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1952년 이집트 혁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52년 이집트 혁명
냉전의 일부

1954년 무하마드 나기브가말 압델 나세르
날짜1952년 7월 23일
장소
결과

자유장교단의 승리

교전국
이집트 자유장교단
지휘관
이집트 왕국 파루크 1세

1952년 이집트 혁명무하마드 나기브, 가말 압델 나세르 등이 이끌던 자유장교단이 주도한 혁명으로 군주제와 신분 제도의 폐지를 도래했다.

혁명 전 이집트 사회는 왕정이었으며, 신분 제도가 존재하였다. 토지는 소수의 귀족, 지주의 수중에 있었고, 다수의 농민은 소작농이었다. 이집트는 1922년 2월 28일에 영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독립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대부분의 자본이 영국 대자본에 잠식된 상태였으며, 외교, 정치 영역에서는 영국의 공식적인 간섭을 받고 있었다. 여러 사실을 종합할 때 이집트는 영국의 식민지 상태에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낙후한 이집트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사상과, 서구 제국주의로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신념을 가진 진보적인 군 장교들과 하급 간부들은 자유장교단을 조직하였고, 1952년에 쿠데타를 일으켜서 군주제와 신분 제도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성립하였다. 또한 이집트에서 영국의 영향력을 차단하였다.[1] 이집트 혁명으로 출범한 나세르 정부는 아랍사회주의비동맹주의 원칙을 주장하며 각종 정책을 시행했다. 나세르가 사망한 이후 안와르 사다트가 정권을 쥐면서 크게 아랍사회주의는 쇠퇴했고, 리비아와 분쟁을 겪으며 나세르가 주도한 이집트 혁명의 여파는 크게 감소했다.

원인

[편집]

1882년 영국군은 앵글로-이집트 전쟁을 통하여 이집트 정치에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1888년 콘스탄티노플 협약을 통해 영국은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를 군사 점령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령에서 일정한 수준의 독립 권리를 누리고 있었다. 이 시기 이집트 국왕인 압바스 2세는 영국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갖고 있었고 그 결과 동맹국을 지원하였다. 승전한 영국은 패전국인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영토를 강제적으로 자국의 식민지로 편입하였다.[2]

이후 이집트의 반영(反英) 감정이 고조되었다. 1919년 3월 이집트 인민은 대규모 봉기(1919년 이집트 혁명)를 일으켰다. 영국은 이집트 지배의 유화책으로서 1922년 2월 28일에 공식적으로 이집트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순탄한 지배를 위한 것이었으며, 영국군은 그대로 이집트에 주둔한 상태였다. 게다가 대부분의 군사, 외교, 정치 영역에 있어서는 보호령 수준의 간섭을 하였으며, 이러한 간섭은 공식적인 것이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이집트의 군사와 정치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중단하였으나, 여전히 사회는 영국의 영향력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또한 실질적으로 당시 이집트는 모든 면에서 영국에 의존된 상태였으며, 기업과 토지도 또한 영국인 지주와 주주의 손아귀에 있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는 이집트 민족주의자의 영향력이 급증하던 때였다. 1940년대 후반부터 이집트 반제국주의자에 의한 소규모 봉기가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에서 팔레스타인 지원에 대한 이집트 왕정의 소극적인 태도는 이집트 민족주의자의 감정을 크게 격분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집트 왕정은 이집트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극심한 실업과 빈부격차, 빈곤을 해결할 의지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후 운동은 단순히 이집트 애국주의를 넘어서, “군주정 타도, 공화국 수립”이라는 구호가 등장하게 되었다. 1949년 이집트군 내 좌익 장교를 주축으로 민족운동가, 일선 민간 관료들이 연합하여 비밀리에 ‘자유장교단’이 조직되었다. 자유장교단 성립에서 가말 압델 나세르는 가장 열성적인 활동을 했고, 중요한 일을 맡았으나 형식적인 지도자로는 군대에서 상대적으로 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무하마드 나기브를 임명하였다.

자유장교단의 활동으로 인해 이집트군의 반영 의식은 날이 갈수록 강해졌다. 특히 대(對)이스라엘 강경파인 군 장성 하이다르 파샤(Haidar Pasha)와 하리드 파샤(Harid Pasha)는 이집트 왕정에 의해 반란 혐의로 체포를 당했으나, 대중의 반발로 풀려나게 되었다. 여러 사건이 겹쳐질수록 이집트 대중의 반제국주의 의식은 성장하게 되었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ahav, Pnina. “The Suez Crisis of 1956 and its Aftermath: A Comparative Study of Constitutions, Use of Force, Diploma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Boston University Law Review》. 2020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2. Jankowski, James. Egypt, A Short History. p. 111.
  3. Jankowski, James. Egypt, A Short History. p. 112.
  4. Collins, Robert O.; Collins, Professor of History Robert O. (29 May 2008). A History of Modern Sud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CIA Office of Current Intelligence 20 July 1952” (PDF). 2018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