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부채파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채파초
부채파초(Ravenala madagascariensis)
부채파초(Ravenala madagascariensis)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닭의장풀군
목: 생강목
과: 극락조화과
속: 부채파초속
종: 부채파초
학명
Ravenala madagascariensis
Adans.(속) Sonn.(종)
콩고 민주 공화국, 킨샤사의 두 건물 사이에서 자라는 부채파초들. 이 식물들의 (남북 방향의 축과 직각을 이루는) 부채꼴 잎무리는 햇빛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는 방향을 향한다.

부채파초(--芭蕉, Ravenala madagascariensis)는 부채파초속(--芭蕉屬, Ravenala)의 유일종이며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한다. 이 속은 남아프리카극락조화속, 남아메리카좁은부채파초속과 근연속이다. 몇몇 오래된 분류체계에서는 이 속들을 바나나가 속해있는 파초과에 분류시키기도 한다. 부채파초속은 보통 단일종으로 여겨지지만, 그동안 네 가지의 형태가 식별되었다.[1][2]

이름

[편집]

부채파초는 여인초(traveler's tree, traveller's palm)라고도 불리는데, 이 이름의 '여인'은 '여자'가 아니라 '여행객'이라는 뜻이며, 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아마도 목마른 여행객들이 급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수단으로 쓰였기 때문일 수 있다.[3] 하지만 식물 안에 고인 물은 냄새가 고약한 흙탕물이며 정수 없이 마시면 안 된다. 혹은 식물의 이파리들이 동서 방향으로 자라는 경향이 있어서 대략적인 나침반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4]

학명 Ravenala는 '숲 이파리들'을 의미하는 말라가시어 어휘 ravinala에서 따왔다.[5]

형태

[편집]

거대한 노 모양의 이파리들은 단일한 평평한 잎차례에서 부채 모양으로 나열된 길다란 잎자루(en:petiole)들에서 자라난다. 커다란 흰색 꽃들은 구조적으로 근연종 극락조화속극락조화, 큰극락조화(en:Strelitzia nicolai)와 비슷하지만, 포엽(en:bract)도 초록색이고 하여 좀 더 수수하다고 여겨진다.[6] 이 꽃들은 수정되면 하늘색 씨앗을 만들어내는데, 아마 인공적으로 만들어내지 않는 이상 지구를 다 뒤져도 파란색 씨앗은 이것 말고는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다.[7] 이 식물은 그 독특한 습성과 이파리 형태를 보기 위해 열대, 아열대 지방에서 널리 재배된다. 식물이 나이를 먹어가면서 밑에서부터 오래된 이파리들이 시들기 시작하고 튼튼한 회색 줄기가 남는다. 네 가지 형태 중에서 제일 큰 것은 마다가스카르 동부의 언덕에 서식하는 "Bemavo"이며 높이는 30m, 줄기의 두께는 2m에 달한다. 이파리 부채는 20에서 35장의 이파리로 구성되며, 각각의 이파리의 길이는 최대 11m에 달한다.[8]

생태

[편집]

이 식물의 수분자목도리리머(en:Ruffed lemur)로 알려져있으며, 리머의 식성과 먹이를 먹는 방식과 길다란 주둥이, 꽃차례의 크기와 구조를 고려했을 때, 이 식물은 공진화를 해왔을 가능성이 있다.[9]

재배

[편집]

식물을 기르기 위해서는 햇빛이 내리쬐는 장소가 필요한데, 크기가 커지기 전까지는 한낮의 햇빛에 노출시키지 않는 게 좋다. 비료를 주면 좋고, 특히 성장기에 질소를 듬뿍 주면 더 잘 자라고 이파리도 풍성해진다. 식물은 보통 7 m (23 ft)까지 자라며 물은 적당히 주면 된다.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Patrick Blanc; Nelson Rabenandrianina; Annette Hladik & Claude Marcel Hladik (1999). “Les formes sympatriques et allopatriques du genre Ravenala dans les forêts et les milieux ouverts de l'est de Madagascar”. 《Revue d'Ecologie, Terre et Vie》 54: 201–223. 
  2. P. Blanc; A. Hladik; N. Rabenandrianina; J.S. Robert; C.M. Hladik (2003). 〈Strelitziaceae: The variants of Ravenala in natural and anthropogenic habitats〉. Goodman, S.M.; Benstead, J. 《The Natural History of Madagascar》 (PDF).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 London. 472–476쪽. 
  3. McLendon, Chuck (2000년 5월 16일). “Ravenala madagascariensis”. Floridata.com. 2009년 9월 14일에 확인함. 
  4. “Botanical Journeys Plant Guides”. www.botanical-journeys-plant-guides.com. 2008–2010. 2017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28일에 확인함. 
  5. Sargent, Charles Sprague (1893). “Garden and Forest: A Journal of Horticulture, Landscape Art and Forestry” 6 (282). Garden and Forest Publishing Company. 
  6. M. Calley; R. W. Braithwaite; P. G. Ladd (1993). “Reproductive Biology of Ravenala madagascariensis Gmel. as an Alien Species”. 《Biotropica》 25 (1): 61–72. doi:10.2307/2388979. JSTOR 2388979. 
  7. “보관된 사본”. 2018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5일에 확인함. 
  8. “Protabase Published species”. 2010년 5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1일에 확인함.  Then click "Ravenala madagascariensis"
  9. Garbutt, Nick (2007). 《Mammals of Madagascar, A Complete Guide》. A&C Black Publishers. 170–175쪽. ISBN 978-0-300-12550-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