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세
명제세(明濟世 1885 - 1964)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다. 본관은 서촉. 1948년 8월 15일부터 1949년 11월 24일까지 초대 심계원 원장을 지냈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광복단에서 활동하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외국어학교를 졸업, 만주와 시베리아 각지를 전전하며 항일운동을 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 체포되어 5년간 복역하고 출옥후 불변단을 조직하여 활동했다. 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 위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간부, 초대 심계원장 등을 지냈으며, 50년 6․25전쟁 때 납북되었다가 병사하였다. 평안북도 영변군(寧邊郡) 출생.
생애
[편집]생애 초기 활동
[편집]1906년 대한매일신보 평안북도지사장을 지냈다.[1] 1910년 8월 국권이 피탈되자 광복단에 가입, 활약하다가 러시아로 건너갔다. 이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외국어학교를 졸업하고, 만주 각지와 시베리아 각지를 전전하며 항일 독립운동을 하였다. 그 뒤 귀국하여 1919년 3․1 만세 운동 때 총독부 일경에 체포되어 5년간 복역하고 출소했다. 출옥하자 1919년 3·1운동 때 귀국하여 손병희·권동진 등과 활동한 후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 상해 임시정부에 참여했다.[1] 이후 조선홍(趙宣弘) 등 30여 명과 함께 톈진에서 불변단(不變團) 등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정치 활동
[편집]1945년 8월 광복 직후 여운형의 건국준비위원회에 가담하여 건준 위원이 되었으나 안재홍 등이 건준을 탈퇴할 때 그도 건준을 탈퇴하고, 임정지지 입장을 보였다. 이승만이 귀국하자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 참여하여 독촉 간부가 되었다. 1945년 11월 임시정부요인 환국 환영회에 참여하였고 1945년 12월 신탁통치가 결정되자 신탁통치 반대 입장에 섰다. 김구가 모스크바 3상회담에 반발, 강력한 반탁운동을 추진하자 12월 30일 결성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위원이 되었다.[2]
이후 미소공동위원회 참여를 놓고 미소공위에 대한 지지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이 때문에 김구와 경교장 측과 한때 갈등하기도 했다. 미소공위에 참석한 그는 공위를 지지하지는 않았으나 대화 내용을 듣고 이승만, 김구 등에게 전달하였다. 1947년 1월 26일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반탁투쟁회 지도위원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
최후
[편집]1948년 4월 김구, 김규식이 남북협상에 참여하자 김구 등과 거리를 두고 5.10 단독 총선거를 지지하였다.
1948년 8월 정부수립에 참여하여 초대 심계원장에 임명되었으나, 8월 20일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3] 1950년 6·25전쟁 때 서울에 있다가 인민군에 의해 납북되었다가 1956년 7월 재북평화통일협의회의 집행위원과 상무위원을 지냈다.[1] 이후 북한에서 활동하다 북한에서 병사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전임 (초대) |
초대 심계원장 1948년 9월 4일 ~ 1949년 11월 23일 |
후임 함태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