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갈비근
엉덩갈비근 | |
---|---|
![]() 등의 깊은층 근육들. 허리엉덩갈비근이 아래쪽에, 등엉덩갈비근이 가운데에 표시됨. | |
정보 | |
이는곳 | 엉치뼈, 엉덩뼈능선, 등허리근막, T11-L5의 가시돌기 |
닿는곳 | 갈비뼈 |
동맥 | 갈비사이동맥 허리동맥 |
신경 | 척수신경 뒤가지 |
작용 | 한쪽만 작용: 척추를 같은 쪽으로 굽힘 양쪽이 작용: 척추를 폄 |
대항근 | 배곧은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iliocostalis |
영어 | iliocostalis muscle |
TA98 | A04.3.02.005 |
TA2 | 2257 |
FMA | 77177 |
엉덩갈비근[1](iliocostalis muslce) 또는 장륵근(腸肋筋) 또는 장늑근은 상축근(epaxial muscle)을 하축근(hypaxial muscle)과 분리하는 고랑에 가장 가까운 가장긴근의 바로 옆쪽에 있는 근육이다. 아래뒤톱니근의 근육성 부분에 매우 깊숙이 놓여 있다. 척추를 같은 쪽 가쪽으로 굽힌다.
구조
[편집]양쪽 엉덩갈비근은 엉덩뼈능선, 엉치뼈, 등허리근막, 열한째 등뼈에서 다섯째 허리뼈까지의 척추의 가시돌기에서 공통으로 일어난다.[2]
목엉덩갈비근(iliocostalis cervicis, cervicalis risens)은 셋째, 넷째, 다섯째, 여섯째 갈비뼈의 각에서 발생하며 넷째, 다섯째, 여섯째 목뼈의 가로돌기 뒤결절에 닿는다.
등엉덩갈비근(iliocostalis thoracis, musculus accessorius)은 아래쪽 6개 갈비뼈 각의 위쪽 경계에서 허리엉덩갈비근의 닿는곳 힘줄 안쪽에 있는 평평한 힘줄에 의해 일어난다. 이 힘줄들은 근육이 되어 위쪽 6개 갈비뼈 각의 위쪽 경계와 일곱째 목뼈의 가로돌기 뒤쪽에 닿는다.
허리엉덩갈비근(iliocostalis lumborum, sacrolumbalis muscle)은 평평한 힘줄에 의해 아래쪽 6-9개 갈비뼈 각의 아래쪽 경계에 닿는다.[2]
신경 분포
[편집]기능
[편집]엉덩갈비근은 척주를 같은 쪽 방향의 가쪽으로 구부린다.[2] 양쪽 엉덩갈비근이 동시에 작용하면 척추를 곧게 뻗을 수 있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iliocostalis&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 ↑ 가 나 다 라 마 Chaitow, Leon; DeLany, Judith (2011년 1월 1일). 〈Chapter 10 - The lumbar spine〉.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muscular Techniques》 (영어) 2 2판. Churchill Livingstone. 211–297쪽. doi:10.1016/B978-0-443-06815-7.00010-3. ISBN 978-0-443-06815-7.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399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ithaca.edu에서의 해부 Archived 2007년 3월 10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