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십수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0수면에서 넘어옴)

10수면(十隨眠)은 (貪, raga) · (瞋, pratigha) · (慢, mana) · 무명(無明, avidya) · 유신견(有身見, satkāya-drsti) · 변집견(邊執見, anta-grāha-drsti) · 사견(邪見, mithyā-drsti) · 견취(見取, drstiparāmarśa) · 계금취(戒禁取, śīla-vrata-parāmarśa) · (疑, vicikitsa)의 10가지 근본번뇌를 말한다.[1][2]

10근본번뇌(十根本煩惱) · 10번뇌(十煩惱) · 10견(十見) · 10사(十使) · 10혹(十惑) 또는 10대혹(十大惑)이라고도 한다.[1][3][4][5][6][7][8]

(貪) · (瞋) · (慢) · 무명(無明) · (見) · (疑)의 6수면 가운데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견으로 나뉜다. 이 5견(五見)과 6수면 가운데 견을 제외한 나머지 5가지를 합친 것이 10수면이다. 말하자면, 10수면6수면을 좀 더 자세하게 나열한 것이다.[1][9][10][11][12]

하지만, 단순히 자세하게 나열한 것은 아니며, 6수면10수면으로 구분한 것은 5가지의 날카로운 근본번뇌와 5가지의 둔중한 근본번뇌로 나누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인 용어로 전자의 5가지 날카로운[利] 근본번뇌[使]는 5리사(五利使)라 하고, 후자의 5가지 둔중한[鈍] 근본번뇌[使]는 5둔사(五鈍使)라고 한다. 5리사5둔사를 합쳐서 10사(十使)라고 한다. 5리사5견유신견 · 변집견 · 사견 · 견취 · 계금취를 말하고, 5둔사 ·  ·  · 무명 · 를 말한다.[1][13][14][15][16]

'날카롭다[利]'는 것은 (見)의 성질 즉 견해의 성질을 말하는 것으로, 성질본질심려결탁(審慮決度) 즉 먼저 숙고[審慮]한 다음 확인 판단[決度]하는 것이다.[11][12] 그리고 여기서의 번뇌성, 즉 염오견을 말하는 것이므로, (理) 즉 이치미혹한 것을 말한다.[15] 즉, 5리사5견은 숙고하고 판단하여 획득한 견해이지만 이치에 어긋하는 견해 즉 염오견을 말하는 것으로, 5견염오견을 다른 말로는 악견(惡見) 또는 부정견(不正見) 즉 그릇된 견해라고 한다.

'둔중하다[鈍]'는 것은 '날카롭다[利]'의 대칭으로, (見)의 성질이 아닌 것을 말한다. 즉 심려결탁의 성격이 아닌 것을 말한다. 번뇌로서의 작용이 둔중하다 혹은 작용력이 느리다는 의미가 아니다.[11][12]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星雲, "十隨眠".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十隨眠:  又作十使、十見、十大惑。即十種根本煩惱。貪、瞋、癡、慢、疑、見等六隨眠中,分見隨眠為五見,即有身見、邊執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合計有十種。其中推求理而性猛利之五種煩惱稱為五利使(有身、邊執、邪、見取、戒禁取),其性遲鈍之五種煩惱稱為五鈍使(貪、瞋、癡、慢、疑)。新譯家則不用五利、五鈍之名稱。〔俱舍論卷十九〕(參閱「五利使」1096、「五鈍使」1164、「見惑」2997、「根本煩惱」4135、「隨眠」6351) p499"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96DTITLEA4QC0HAFv 十隨眠]". 2013년 3월 1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운허, "十隨眠(십수면)".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十隨眠(십수면): 탐(貪)ㆍ진(瞋)ㆍ치(癡)ㆍ만(慢)ㆍ의(疑)ㆍ견(見)에서, 이 견을 나누어 유신견(有身見)ㆍ변집견(邊執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으로 한 10종의 혹(惑). 중생을 따라 일어나는데, 그 모양이 미세하여 알기 어려우므로 수면이라 함. 근본 번뇌의 다른 이름."
  3. 곽철환 2003, "십수면(十隨眠)".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십수면(十隨眠): 수면은 번뇌를 뜻함. 십번뇌(十煩惱)와 같음."
  4. 곽철환 2003, "십번뇌(十煩惱)".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십번뇌(十煩惱): 열 가지 근본 번뇌.
    (1) 유신견(有身見). 오온(五蘊)의 일시적 화합에 지나지 않는 신체에 불변하는 자아가 있고, 또 오온은 자아의 소유라는 그릇된 견해.
    (2) 변집견(邊執見). 극단으로 치우친 견해.
    (3) 사견(邪見). 인과(因果)의 이치를 부정하는 견해.
    (4) 견취견(見取見). 그릇된 견해를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집착하는 견해.
    (5) 계금취견(戒禁取見). 그릇된 계율이나 금지 조항을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집착하는 견해.
    (6) 탐(貪). 탐욕.
    (7) 진(瞋). 분노. 노여움. 성냄.
    (8) 치(癡). 어리석음.
    (9) 만(慢). 교만.
    (10) 의(疑). 의심.
    동의어: 십사, 십수면"
  5. 곽철환 2003, "십사(十使)".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십사(十使): 사(使)는 마음을 마구 부려 산란하게 한다는 뜻으로 번뇌를 말함. 십번뇌(十煩惱)와 같음."
  6. 운허, "十使(십사)".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十使(십사):
    이는 그 성품이 예리하고 우둔함에 의하여 항상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번뇌."
  7. 佛門網, "十使".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十使: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又名十惑,或十根本煩惱,即一、貪,貪愛五欲;二、瞋,瞋恚無忍;三、痴,愚痴無明;四、慢,驕慢自大;五、疑,狐疑猜忌;六、身見,執取五蘊根身;七、邊見,執取常斷二見;八、邪見,謗無因果,壞諸善事;九、見取見,執持成見,非果計果;十、戒禁取見,執持不正戒,非因計因。前五是五鈍使,後五是五利使,使是煩惱的別名,因煩惱能使眾生流落於生死。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又曰十大惑。亦曰十根本煩惱。此中分利鈍二種。貪瞋痴慢疑五者,謂之五鈍使。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五者,謂之五利使。【參見: 五利使及五鈍使】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使即驅役之義。謂此貪等十使,皆能驅役行者心神,流轉三界生死也。(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一、貪使〕,引取之心名為貪。謂於一切物及順情之境,引取無厭,是為貪使。##〔二、嗔使〕,忿怒之心名為瞋。謂於一切違情之境,即起忿怒,是為瞋使。##〔三、癡使〕,迷惑之心名為癡,謂於一切事理,無所明了,妄生邪見,起諸邪行,是為癡使。##〔四、慢使〕,自恃輕他之心名為慢。謂由恃己種姓、富貴、才能,輕蔑於他,是為慢使。##〔五、疑使〕,迷心乖理名為疑。謂若修戒定等法,不別真偽,暗鈍無明,猶豫無決,是為疑使。##〔六、身見使〕,謂於名色陰入界中妄計有身,強立主宰,恒起我見,是為身見使。(陰即色受想行識之五陰也。入即眼耳鼻舌身意六根,色聲香味觸法六塵,根塵相入,故名十二入也。界即六根、六塵、六識之十八界也。)## 〔七、邊見使〕,謂於斷常中,執斷非常,執常非斷。但執一邊,是為邊見使。(斷常者,謂外道妄計此身死已不生,故名斷見;復計此身死已後當再生,故名常見。)##〔八、邪見使〕,謂邪心取理,不信因果,斷諸善根,作一闡提行,是為邪見使。(梵語一闡提,華言信不具。)##〔九、見取使〕,謂於非真勝法中,謬計涅槃,心生取著,及行道之時,雖入種種觀門,而真明未發,謬計所得為真、為勝,心生取著,是為見取使。(真勝法者,謂佛之正法,為真、為勝也。梵語涅槃,華言滅度。真明未發者,謂本性之明,未顯發也。)##〔十、戒取使〕,謂於非戒中,謬以為戒,取以進行;如外道妄持雞狗等邪戒,執為正戒,是為戒取使。(雞狗戒者,謂外道妄計前世從雞狗中來,即獨立、噉穢,而行苦行也。)
    頁數: 出法界次第"
  8. 佛門網, "十使 , 十大惑 , 十根本煩惱".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十使 , 十大惑 , 十根本煩惱: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en messengers, deluders, fundamental passions; they are divided into five sharp and five dull; the five 鈍使 dull ones are desire, hate, stupidity, pride, and doubt; the five sharp 利使 are 身見, 邊見, 邪見, 見取見, 戒禁見, v. 見."
  9.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8b18 - T29n1558_p0098c03. 6수면(六隨眠)
    "前言世別皆由業生。業由隨眠方得生長。離隨眠業無感有能。所以者何。隨眠有幾。頌曰。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
    論曰。由此隨眠是諸有本故業離此無感有能。何故隨眠能為有本。以諸煩惱現起能為十種事故。一堅根本。二立相續。三治自田。四引等流。五發業有。六攝自具。七迷所緣。八導識流。九越善品。十廣縛義。令不能越自界地故。由此隨眠能為有本。故業因此有感有能。此略應知差別有六。謂貪瞋慢無明見疑。頌說亦言。意顯慢等亦由貪力於境隨增。由貪隨增義如後辯。及聲顯六體各不同。"
  1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p. 853-854 / 1397. 6수면(六隨眠)
    "앞(권제13 초)에서 세간의 차별은 모두 업으로 말미암아 생겨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업은 수면(隨眠, anusaya)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생장할 수 있으며, 수면을 떠난 업은 유(有, 욕계·색계·무색의 3유)를 초래할 만한 공능을 갖지 않는다. 그 까닭은 무엇이며, 수면에는 몇 가지가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수면은 모든 '유(有)'의 근본으로,
      이것의 차별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이를테면 탐(貪)·진(瞋)과, 역시 만(慢)·
      무명(無明)·견(見), 그리고 의(疑)이다.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
    논하여 말하겠다. 이러한 수면은 바로 모든 '유'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이것을 떠난 업은 유를 초래할 만한 어떠한 공능(功能)도 갖지 못하는 것이다. 어째서 수면이 능히 '유'의 근본이 된다고 하는 것인가? 모든 번뇌는 현기(現起)하면 능히 열 가지 사업[事]을 행하기 때문으로, 첫 번째는 근본(根本)을 견고하게 하며,1) 두 번째는 [번뇌의] 상속을 일으키며, 세 번째는 자신의 소의신[自田]이 번뇌를 일으키기에 적합하게 하며, 네 번째는 등류(等流)[인 수번뇌(隨煩惱)]를 인기하며, 다섯 번째 업유(業有) 즉 후유를 초래하는 업을 일으키며, 여섯 번째는 자구(自具)를 포섭하며,2) 일곱 번째 [정혜(正慧)를 손상시켜] 소연에 대해 미혹하게 하며, 여덟 번째 식(識)의 흐름을 인도하며,3) 아홉 번째는 선품(善品)을 어기게 하며, 열번째는 널리 속박하는 것이니, [유정을 속박하여] 자계·자지를 초월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즉 수면은 이러한 열 가지 사업으로 말미암아 능히 '유'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업은 이것에 의해 비로소 '유'를 초래할 공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수면의 차별에는 간략히 여섯 가지가 있음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이를테면 탐(貪, raga)과 진(瞋, pratigha)과 만(慢, mana)과 무명(無明, avidya)과 견(見, dṛṣṭi)과 의(疑, vicikitsa)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본송에서 '역시'라고 하는 말을 설한 것은, '만' 등도 역시 탐의 힘으로 말미암아 경계에 수증(隨增)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탐으로 말미암아 수증한다'는 뜻에 대해서는 뒤에서 분별하는 바와 같다. 또한 [본송에서] '그리고'라고 하는 말은 여섯 가지 수면의 본질[體]이 각기 동일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1) 여기서 '근본'은 번뇌의 득(得)을 말한다. 즉 번뇌가 일어남으로 말미암아 번뇌의 득이 더욱더 견고해져 끊을래야 끊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2) 여기서 '자구'는 번뇌 자신의 자량이 되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를 말한다.
    3) 식의 흐름에는 다음 생을 받을 때 부모에 대한 애념(愛念)을 일으키는 속생(續生)의 식과, 소연의 경계에 대해 촉(觸)을 일으키는 촉연(觸緣)의 식이 있다. 곧 번뇌는 후유의 소연에 대해 능히 속생의 식을 일으키며 소연에 대해 능히 염오식을 낳기 때문에 '식의 흐름을 인도한다'고 말한 것이다."
  1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099a26 - T29n1558_p0099b05. 10수면(十隨眠)
    "即上所說六種隨眠。於本論中復分為十。如何成十。頌曰。
      六由見異十  異謂有身見
      邊執見邪見  見取戒禁取
    論曰。六隨眠中見行異為五。餘非見五積數總成十故於十中五是見性。一有身見。二邊執見。三邪見。四見取。五戒禁取。五非見性。一貪二瞋三慢四無明五疑。"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세친 조, 현장 한역T.1558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99a26 T29n1558_p0099a26 - T29n1558_p0099b05]. 10수면(十隨眠)"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 860 / 1397. 10수면(十隨眠)
    "앞에서 설한 여섯 종류의 수면은 본론(本論) 중에서 다시 나누어져 열 가지가 된다.21)
    어떻게 하여 열 가지가 되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6수면은 견(見)의 차별에 의해 10수면이 되니
      여기서 차별이란 말하자면 유신견(有身見)과
      변집견(邊執見)과 사견(邪見)과
      견취(見取)와 계금취(戒禁取)가 바로 그것이다.
      六由見異十 異謂有身見
      邊執見邪見 見取戒禁取
    논하여 말하겠다. 6수면 가운데 '견(見)'은 그 행상(行相)이 달라 다섯 가지가 되고, 그 밖의 나머지는 '견' 아닌 다섯 가지(즉 탐·진·치·만·의)이니, 그 수를 합하면 모두 열 가지가 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열 가지 수면 중에서 다섯 가지는 바로 '견'의 성질로서,22) 첫 번째는 유신견(有身見)이며, 두 번째는 변집견(邊執見)이며, 세 번째는 사견(邪見)이며, 네 번째는 견취(見取)이며, 다섯 번째는 계금취(戒禁取)이다. 그리고 그 밖의 다섯 가지는 '견'의 성질이 아니니, 첫 번째는 탐(貪)이며, 두 번째는 진(瞋)이며, 세 번째는 만(慢)이며, 네 번째는 무명(無明)이며, 다섯 번째는 의(疑)이다.
    21) 10수면의 교설이 독자적으로 논설되는 곳은 보이지 않으며, 다만 욕계 견도소단(見道所斷)의 10수면으로 논의되고 있다. 『발지론』 권제5(한글대장경176, p. 118)에는 욕계의 성자가 수증하는 수면으로 열 가지를 언급하고 있지만, 이는 98수면 중 욕계 수소단의 10수면을 말하는 것이다.
    22) 여기서 '견(drsti)'이란 먼저 숙고[審慮]한 다음 확인 판단[決度]하는 것을 말한다.(審慮爲先 決度名見) 본론 권제2(p.86) 참조. 5견에 대해서는 본권 후술."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제19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0 860 / 1397]. 10수면(十隨眠)"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3. 운허, "五利使(오리사)".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五利使(오리사): ↔ 오둔사(五鈍使). 곧 신견사(身見使)ㆍ변견사(邊見使)ㆍ사견사(邪見使)ㆍ견취사(見取使)ㆍ계취사(戒取使). 이는 진리를 추구하여 일어나고, 성질이 날카로워 중생의 마음을 구사(驅使)하므로 5리사라고 함. 5견(見)과 같음. ⇒이사(利使)"
  14. 운허, "五鈍寺(오둔사)".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五鈍寺(오둔사): ↔ 오리사(五利使). 탐욕사(貪欲使)ㆍ진에사(瞋恚使)ㆍ무명사(無明使)ㆍ만사(慢使)ㆍ의사(疑使) 등 다섯 번뇌. 이 번뇌는 곳을 따라 멋대로 동하는 것으로, 성품이 둔하고 또 수행자의 마음을 구사(驅使)하는 것이므로 5둔사라 함."
  15. 星雲, "五利使".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五利使:  梵語 pañca-drstayah。又作五染污見、五僻見、五見。利使,係迷於「理」之惑。利,指其性體猛利;使,有驅役之義,為諸惑之總稱。五利使,乃指五種迷於「理」而起之惑。即: (一)有身見,不知吾身乃五蘊之假和合,而執著實有我身。(二)邊執見,執著我於死後斷絕,或死後常住不滅等二種邊見。(三)邪見,謂實無四諦因果之理,抱持此一見解,則惡不足恐,善不足好,乃邪見中之最邪者。(四)見取見,以低劣之知見,而思劣事為優勝。(五)戒禁取見,以各種非道、不如法之戒禁為生天之因,或涅槃之道,例如牛戒、雞戒、狗戒等。使,為煩惱之異名;上述五項惑見,皆起於對「理」之推求,其性極猛利,故總稱五利使。〔大毘婆沙論卷四十九、俱舍論卷十九、成實論卷十、雜阿毘曇心論卷四、成唯識論卷六、大乘義章卷六、俱舍論光記卷十九〕(參閱「煩惱」5515) p1096"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349DTITLEA4ADA7QA8CF 五利使]". 2013년 3월 1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6. 星雲, "五鈍使". 2013년 3월 17일에 확인
    "五鈍使:  「五利使」之對稱。兩者並稱十使。於十隨眠之中,推求之性鈍拙者有五,即貪、瞋、癡、慢、疑等五種。此五者能驅使行者之心神,使其流轉於三界,故稱「使」,乃煩惱之異名。〔大乘義章卷五、天台四教儀集註卷中本〕(參閱「煩惱」5515) p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