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Posts

General posts

  • Ardupilot 2: GUIDED mode, takeoff, land

    서론: 드론 비행할때 항상 픽스호크를 사용하고 있고, PX4 펌웨어를 항상 사용해왔는데, 좀 무거운 감이 있고 항상 알수 없는 문제들이 발생할 때가 많아서 조금 더 역사가...

  • Ardupilot 1: Ardupilot-SITL-Gazebo

    서론: 드론 비행할때 항상 픽스호크를 사용하고 있고, PX4 펌웨어를 항상 사용해왔는데, 좀 무거운 감이 있고 항상 알수 없는 문제들이 발생할 때가 많아서 조금 더 역사가...

  • (Jetson Orin NX) Jetpack 기본 OpenCV 죽이고 ROS, Ubuntu에서 사용하는 standard version OpenCV 설치

    서론: 드론에 주로 Jetson Orin NX를 사용하는데, OpenCV를 사용할 일이 생겼다. Jetpack에서 기본으로 넣어주는 OpenCV 버전과 Ubuntu 20.04 (ROS noetic)의 표준 버전과 달라서 문제가 많다....

  • Ubuntu 시작 프로그램2 - network 연결 후 프로그램 시작 (ROS로 로봇 자동 시작)

    서론: 이전 포스팅에서 이미 rc.local 파일을 이용해서 rc-local 서비스, 즉 Ubuntu 부팅이 끝난 후 자동으로 root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서비스를 사용했었다.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면 ROS...

  • NVIDIA Jetson boards UART 시리얼 통신 권한 - ttyTHS (Pixhawk to ttyTHS)

    서론: 드론 자율비행할 때 pixhawk를 컴퓨터와 연결해서 mavros로 이리저리 제어한다. USB로 꽂아쓰면 ttyACM으로 잡히는데, 이게 연결이 됐다 안됐다 하는 아주 개같은 놈이다. 어차피 러닝 기반...

  • Github io Blog를 Ubuntu local에서 빌드 및 확인

    서론: 처음 Github io blog를 만들고 5년 정도 지난 것 같다. 중간에 한번 지워버려서 포스팅은 많이 날아갔지만,, 뭐 조금 바꿀때마다 commit하고 page deployment를 한참 기다리고,...

  • Ubuntu 시작 프로그램1 - Jetson Orin NX FAN max PWM 설정 with 부팅

    서론: Jetson Orin NX를 쓰는데, 보통 드론에 달아서 쓰다보니 프로펠러가 식혀줘서 열이 문제가 되는지 몰랐다. 근데 Xavier NX랑은 다르게 FAN이 생각보다 엄청 천천히 돌아간다… 자동으로...

  • GTSAM 튜토리얼

    서론: SLAM을 항상 접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있다. 연구실이 워낙 SLAM을 잘하기도 하고, 내가 아무리 exploration이나 high level path planning 알고리즘을 작성해서 드론에 실험하려고...

  • C++ container 비교: array, vector, deque, unordered_map, unordered_set

    서론: Python으로 코딩을 배우고 대학원 와서야 C++을 만지고 어찌저찌 알고리즘 짜오면서 잘 먹고 살아오고 있었다. 그 동안 항상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container가 필요하면 std::vector를 사용했었다....

  • Gazebo gpu_ray 플러그인 에러 해결

    서론: LiDAR 센서를 Gazebo에서 plugin으로 구현해서 시뮬레이션 할때, ray 혹은 gpu_ray를 사용한다. 로컬 컴퓨터에는 모두 잘 세팅이 되어있었는데, docker에 환경을 꾸리려다보니 자꾸 gpu_ray만 사용하면 segmentation...

  • Docker image를 Github Package로 관리하기

    서론: 예쁘게 잘 만든 docker container를 이미지형태로 배포하고 싶어졌다. 홍익인간…! 참고: 이전, 지금 포스트를 통해 만든 Ubuntu18.04 + NVIDIA/CUDA_OpenGL (CUDA ver 11.4) + ROS1 -...

  • Docker 기본 사용법 with NVIDIA CUDA OpenGL

    서론: 매번 local 컴퓨터에서만 환경 세팅 및 실험을 하다보니, 컴퓨터를 포맷하거나 다른 컴퓨터에서 실험할때는 SOTA 알고리즘을 실행해서 비교하는게 어려웠다. 내 알고리즘은 내 Github에 있으니 금방...


Paper reviews

  • text test

    서론: Latex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