. The second difference is how the characters and phrases differ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parison of Volume one (Zhouyi Jizhu), we could confirm that several of the paragraphs are omitted. The third difference is number of diagrams and descriptions. Gao’s has Juanmo (卷末), but has no volume sixteen. There are over a hundred diagrams and descriptions at the Futu (附圖) of Juanmo, as well as 19 of them in the Juanshou (卷首) under the name of Buyi (補遺); however, there is none in Zhang’s. Main question is, Gao’s diagrams and descriptions, 19 of Buyi and well over a hundred of them of Futu, are how related to Lai Zhide.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Buyi’s diagrams and descriptions originated from Rilu (日錄) written by Lai Zhide, but the diagrams and descriptions in Futu are mostly excerpts from the of Hu Juren (胡居仁)’s Yixiangchao (易像抄) and Zhang Huang (章潢)’s Tushubian (圖書編), while some of them were works of Qu Jiusi (瞿九思) or Gao himself.
According to this contemplation, the ratio of Laoyang(老陽):Shaoyin(少陰):Shaoyang(少陽):Laoyin(老陰)(Six... more According to this contemplation, the ratio of Laoyang(老陽):Shaoyin(少陰):Shaoyang(少陽):Laoyin(老陰)(Sixiang四象) derived from Jeong Yakyong(丁若鏞)'s divining method is exactly 1:3:3:1. Through this contemplation, he suggested that we can correct the problem of inequality caused by the ratio of Sixiang derived from Zhu Xi(朱熹)'s divining method(3:7:5:1). This shows that in the process of improving Zhu Xi's method, he was not only aware of the problem of application of a number of Bianyao(變爻) occurred, but also of the inequality problem. His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大衍之數) chapter was not merely based on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with Zhu Xi's Zhouyi(周易) scripture, but on the attempt to solve problems arising from Zhu Xi's method. As we can see, this problem of inequality of Sixiang was considered as a challenge throughout the history of Chinese study on Zhouyi. Although Zhang Li(張理)'s or Ji Ben(季本)'s method did correct the ratio of Sixiang to 1:3:3:1, Huang Zongxi(黃宗羲) evaluated their attempts to improve Zhu Xi's method as a failure because their attempts fail to maintain consistency of Dayanzhishu chapter and method. This demonstrat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their improvements could not deviated from Zhu Xi's original interpretations. Huang concluded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solve or not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This is just an indication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Dayanzhishu chapter is also trapped in Zhu Xi's interpretation. Jeong tried to mak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because he was aware of the improvement attempts and limitations of the Zhouyi scholars as he improved Zhu Xi's method. It is true that Jeong's method may have brought complications to the process compared to Zhu Xi's method due to the addition of a new process. However,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and its improvements were considered as a monumental success because the process was able to maintain consistency between the scripture and the method and able to solve the major problems in Zhu Xi's method. 본 논문에서는 정약용의 서법에서 도출되는 노양:소음:소양:노음의 비율이 정확히 1:3:3:1로, 그가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3:7:5:1)’를 해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그가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다효변시 점사적용의 문제’만이 아니라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도 의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연지수”장 전반에 대한 그의 새로운 해석도 단순히 주역 경문經文에 대한 주희와의 이해 차이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는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여겨져 왔다. 장리의 ‘좌설법’이나 계본의 ‘48책법’이 비록 음양노소의 도출비율을 1:3:3:1로 조정하였지만 황종희가 그들의 서법 개량을 실패한 시도라 평가한 이유는, “대연지수”장의 해석과 서법 방식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그들의 서법 개량이 주희의 “대연지수”장 해석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 이상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고 해결할 필요도 없다는 황종희의 포기선언 또한 결국에는 그의 “대연지수”장 이해가 주희의 해석에 갇혀 있음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 정약용이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면서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은 바로 그러한, 중국역학사에 등장했던 개량시도들의 근본적 한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정약용의 서법이 새로운 과정 추가로 인해 주희의 서법에 비해 번쇄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그의 서법 개량은, “대연지수”장과 서법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남았던 주희 서법의 중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학사적으로 유례없는 성공적인 시도였다고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분류】중국철학, 역학(Chinese Philosophy, Yixue)
【주 제 어】내지덕, 착종설, 괘변설, 효변설, 괘생성론(Lai Zhi-de, Cuozong th... more 【주제분류】중국철학, 역학(Chinese Philosophy, Yixue) 【주 제 어】내지덕, 착종설, 괘변설, 효변설, 괘생성론(Lai Zhi-de, Cuozong theory, Guabian theory, Yaobian theory, Theory of Gua-creation) 【요 약 문】본 논문에서는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 역학체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바, 즉 그의 괘변설 비판 의 의도 및 그 비판의 근거인 착종설과 효변설의 관계 그리고 괘생성 론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은 우번 이래의 자모괘래지설에 의한 「단전」 해 석을 착종설의 종괘로 대체한 것으로, 문왕의 주역 창작원리인 착종 (錯綜)을 주역 전체의 해석에 일관되게 적용시키고자 한 의도에서 비 롯된 것이다. 그의 주요 해석원리 중 하나인 변(變)은 소성괘에서 한 효의 음양변화를 의미하는 효변설로, 효사 해석에서 착종과 중효를 보 완하여 괘상을 도출하기 위한 원리이다. 이러한 효변설은 그의 역학체 계에서 괘변설 비판의 근거가 되는 착종설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 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지덕은 정주역학에서 괘생성론으로 인식되어 온 괘변설을 취하지 않기에 이를 대체할 괘생성론을 제시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는 주희와 달리 선천후천의 구분을 부정하기에 선천역의 가 일배법을 취하지 않고, 「계사전」에 근거하여 소성괘 팔괘와 팔순괘의 생성을 설명하고, 팔순괘의 순차적 효변을 통해 64괘의 생성을 설명 하였다. 그의 이러한 괘생성론에서는 경방 역학의 영향을 엿볼 수 있었다. 本研究的目的在于解开,在理解来知德易之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时所产生的疑问点。其问题点如下。第一,来知德之易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与爻变说的关联问题。另一个问题则是,关于来知德的卦变说批判,在其易学体系中诉求崭新的卦之生成论。 来知德的卦变说批判,将以虞翻以来的自某卦之说作为依据的彖传解释,以自己的综卦来代替。也就是,将文王的《周易》创作原理的〈错综〉,以及从易之解释的总体当中来作出贯通连结。来氏的易解释原理的其中之一〈变〉,它所指的是,于小成卦中一爻的阴阳变化之爻变说,在爻辞解释之中補完错综、中爻导出卦象的原理。另外,来知德不承认以往被作为卦生成论而作理解的〈说卦传〉中的乾坤生六子说。因此他必须与朱熹一样,提示出新的卦之生成论。但是来氏与朱熹不同的是,他否定了先天后天的区别,因此不承认先天易的卦之生成论,他据〈系辞传〉来说明小成卦之八卦与八纯卦之生成,而且通过八纯卦中顺序性的爻变来说明六十四卦的生成。可以看到来知德这般的卦之生成论受到了京房易学的影响。
본 연구는 에도 후기의 대표적 유학자, 가이호 교손(海保漁村)의 주역고
점법을 고찰해 그의 주희 점서법 비판과 복원 및 학문적 특징을 규명하고
자 한 것이다. 그는 주역... more 본 연구는 에도 후기의 대표적 유학자, 가이호 교손(海保漁村)의 주역고 점법을 고찰해 그의 주희 점서법 비판과 복원 및 학문적 특징을 규명하고 자 한 것이다. 그는 주역, 좌전 등의 경전과 이와 시대적으로 가까운 정현, 두예 등 한당의 고주를 근거로 삼고 이를 역사서와 송명청대의 여러 유관자료들을 참고해 고증하는 방식을 통해, 주희의 점서법을 비판하고 다 음과 같이 복원한다. 첫째 그는 하상조의 占彖 방식과 주왕조의 占爻 방식 을 주역 본래의 점법을 구성하는 큰 틀로 보고, 변효가 하나인 경우에만 해당 효사로 점치는 점효 방식을 적용하고 나머지 경우는 본괘 또는 지괘 의 단(彖), 즉 괘사, 괘의, 괘상을 바탕으로 점치는 점단 방식을 적용해 점 법을 체계화한다. 둘째 그는 하도낙서로 대연지수를 해명하고 태극을 理와 동일시하는 주희의 일부 해석을 비판하고 「계사전」과 한당 고주를 바탕으 로 ‘대연지수’장을 재해석함으로써 ‘태극은 음양미분의 원기’, ‘시책의 개수 는 본래 49’라는 등 설시법에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서의」가 주희 의 저작임을 부정하고 의례의 유관 경문을 재구성해 유가 본연의 서법 의례를 복원하고, 전승이 끊어진 한역의 逸象 및 괘기설과 효진설 관련 도 상을 집록하며 한역의 상수적 요소들을 주역의 이해와 점서에 있어 필수 적이라 강조한다. 그의 점서법 복원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七은 시책의 수, 八은 괘의 수’라는 견해는 「계사상전」 “蓍之德圓而神, 卦之德方以知”에 대한 정현과 최경의 해석에 근거한 것이다. 교손이 이처럼 점서법 복원에 몰 두한 이유는 점서가 주역의 본질로서 우리가 일상에서 ‘과실을 줄이도록 하는’(寡其過) 모범적 인간의 길을 제시해준다고 보았고, 그것이 바로 공자가 ‘玩占’과 ‘學易’을 강조한 본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이러한 주역 이해가 당시 일본의 시대적 상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기 위해서 는 그의 사상 전반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道敎文化硏究(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2022
This paper is that critically reviewed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from the perspective of Yixu... more This paper is that critically reviewed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易學).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that the current Taegeukgi design confirmed by the National Flag Manufacturing Act in October 1949 does not conform to the principle of Yi(易). The researchers who insists on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argue that the Taiji mark of Taegeukgi must be modified to the same shape as the old diagram of Taiji to conform to the principle of Yi. In this paper, the arguments of the Taegeukgi errorist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 and it was shown that the Taegeukgi design did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Yi. According to this papers consideration, the diagrams of Yi, which shows the change of yin and yang in Taiji,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Taiji pattern, the old diagram of Taiji belongs to the ‘⼄’ shape, and the Taegeukgi belongs to the ‘S’ shape. The Taegeukgi errorists argue that the S-shaped Taiji pattern is wrong and only the ⼄-shaped is right. According to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shaped and ⼄-shaped Taiji patterns is only a difference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Gua(卦), and both fully embody the principle of Xiaoxi(消息) of yin and ya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shaped Taegeukgi also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Yi, and that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wrong.
‘Is there a Cuojian in Zagua?’ The dispute over this topic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I-Ching s... more ‘Is there a Cuojian in Zagua?’ The dispute over this topic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I-Ching studies. There has been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the ‘Revisionist’ faction that argues people should recognize Cuojian and should understand Zagua through the revised script, and the ‘Preservationist’ faction that insists people should understand Zagua as the original script. In this debate, the former (the Revisionists) had to secure justification for revising the script, and the latter (the Preservationists) had to present a working theory that could explain the Zagua more consistently. In the process, both factions (or parties) showed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Zagua’s authoring intent. Lai Zhide, a representative of the Revisionist faction, sought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Cuojian revision through the theory of Cuo Zong, which is the King Mun’s creation principle of I-Ching, is consistently presented in the scripture. Therefore he asserted that Zagua is to exhibit Cuo Zong theory. Li Guangdi, a representative of the Preservationist faction, tried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preserving the meaning of the script by explaining the Zagua with the theory of Hu Ti. Therefore he contended that the intention of Zagua is the theory of Hu Ti. Thus, the issue of contention did not stop at ‘whether Cuojian exists’; rather it extended to ‘authoring intent’ of the Zagua. ‘「잡괘전雜卦傳」에는 착간錯簡이 존재하는가?’ 이 문제를 둘러싼 착간 논쟁은 역학사의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로, ‘착간개정파’와 ‘경문고수파’가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이 논쟁에서 착간개정파는 통행본 64괘의 배열원리를 근거로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고, 경문고수파는 ‘협운설’, ‘호체설’과 같은 새로운 해명원리를 바탕으로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마련하려 했다. 그러나 양측의 정당화 방식에는 여전히 난점이 존재하였다. 착간개정파는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왜 「잡괘전」에서도 지켜져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해명해야 했고, 경문고수파는 착간개정파와 같이 「잡괘전」을 일관되게 해명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양측의 논쟁은 「잡괘전」 저작 의도를 둘러싼 논쟁으로 확대되었다. 착간개정파를 대표하는 내지덕來知德은 64괘의 배열에 나타나는 ‘착종錯綜’을 성인의 주역 창작 원리인 음양의 ‘대대對待’와 ‘유행流行’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이 착종의 원리가 주역 전체에 일관되어 있다는 ‘착종설’을 제시함으로써,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잡괘전」에서도 일관되게 지켜져야 함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착종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경문고수파를 대표하는 이광지李光地는 호병문의 호체설을 「잡괘전」 전체로 확장하고 대과 이후의 불규칙한 배열을 ‘순환호체설’로 해명함으로써, 「잡괘전」의 전체 배열에 ‘호체互體’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호체의 원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이처럼 양자의 「잡괘전」 이해는 매우 상이한 듯이 보이지만, 이광지 또한 호체설의 四象을 통해 우주자연의 변화를 드러내려 했다는 점에서 양자가 「잡괘전」에서 본 易의 원리, 즉 착종과 호체는 “一陰一陽之謂道”의 異名同實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at the history of studies of Guaxu(卦序: the orderly sequence of... m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at the history of studies of Guaxu(卦序: the orderly sequence of 64 hexagrams in current version of I Ching) is acting as an important pillar of his theory of Cuozong by reviewing Lai Zhide(Lai)’s Shangxiajingpianyi(上下經篇義).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study of Guaxu, which tried to identify the 64 hexagrams’s allocation and distin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lines, then redefined them in two branches. According to the review, one is a study of Guaxu that expands its viewpoint based on the theory of ‘Shangjingtiandao, Xiajingrendao’(上經天道, 下經人道) from Xuguazhuan, the other is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Ererxiangou, Feifujibian’(二二相耦, 非覆卽變) from Zhouyizhengyi. Based on such comprehension, this study reviewed Lai’s Shangxiajingpianyi. According to this, Lai’s work made clear that of Wenwang’s main principles of Xugua(序卦), which based on the history of Guaxu, was Cuo(錯) and Zong(綜). This confirmed that the history of Guaxu study is working as another important pillar in his theory of Cuozong.
keywords: Lai Zhide, Shangxiajingpianyi, theory of Cuozong, principles of Xugua, the study of Guaxu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s a comparative review of the editions of Lai Zhide’s ... mor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s a comparative review of the editions of Lai Zhide’s Zhouyi Jizhu, Zhang Weiren’s (Zhang) and Gao Wengying’s (Gao), to clearly 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ranches, while revealing the origin of the diagrams that are only contained in Gao’s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the difference between Zhang’s branch and Gao’s branch is appeared in three main aspects, other than their differences in printing. The first difference is whether or not there exists a volume of sixteen. Zhang’s consists of sixteen volumes in total, however, Gao’s only has fifteen. The sixteenth volume of Zhang’s has two episodes, Kaoding Jicishangxiachuan (考定繋辭上下傳) and Buding Shuoguachuan (補定說卦傳), which Gao’s does not. The second difference is how the characters and phrases differ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parison of Volume one (Zhouyi Jizhu), we could confirm that several of the paragraphs are omitted. The third difference is number of diagrams and descriptions. Gao’s has Juanmo (卷末), but has no volume sixteen. There are over a hundred diagrams and descriptions at the Futu (附圖) of Juanmo, as well as 19 of them in the Juanshou (卷首) under the name of Buyi (補遺); however, there is none in Zhang’s. Main question is, Gao’s diagrams and descriptions, 19 of Buyi and well over a hundred of them of Futu, are how related to Lai Zhide.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Buyi’s diagrams and descriptions originated from Rilu (日錄) written by Lai Zhide, but the diagrams and descriptions in Futu are mostly excerpts from the of Hu Juren (胡居仁)’s Yixiangchao (易像抄) and Zhang Huang (章潢)’s Tushubian (圖書編), while some of them were works of Qu Jiusi (瞿九思) or Gao himself.
According to this contemplation, the ratio of Laoyang(老陽):Shaoyin(少陰):Shaoyang(少陽):Laoyin(老陰)(Six... more According to this contemplation, the ratio of Laoyang(老陽):Shaoyin(少陰):Shaoyang(少陽):Laoyin(老陰)(Sixiang四象) derived from Jeong Yakyong(丁若鏞)'s divining method is exactly 1:3:3:1. Through this contemplation, he suggested that we can correct the problem of inequality caused by the ratio of Sixiang derived from Zhu Xi(朱熹)'s divining method(3:7:5:1). This shows that in the process of improving Zhu Xi's method, he was not only aware of the problem of application of a number of Bianyao(變爻) occurred, but also of the inequality problem. His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大衍之數) chapter was not merely based on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with Zhu Xi's Zhouyi(周易) scripture, but on the attempt to solve problems arising from Zhu Xi's method. As we can see, this problem of inequality of Sixiang was considered as a challenge throughout the history of Chinese study on Zhouyi. Although Zhang Li(張理)'s or Ji Ben(季本)'s method did correct the ratio of Sixiang to 1:3:3:1, Huang Zongxi(黃宗羲) evaluated their attempts to improve Zhu Xi's method as a failure because their attempts fail to maintain consistency of Dayanzhishu chapter and method. This demonstrat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their improvements could not deviated from Zhu Xi's original interpretations. Huang concluded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solve or not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This is just an indication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Dayanzhishu chapter is also trapped in Zhu Xi's interpretation. Jeong tried to mak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because he was aware of the improvement attempts and limitations of the Zhouyi scholars as he improved Zhu Xi's method. It is true that Jeong's method may have brought complications to the process compared to Zhu Xi's method due to the addition of a new process. However,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and its improvements were considered as a monumental success because the process was able to maintain consistency between the scripture and the method and able to solve the major problems in Zhu Xi's method. 본 논문에서는 정약용의 서법에서 도출되는 노양:소음:소양:노음의 비율이 정확히 1:3:3:1로, 그가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3:7:5:1)’를 해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그가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다효변시 점사적용의 문제’만이 아니라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도 의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연지수”장 전반에 대한 그의 새로운 해석도 단순히 주역 경문經文에 대한 주희와의 이해 차이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는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여겨져 왔다. 장리의 ‘좌설법’이나 계본의 ‘48책법’이 비록 음양노소의 도출비율을 1:3:3:1로 조정하였지만 황종희가 그들의 서법 개량을 실패한 시도라 평가한 이유는, “대연지수”장의 해석과 서법 방식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그들의 서법 개량이 주희의 “대연지수”장 해석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 이상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고 해결할 필요도 없다는 황종희의 포기선언 또한 결국에는 그의 “대연지수”장 이해가 주희의 해석에 갇혀 있음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 정약용이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면서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은 바로 그러한, 중국역학사에 등장했던 개량시도들의 근본적 한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정약용의 서법이 새로운 과정 추가로 인해 주희의 서법에 비해 번쇄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그의 서법 개량은, “대연지수”장과 서법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남았던 주희 서법의 중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학사적으로 유례없는 성공적인 시도였다고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분류】중국철학, 역학(Chinese Philosophy, Yixue)
【주 제 어】내지덕, 착종설, 괘변설, 효변설, 괘생성론(Lai Zhi-de, Cuozong th... more 【주제분류】중국철학, 역학(Chinese Philosophy, Yixue) 【주 제 어】내지덕, 착종설, 괘변설, 효변설, 괘생성론(Lai Zhi-de, Cuozong theory, Guabian theory, Yaobian theory, Theory of Gua-creation) 【요 약 문】본 논문에서는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 역학체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바, 즉 그의 괘변설 비판 의 의도 및 그 비판의 근거인 착종설과 효변설의 관계 그리고 괘생성 론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은 우번 이래의 자모괘래지설에 의한 「단전」 해 석을 착종설의 종괘로 대체한 것으로, 문왕의 주역 창작원리인 착종 (錯綜)을 주역 전체의 해석에 일관되게 적용시키고자 한 의도에서 비 롯된 것이다. 그의 주요 해석원리 중 하나인 변(變)은 소성괘에서 한 효의 음양변화를 의미하는 효변설로, 효사 해석에서 착종과 중효를 보 완하여 괘상을 도출하기 위한 원리이다. 이러한 효변설은 그의 역학체 계에서 괘변설 비판의 근거가 되는 착종설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 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지덕은 정주역학에서 괘생성론으로 인식되어 온 괘변설을 취하지 않기에 이를 대체할 괘생성론을 제시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는 주희와 달리 선천후천의 구분을 부정하기에 선천역의 가 일배법을 취하지 않고, 「계사전」에 근거하여 소성괘 팔괘와 팔순괘의 생성을 설명하고, 팔순괘의 순차적 효변을 통해 64괘의 생성을 설명 하였다. 그의 이러한 괘생성론에서는 경방 역학의 영향을 엿볼 수 있었다. 本研究的目的在于解开,在理解来知德易之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时所产生的疑问点。其问题点如下。第一,来知德之易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与爻变说的关联问题。另一个问题则是,关于来知德的卦变说批判,在其易学体系中诉求崭新的卦之生成论。 来知德的卦变说批判,将以虞翻以来的自某卦之说作为依据的彖传解释,以自己的综卦来代替。也就是,将文王的《周易》创作原理的〈错综〉,以及从易之解释的总体当中来作出贯通连结。来氏的易解释原理的其中之一〈变〉,它所指的是,于小成卦中一爻的阴阳变化之爻变说,在爻辞解释之中補完错综、中爻导出卦象的原理。另外,来知德不承认以往被作为卦生成论而作理解的〈说卦传〉中的乾坤生六子说。因此他必须与朱熹一样,提示出新的卦之生成论。但是来氏与朱熹不同的是,他否定了先天后天的区别,因此不承认先天易的卦之生成论,他据〈系辞传〉来说明小成卦之八卦与八纯卦之生成,而且通过八纯卦中顺序性的爻变来说明六十四卦的生成。可以看到来知德这般的卦之生成论受到了京房易学的影响。
Uploads
Papers by Dong-Jin Kim
점법을 고찰해 그의 주희 점서법 비판과 복원 및 학문적 특징을 규명하고
자 한 것이다. 그는 주역, 좌전 등의 경전과 이와 시대적으로 가까운
정현, 두예 등 한당의 고주를 근거로 삼고 이를 역사서와 송명청대의 여러
유관자료들을 참고해 고증하는 방식을 통해, 주희의 점서법을 비판하고 다
음과 같이 복원한다. 첫째 그는 하상조의 占彖 방식과 주왕조의 占爻 방식
을 주역 본래의 점법을 구성하는 큰 틀로 보고, 변효가 하나인 경우에만
해당 효사로 점치는 점효 방식을 적용하고 나머지 경우는 본괘 또는 지괘
의 단(彖), 즉 괘사, 괘의, 괘상을 바탕으로 점치는 점단 방식을 적용해 점
법을 체계화한다. 둘째 그는 하도낙서로 대연지수를 해명하고 태극을 理와
동일시하는 주희의 일부 해석을 비판하고 「계사전」과 한당 고주를 바탕으
로 ‘대연지수’장을 재해석함으로써 ‘태극은 음양미분의 원기’, ‘시책의 개수
는 본래 49’라는 등 설시법에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서의」가 주희
의 저작임을 부정하고 의례의 유관 경문을 재구성해 유가 본연의 서법
의례를 복원하고, 전승이 끊어진 한역의 逸象 및 괘기설과 효진설 관련 도
상을 집록하며 한역의 상수적 요소들을 주역의 이해와 점서에 있어 필수
적이라 강조한다. 그의 점서법 복원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七은 시책의
수, 八은 괘의 수’라는 견해는 「계사상전」 “蓍之德圓而神, 卦之德方以知”에
대한 정현과 최경의 해석에 근거한 것이다. 교손이 이처럼 점서법 복원에 몰
두한 이유는 점서가 주역의 본질로서 우리가 일상에서 ‘과실을 줄이도록
하는’(寡其過) 모범적 인간의 길을 제시해준다고 보았고, 그것이 바로 공자가 ‘玩占’과 ‘學易’을 강조한 본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이러한 주역 이해가 당시 일본의 시대적 상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기 위해서
는 그의 사상 전반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rguments of the Taegeukgi errorist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 and it was shown that the Taegeukgi design did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Yi. According to this papers consideration, the diagrams of Yi, which shows the change of yin and yang in Taiji,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Taiji pattern, the old diagram of Taiji belongs to the ‘⼄’ shape, and the Taegeukgi belongs to the ‘S’ shape. The Taegeukgi errorists argue that the S-shaped Taiji pattern is wrong and only the ⼄-shaped is right. According to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shaped and ⼄-shaped Taiji patterns is only a difference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Gua(卦), and both fully embody the principle of Xiaoxi(消息) of yin and ya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shaped Taegeukgi also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Yi, and that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wrong.
‘「잡괘전雜卦傳」에는 착간錯簡이 존재하는가?’ 이 문제를 둘러싼 착간 논쟁은 역학사의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로, ‘착간개정파’와 ‘경문고수파’가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이 논쟁에서 착간개정파는 통행본 64괘의 배열원리를 근거로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고, 경문고수파는 ‘협운설’, ‘호체설’과 같은 새로운 해명원리를 바탕으로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마련하려 했다. 그러나 양측의 정당화 방식에는 여전히 난점이 존재하였다. 착간개정파는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왜 「잡괘전」에서도 지켜져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해명해야 했고, 경문고수파는 착간개정파와 같이 「잡괘전」을 일관되게 해명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양측의 논쟁은 「잡괘전」 저작 의도를 둘러싼 논쟁으로 확대되었다.
착간개정파를 대표하는 내지덕來知德은 64괘의 배열에 나타나는 ‘착종錯綜’을 성인의 주역 창작 원리인 음양의 ‘대대對待’와 ‘유행流行’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이 착종의 원리가 주역 전체에 일관되어 있다는 ‘착종설’을 제시함으로써,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잡괘전」에서도 일관되게 지켜져야 함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착종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경문고수파를 대표하는 이광지李光地는 호병문의 호체설을 「잡괘전」 전체로 확장하고 대과 이후의 불규칙한 배열을 ‘순환호체설’로 해명함으로써, 「잡괘전」의 전체 배열에 ‘호체互體’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호체의 원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이처럼 양자의 「잡괘전」 이해는 매우 상이한 듯이 보이지만, 이광지 또한 호체설의 四象을 통해 우주자연의 변화를 드러내려 했다는 점에서 양자가 「잡괘전」에서 본 易의 원리, 즉 착종과 호체는 “一陰一陽之謂道”의 異名同實이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study of Guaxu, which tried to identify the 64 hexagrams’s allocation and distin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lines, then redefined them in two branches. According to the review, one is a study of Guaxu that expands its viewpoint based on the theory of ‘Shangjingtiandao, Xiajingrendao’(上經天道, 下經人道) from Xuguazhuan, the other is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Ererxiangou, Feifujibian’(二二相耦, 非覆卽變) from Zhouyizhengyi. Based on such comprehension, this study reviewed Lai’s Shangxiajingpianyi. According to this, Lai’s work made clear that of Wenwang’s main principles of Xugua(序卦), which based on the history of Guaxu, was Cuo(錯) and Zong(綜). This confirmed that the history of Guaxu study is working as another important pillar in his theory of Cuozong.
keywords: Lai Zhide, Shangxiajingpianyi, theory of Cuozong, principles of Xugua, the study of Guaxu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the difference between Zhang’s branch and Gao’s branch is appeared in three main aspects, other than their differences in printing. The first difference is whether or not there exists a volume of sixteen. Zhang’s consists of sixteen volumes in total, however, Gao’s only has fifteen. The sixteenth volume of Zhang’s has two episodes, Kaoding Jicishangxiachuan (考定繋辭上下傳) and Buding Shuoguachuan (補定說卦傳), which Gao’s does not. The second difference is how the characters and phrases differ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parison of Volume one (Zhouyi Jizhu), we could confirm that several of the paragraphs are omitted. The third difference is number of diagrams and descriptions. Gao’s has Juanmo (卷末), but has no volume sixteen. There are over a hundred diagrams and descriptions at the Futu (附圖) of Juanmo, as well as 19 of them in the Juanshou (卷首) under the name of Buyi (補遺); however, there is none in Zhang’s.
Main question is, Gao’s diagrams and descriptions, 19 of Buyi and well over a hundred of them of Futu, are how related to Lai Zhide.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Buyi’s diagrams and descriptions originated from Rilu (日錄) written by Lai Zhide, but the diagrams and descriptions in Futu are mostly excerpts from the of Hu Juren (胡居仁)’s Yixiangchao (易像抄) and Zhang Huang (章潢)’s Tushubian (圖書編), while some of them were works of Qu Jiusi (瞿九思) or Gao himself.
Keywords: Lai Zhide, Zhouyi Jizhu, Zhang Weiren (張惟任), Gao Wengying (高奣映), Yixiangchao (易像抄), Tushubian (圖書編), Qu Jiusi (瞿九思)
As we can see, this problem of inequality of Sixiang was considered as a challenge throughout the history of Chinese study on Zhouyi. Although Zhang Li(張理)'s or Ji Ben(季本)'s method did correct the ratio of Sixiang to 1:3:3:1, Huang Zongxi(黃宗羲) evaluated their attempts to improve Zhu Xi's method as a failure because their attempts fail to maintain consistency of Dayanzhishu chapter and method. This demonstrat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their improvements could not deviated from Zhu Xi's original interpretations. Huang concluded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solve or not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This is just an indication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Dayanzhishu chapter is also trapped in Zhu Xi's interpretation. Jeong tried to mak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because he was aware of the improvement attempts and limitations of the Zhouyi scholars as he improved Zhu Xi's method.
It is true that Jeong's method may have brought complications to the process compared to Zhu Xi's method due to the addition of a new process. However,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and its improvements were considered as a monumental success because the process was able to maintain consistency between the scripture and the method and able to solve the major problems in Zhu Xi's method.
본 논문에서는 정약용의 서법에서 도출되는 노양:소음:소양:노음의 비율이 정확히 1:3:3:1로, 그가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3:7:5:1)’를 해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그가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다효변시 점사적용의 문제’만이 아니라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도 의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연지수”장 전반에 대한 그의 새로운 해석도 단순히 주역 경문經文에 대한 주희와의 이해 차이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는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여겨져 왔다. 장리의 ‘좌설법’이나 계본의 ‘48책법’이 비록 음양노소의 도출비율을 1:3:3:1로 조정하였지만 황종희가 그들의 서법 개량을 실패한 시도라 평가한 이유는, “대연지수”장의 해석과 서법 방식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그들의 서법 개량이 주희의 “대연지수”장 해석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 이상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고 해결할 필요도 없다는 황종희의 포기선언 또한 결국에는 그의 “대연지수”장 이해가 주희의 해석에 갇혀 있음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 정약용이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면서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은 바로 그러한, 중국역학사에 등장했던 개량시도들의 근본적 한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정약용의 서법이 새로운 과정 추가로 인해 주희의 서법에 비해 번쇄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그의 서법 개량은, “대연지수”장과 서법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남았던 주희 서법의 중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학사적으로 유례없는 성공적인 시도였다고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주 제 어】내지덕, 착종설, 괘변설, 효변설, 괘생성론(Lai Zhi-de, Cuozong theory, Guabian theory, Yaobian theory, Theory of Gua-creation)
【요 약 문】본 논문에서는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 역학체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바, 즉 그의 괘변설 비판 의 의도 및 그 비판의 근거인 착종설과 효변설의 관계 그리고 괘생성 론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은 우번 이래의 자모괘래지설에 의한 「단전」 해 석을 착종설의 종괘로 대체한 것으로, 문왕의 주역 창작원리인 착종 (錯綜)을 주역 전체의 해석에 일관되게 적용시키고자 한 의도에서 비 롯된 것이다. 그의 주요 해석원리 중 하나인 변(變)은 소성괘에서 한 효의 음양변화를 의미하는 효변설로, 효사 해석에서 착종과 중효를 보 완하여 괘상을 도출하기 위한 원리이다. 이러한 효변설은 그의 역학체 계에서 괘변설 비판의 근거가 되는 착종설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 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지덕은 정주역학에서 괘생성론으로 인식되어 온 괘변설을 취하지 않기에 이를 대체할 괘생성론을 제시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는 주희와 달리 선천후천의 구분을 부정하기에 선천역의 가 일배법을 취하지 않고, 「계사전」에 근거하여 소성괘 팔괘와 팔순괘의 생성을 설명하고, 팔순괘의 순차적 효변을 통해 64괘의 생성을 설명 하였다. 그의 이러한 괘생성론에서는 경방 역학의 영향을 엿볼 수 있었다.
本研究的目的在于解开,在理解来知德易之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时所产生的疑问点。其问题点如下。第一,来知德之易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与爻变说的关联问题。另一个问题则是,关于来知德的卦变说批判,在其易学体系中诉求崭新的卦之生成论。 来知德的卦变说批判,将以虞翻以来的自某卦之说作为依据的彖传解释,以自己的综卦来代替。也就是,将文王的《周易》创作原理的〈错综〉,以及从易之解释的总体当中来作出贯通连结。来氏的易解释原理的其中之一〈变〉,它所指的是,于小成卦中一爻的阴阳变化之爻变说,在爻辞解释之中補完错综、中爻导出卦象的原理。另外,来知德不承认以往被作为卦生成论而作理解的〈说卦传〉中的乾坤生六子说。因此他必须与朱熹一样,提示出新的卦之生成论。但是来氏与朱熹不同的是,他否定了先天后天的区别,因此不承认先天易的卦之生成论,他据〈系辞传〉来说明小成卦之八卦与八纯卦之生成,而且通过八纯卦中顺序性的爻变来说明六十四卦的生成。可以看到来知德这般的卦之生成论受到了京房易学的影响。
점법을 고찰해 그의 주희 점서법 비판과 복원 및 학문적 특징을 규명하고
자 한 것이다. 그는 주역, 좌전 등의 경전과 이와 시대적으로 가까운
정현, 두예 등 한당의 고주를 근거로 삼고 이를 역사서와 송명청대의 여러
유관자료들을 참고해 고증하는 방식을 통해, 주희의 점서법을 비판하고 다
음과 같이 복원한다. 첫째 그는 하상조의 占彖 방식과 주왕조의 占爻 방식
을 주역 본래의 점법을 구성하는 큰 틀로 보고, 변효가 하나인 경우에만
해당 효사로 점치는 점효 방식을 적용하고 나머지 경우는 본괘 또는 지괘
의 단(彖), 즉 괘사, 괘의, 괘상을 바탕으로 점치는 점단 방식을 적용해 점
법을 체계화한다. 둘째 그는 하도낙서로 대연지수를 해명하고 태극을 理와
동일시하는 주희의 일부 해석을 비판하고 「계사전」과 한당 고주를 바탕으
로 ‘대연지수’장을 재해석함으로써 ‘태극은 음양미분의 원기’, ‘시책의 개수
는 본래 49’라는 등 설시법에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서의」가 주희
의 저작임을 부정하고 의례의 유관 경문을 재구성해 유가 본연의 서법
의례를 복원하고, 전승이 끊어진 한역의 逸象 및 괘기설과 효진설 관련 도
상을 집록하며 한역의 상수적 요소들을 주역의 이해와 점서에 있어 필수
적이라 강조한다. 그의 점서법 복원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七은 시책의
수, 八은 괘의 수’라는 견해는 「계사상전」 “蓍之德圓而神, 卦之德方以知”에
대한 정현과 최경의 해석에 근거한 것이다. 교손이 이처럼 점서법 복원에 몰
두한 이유는 점서가 주역의 본질로서 우리가 일상에서 ‘과실을 줄이도록
하는’(寡其過) 모범적 인간의 길을 제시해준다고 보았고, 그것이 바로 공자가 ‘玩占’과 ‘學易’을 강조한 본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이러한 주역 이해가 당시 일본의 시대적 상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기 위해서
는 그의 사상 전반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rguments of the Taegeukgi errorist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 and it was shown that the Taegeukgi design did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Yi. According to this papers consideration, the diagrams of Yi, which shows the change of yin and yang in Taiji,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Taiji pattern, the old diagram of Taiji belongs to the ‘⼄’ shape, and the Taegeukgi belongs to the ‘S’ shape. The Taegeukgi errorists argue that the S-shaped Taiji pattern is wrong and only the ⼄-shaped is right. According to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shaped and ⼄-shaped Taiji patterns is only a difference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Gua(卦), and both fully embody the principle of Xiaoxi(消息) of yin and ya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shaped Taegeukgi also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Yi, and that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wrong.
‘「잡괘전雜卦傳」에는 착간錯簡이 존재하는가?’ 이 문제를 둘러싼 착간 논쟁은 역학사의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로, ‘착간개정파’와 ‘경문고수파’가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이 논쟁에서 착간개정파는 통행본 64괘의 배열원리를 근거로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고, 경문고수파는 ‘협운설’, ‘호체설’과 같은 새로운 해명원리를 바탕으로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마련하려 했다. 그러나 양측의 정당화 방식에는 여전히 난점이 존재하였다. 착간개정파는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왜 「잡괘전」에서도 지켜져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해명해야 했고, 경문고수파는 착간개정파와 같이 「잡괘전」을 일관되게 해명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양측의 논쟁은 「잡괘전」 저작 의도를 둘러싼 논쟁으로 확대되었다.
착간개정파를 대표하는 내지덕來知德은 64괘의 배열에 나타나는 ‘착종錯綜’을 성인의 주역 창작 원리인 음양의 ‘대대對待’와 ‘유행流行’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이 착종의 원리가 주역 전체에 일관되어 있다는 ‘착종설’을 제시함으로써, 통행본의 배열원리가 「잡괘전」에서도 일관되게 지켜져야 함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경문개정의 정당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착종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경문고수파를 대표하는 이광지李光地는 호병문의 호체설을 「잡괘전」 전체로 확장하고 대과 이후의 불규칙한 배열을 ‘순환호체설’로 해명함으로써, 「잡괘전」의 전체 배열에 ‘호체互體’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경문고수의 당위성을 강화하였다. 그가 이해한 「잡괘전」의 저작 의도는 호체의 원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이처럼 양자의 「잡괘전」 이해는 매우 상이한 듯이 보이지만, 이광지 또한 호체설의 四象을 통해 우주자연의 변화를 드러내려 했다는 점에서 양자가 「잡괘전」에서 본 易의 원리, 즉 착종과 호체는 “一陰一陽之謂道”의 異名同實이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study of Guaxu, which tried to identify the 64 hexagrams’s allocation and distin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lines, then redefined them in two branches. According to the review, one is a study of Guaxu that expands its viewpoint based on the theory of ‘Shangjingtiandao, Xiajingrendao’(上經天道, 下經人道) from Xuguazhuan, the other is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Ererxiangou, Feifujibian’(二二相耦, 非覆卽變) from Zhouyizhengyi. Based on such comprehension, this study reviewed Lai’s Shangxiajingpianyi. According to this, Lai’s work made clear that of Wenwang’s main principles of Xugua(序卦), which based on the history of Guaxu, was Cuo(錯) and Zong(綜). This confirmed that the history of Guaxu study is working as another important pillar in his theory of Cuozong.
keywords: Lai Zhide, Shangxiajingpianyi, theory of Cuozong, principles of Xugua, the study of Guaxu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the difference between Zhang’s branch and Gao’s branch is appeared in three main aspects, other than their differences in printing. The first difference is whether or not there exists a volume of sixteen. Zhang’s consists of sixteen volumes in total, however, Gao’s only has fifteen. The sixteenth volume of Zhang’s has two episodes, Kaoding Jicishangxiachuan (考定繋辭上下傳) and Buding Shuoguachuan (補定說卦傳), which Gao’s does not. The second difference is how the characters and phrases differ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mparison of Volume one (Zhouyi Jizhu), we could confirm that several of the paragraphs are omitted. The third difference is number of diagrams and descriptions. Gao’s has Juanmo (卷末), but has no volume sixteen. There are over a hundred diagrams and descriptions at the Futu (附圖) of Juanmo, as well as 19 of them in the Juanshou (卷首) under the name of Buyi (補遺); however, there is none in Zhang’s.
Main question is, Gao’s diagrams and descriptions, 19 of Buyi and well over a hundred of them of Futu, are how related to Lai Zhide. According to the writer’s review, Buyi’s diagrams and descriptions originated from Rilu (日錄) written by Lai Zhide, but the diagrams and descriptions in Futu are mostly excerpts from the of Hu Juren (胡居仁)’s Yixiangchao (易像抄) and Zhang Huang (章潢)’s Tushubian (圖書編), while some of them were works of Qu Jiusi (瞿九思) or Gao himself.
Keywords: Lai Zhide, Zhouyi Jizhu, Zhang Weiren (張惟任), Gao Wengying (高奣映), Yixiangchao (易像抄), Tushubian (圖書編), Qu Jiusi (瞿九思)
As we can see, this problem of inequality of Sixiang was considered as a challenge throughout the history of Chinese study on Zhouyi. Although Zhang Li(張理)'s or Ji Ben(季本)'s method did correct the ratio of Sixiang to 1:3:3:1, Huang Zongxi(黃宗羲) evaluated their attempts to improve Zhu Xi's method as a failure because their attempts fail to maintain consistency of Dayanzhishu chapter and method. This demonstrat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their improvements could not deviated from Zhu Xi's original interpretations. Huang concluded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solve or not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This is just an indication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Dayanzhishu chapter is also trapped in Zhu Xi's interpretation. Jeong tried to mak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because he was aware of the improvement attempts and limitations of the Zhouyi scholars as he improved Zhu Xi's method.
It is true that Jeong's method may have brought complications to the process compared to Zhu Xi's method due to the addition of a new process. However,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Dayanzhishu chapter and its improvements were considered as a monumental success because the process was able to maintain consistency between the scripture and the method and able to solve the major problems in Zhu Xi's method.
본 논문에서는 정약용의 서법에서 도출되는 노양:소음:소양:노음의 비율이 정확히 1:3:3:1로, 그가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3:7:5:1)’를 해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그가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다효변시 점사적용의 문제’만이 아니라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도 의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연지수”장 전반에 대한 그의 새로운 해석도 단순히 주역 경문經文에 대한 주희와의 이해 차이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주희 서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음양노소 불균등의 문제’는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여겨져 왔다. 장리의 ‘좌설법’이나 계본의 ‘48책법’이 비록 음양노소의 도출비율을 1:3:3:1로 조정하였지만 황종희가 그들의 서법 개량을 실패한 시도라 평가한 이유는, “대연지수”장의 해석과 서법 방식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그들의 서법 개량이 주희의 “대연지수”장 해석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 이상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고 해결할 필요도 없다는 황종희의 포기선언 또한 결국에는 그의 “대연지수”장 이해가 주희의 해석에 갇혀 있음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 정약용이 주희의 서법을 개량하면서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은 바로 그러한, 중국역학사에 등장했던 개량시도들의 근본적 한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정약용의 서법이 새로운 과정 추가로 인해 주희의 서법에 비해 번쇄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연지수”장의 새로운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그의 서법 개량은, “대연지수”장과 서법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중국역학사에서 난제로 남았던 주희 서법의 중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학사적으로 유례없는 성공적인 시도였다고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주 제 어】내지덕, 착종설, 괘변설, 효변설, 괘생성론(Lai Zhi-de, Cuozong theory, Guabian theory, Yaobian theory, Theory of Gua-creation)
【요 약 문】본 논문에서는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 역학체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바, 즉 그의 괘변설 비판 의 의도 및 그 비판의 근거인 착종설과 효변설의 관계 그리고 괘생성 론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내지덕의 괘변설 비판은 우번 이래의 자모괘래지설에 의한 「단전」 해 석을 착종설의 종괘로 대체한 것으로, 문왕의 주역 창작원리인 착종 (錯綜)을 주역 전체의 해석에 일관되게 적용시키고자 한 의도에서 비 롯된 것이다. 그의 주요 해석원리 중 하나인 변(變)은 소성괘에서 한 효의 음양변화를 의미하는 효변설로, 효사 해석에서 착종과 중효를 보 완하여 괘상을 도출하기 위한 원리이다. 이러한 효변설은 그의 역학체 계에서 괘변설 비판의 근거가 되는 착종설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 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지덕은 정주역학에서 괘생성론으로 인식되어 온 괘변설을 취하지 않기에 이를 대체할 괘생성론을 제시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는 주희와 달리 선천후천의 구분을 부정하기에 선천역의 가 일배법을 취하지 않고, 「계사전」에 근거하여 소성괘 팔괘와 팔순괘의 생성을 설명하고, 팔순괘의 순차적 효변을 통해 64괘의 생성을 설명 하였다. 그의 이러한 괘생성론에서는 경방 역학의 영향을 엿볼 수 있었다.
本研究的目的在于解开,在理解来知德易之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时所产生的疑问点。其问题点如下。第一,来知德之易学体系中的卦变说批判与爻变说的关联问题。另一个问题则是,关于来知德的卦变说批判,在其易学体系中诉求崭新的卦之生成论。 来知德的卦变说批判,将以虞翻以来的自某卦之说作为依据的彖传解释,以自己的综卦来代替。也就是,将文王的《周易》创作原理的〈错综〉,以及从易之解释的总体当中来作出贯通连结。来氏的易解释原理的其中之一〈变〉,它所指的是,于小成卦中一爻的阴阳变化之爻变说,在爻辞解释之中補完错综、中爻导出卦象的原理。另外,来知德不承认以往被作为卦生成论而作理解的〈说卦传〉中的乾坤生六子说。因此他必须与朱熹一样,提示出新的卦之生成论。但是来氏与朱熹不同的是,他否定了先天后天的区别,因此不承认先天易的卦之生成论,他据〈系辞传〉来说明小成卦之八卦与八纯卦之生成,而且通过八纯卦中顺序性的爻变来说明六十四卦的生成。可以看到来知德这般的卦之生成论受到了京房易学的影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