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표준어: 쌍히읗, 문화어: 된히읗)은 한글 낱자의 을 거듭 쓴 것으로, 오늘날에 쓰이지 않는 옛 한글 초성이다. ㅕ 에서만 나타났으며, ㅎ의 된소리를 나타내 무성 구개수 마찰음 (/χ/)을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1] 세조 재위 이후(15세기 중엽)에는 표기법이 바뀜에 따라 쓰이지 않게 되었다.

훈민정음 첫소리 체계에선 전탁목구멍소리에 들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전탁은 울림소리가 아니고, 그때도 된소리였다고 생각할 수 있어 이 낱자는 ㅎ의 된소리를 나타냈다고 추정하고 있다. 다만, 나타나는 조건은 한정되어 있어서 반드시 앞에서 쓰여 ‘ᅘᅧ’라고 하는 어간을 가지는 동사로써만 쓰였다. 《원각경언해》(1465년) 이후 정서법에서는 단지 ‘혀’로 표기했지만[2], 그 소릿값은 남아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어 17세기 문헌에는 을 써서 ‘ᄻᅧ’로 쓰인 예가 있다. 그 뒤, 또는 으로 바뀌었다.

코드 값

[편집]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U+3185 ㆅ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ᅘᅠ U+1158 ᅘ
끝소리 (없음)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ㆅ U+F7FE 
끝소리 (없음)
반각 (없음)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고영근 (2010).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제3판. 서울: 집문당. 19쪽. ISBN 9788930314787. 
  2. 오늘날에는 부사 '불현듯이'에 이 낱말이 결합된 채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