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해시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시 종로구 훈정동에 있는 앙부일구의 모습.

해시계 또는 일구(日晷)는 태양일주 운동을 이용하여 시간을 알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

해시계는 인간이 만든 가장 오래된 시계로, 원시시대부터 나무의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측정하였고, 중세 유럽에 기계식 시계가 출현·보급될 때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해시계의 종류에는 수평식과 수직식의 두 가지가 있다.

휴대용 해시계의 모습.

그림자의 길이를 재는 식의 해시계(영어: Gnomon)는 그 지역의 시간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태양의 움직임이 복잡하게 변하기 때문에 유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생겼다. 그래서 막대기를 지구의 자전축과 평행이되게 기울이는 방법을 쓰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해시계(영어: Sun dial)의 시초이자 시계 역사의 시초가 되었다. 그 예로 고대 이집트에서는 오벨리스크가 그노몬으로 쓰였는데, 지침(指針)은 지축에 평행하게 기울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해시계는 계절에 관계 없이 같은 장소에 그림자의 위치가 일정한 곳에 오지만, 그림자의 길이는 늘 변했다.

기원전 1500년 경에 이집트에서 제작된 해시계가 가장 오래된 것이지만, 이를 먼저 발명한 것은 아마도 바빌로니아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그노몬은 기원전 6세기 초에 그리스에 소개되는 등 차츰 동·서로 전해졌다. 그러나 밤이나 날씨가 궂은 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렇지만 17세기까지만 해도 기계로 된 시계보다도 오히려 더 정확했다.

앙부일구는 해의 그림자를 이용해 시간을 표시하는 해시계의 일종이다.

광해군

[편집]

한국에서 사용된 실물 자료로는 경주에서 출토된 7세기 경의 해시계 파편이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이 유물은 원반모양의 시반을 24등분하여 자시ㆍ묘시 등의 24시를 새기고, 그 중심에는 시표인 막대기를 세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크기는 반지름 33.4cm이며, 현재 자시부터 묘시까지만 남아 있다.

이후 조선 세종장영실 등이 제작한 앙부일구·정남일구·천평일구·현주일구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앙부일구는 외국과는 다른 조선 초의 독특한 형태로 일본에도 전해졌다.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