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가해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군론에서 가해군(可解群, 영어: solvable group)은 아벨 군들만을 사용한 군의 확대로 나타낼 수 있는 군이다.

정의

[편집]

어떤 가 다음과 같은 꼴의 정규부분군

을 가지고, 또한 모든 아벨 군이라면 가해군이라고 한다.

어떤 가 다음과 같은 꼴의 정규부분군

을 가지고, 또한

이며 모든 순환군이라면 초가해군(超可解群, 영어: supersolvable group)이라고 한다. 모든 초가해군은 가해군이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성질

[편집]

정규 부분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는 가해군이다.
  • 몫군 은 모두 가해군이다.

가해군의 부분군은 가해군이다. 두 가해군의 반직접곱은 가해군이다. (특수한 경우로, 유한 개의 가해군의 직접곱은 가해군이다.) 두 가해군의 화환곱은 가해군이다.

[편집]

모든 아벨 군은 (자명하게) 가해군이다. 모든 멱영군은 가해군이다.

가해 유한군

[편집]

가해군이 아닌 가장 작은 군은 (크기가 60인) 교대군 이다. 다시 말해, 크기가 59 이하인 모든 군은 가해군이다. 가해군이 아닌 군들의 가능한 크기는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056866)

60, 120, 168, 180, 240, 300, 336, 360, 420, 480, …

초가해군이 아닌 가장 작은 군은 (크기가 12인) 교대군 이다. 초가해군이 아닌 군들의 가능한 크기는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066085)

12, 24, 36, 48, 56, 60, 72, 75, 80, 84, 96, 108, 112, 120, 132, …

주어진 크기의 초가해군의 수는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066083)

1, 1, 1, 2, 1, 2, 1, 5, 2, 2, 1, 4, 1, 2, 1, 14, …

즉, 예를 들어 크기가 4인 초가해군은 두 개(4차 순환군클라인 4원군)가 있다.

파이트-톰프슨 정리에 따르면, 크기가 홀수인 모든 유한군은 가해군이다.

번사이드 정리에 따르면, 크기가

의 꼴인 유한군은 가해군이다. 여기서 소수이고, 는 음이 아닌 정수다.

가해 리 군

[편집]

리 대수가해 리 대수연결 리 군은 가해군을 이룬다. 예를 들어, 실수 또는 복소수 상삼각 행렬들의 리 군은 가해 리 군이다.

모든 유한 차원 연결 가해 리 군은 유클리드 공간미분동형이다.

역사

[편집]

가해군의 개념은 갈루아 이론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갈루아 이론에서, 갈루아 군이 가해군인 갈루아 확대거듭제곱근으로 풀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오늘날 가해군의 개념은 갈루아 이론뿐만 아니라 군론 전반적으로 널리 쓰인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