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토미 라이언 (1893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미 라이언
羅珦栯
Tommy Ryan
Johns Kissum
Thomas Ryan
아일랜드 대통령 비서실 국방과학개혁특보비서관
임기 1940년 9월 22일 ~ 1941년 2월 26일
대통령 더글러스 하이드

아일랜드 대통령 비서실 국방내무행정분과비서관
임기 1941년 2월 26일 ~ 1944년 5월 31일
대통령 더글러스 하이드

신상정보
출생일 1893년 1월 23일(1893-01-23)
출생지 영국 식민지 아일랜드 티퍼레리 주 터브리드
거주지 아일랜드 더블린
사망일 1980년 2월 29일(1980-02-29)(87세)
사망지 아일랜드 더블린
학력 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1929년)
정당 무소속
형제자매 형 2명
누나 1명
누이동생 1명
남동생 1명
자녀 슬하 3남 2녀
친인척 조카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 1907.5.26.~1971.11.20.)[1][2]
종교 성공회가톨릭(세례명: 사도 요한)
웹사이트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1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2
군사 경력
복무 아일랜드 국방연합군
복무기간 1912년 ~ 1940년
최종계급 아일랜드 육군 준장
지휘 연대장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 독립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토미 라이언(Tommy Ryan, 1893년 1월 23일(1893-01-23) ~ 1980년 2월 29일(1980-02-29))은 예비역 아일랜드 육군 준장 출신의 아일랜드 외교관 겸 정치가였다.

생애

[편집]

어린 시절

[편집]

영국 식민지 시대 아일랜드 티퍼레리 주 터브리드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영국 잉글랜드 런던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영국 식민지 시대 아일랜드 메이요 주 크로스 오모라이나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원래 이름이 토머스 라이언(Thomas Ryan)이었지만 1898년 토미 라이언(Tommy Ryan)으로 개명하였다.

28년간 육군 군관 복무

[편집]

그는 1912년에서 1940년까지 육군 군관으로 복무하였다.

1940년 육군 준장 예편 이후

[편집]

1차 대전과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전하였고 2차 대전 참전 중 아일랜드 정부(아일랜드 하이드 정권)의 요구로 인하여 결국 1940년 아일랜드 육군 준장 계급으로 예편하여 1940년에서 1941년까지 아일랜드 대통령 비서실 예하 국방과학개혁특보비서관 직에 입각하였는데 그 후 1941년에서 1944년까지 3년 3개월간 하이드 아일랜드 대통령의 국방내무행정분과비서관 직무를 하였다.

그 후 1945년 8월 15일을 기하여 2차 대전이 종전되자 미국과도 모종의 친분을 갖던 그는 1948년 1월 8일 이후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에서 존스 키섬(Johns Kissum)이라 지칭되었고 한 달 지난 1948년 2월 15일을 기하여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 예방(禮訪) 시절 나향욱(羅珦栯)이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키도 하였으며 아직 남조선 과도정부 시대 서울에 남아 있었던 조카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과 함께 1948년 3월 2일을 기하여 대한민국을 떠나게 되어 출국 후 그 해(1948년) 3월 중순,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 도착하여 그 후 더블린에 사실상 영구 정착하였다.

각주

[편집]
  1. 한국어 이름은 나도마(羅道馬)
  2. 참고로 여담이지만 그의 친조카(첫째 친형의 슬하 2남 4녀 중 둘째아들)인 토머스 대니얼 라이언(Thomas Daniel Ryan, 한국어 이름은 나도마(羅道馬))은 1907년 5월 26일 아일랜드 메이요 주 크로스 오모라이나에서 출생한 대한 독립 유공자인데 1939년 일제 강점기 조선국 전라남도 제주를 내방(來訪)하던 시절 1939년에서 1941년까지 전라남도 제주군 소재 서귀포 천주교회 신부로 재직하면서 주민들에게 항일 의식을 고취하다가 1942년 전라남도 제주군 성산 땅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1942년 10월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1944년에 만기출감한 전력이 있는데 1948년 3월 2일을 기하여 대한민국을 떠나 아일랜드로 귀국한 이후 1971년 11월 20일을 기하여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향년 64세로 별세하였고 사후 대한제국 독립 유공 전력을 인정받아 1999년 3월 1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