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U1.11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1.11은 레오와 처녀자리 별자리에 위치한 큰 퀘이사 그룹이다.

대 직경이 780 Mpc(22억 광년)로 추정되는 LQG의 가장 큰 것 중 하나이며[1] 38 퀘이사를 함유하고 있다.

그것은 2011년 슬로언 디지털 스카이 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2012년 11월 후게-LQG가 발견되기 전까지 우주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구조로 클로스캄푸사노 LQG의 20년 기록을 발견 당시 가장 큰 알려진 구조로 앞섰다.

특성

[편집]

구조물은 Clowes-Campusano LQG(CCLQG)로부터 약 2°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1]

redshift z = 1.11[claration need]에 있으므로 약 88억 광년 떨어져 있는 거리에 해당된다.[1]

CCLQG에 인접해 있으며, 또 다른 LQG에 비교적 가까운 U1.54.[1] 그것은 38쿼터를 손상시키고[1] 큰 은하 필라멘트의 진화를 암시할 수도 있다.

우주론

[편집]

우주론적 원리에 따르면, 우주의 다른 부분 안에서 물질과 에너지의 무작위 분포는 대략 동질적이고 동위원소적이어야 하며,

이러한 물체의 무작위 과잉은 충분히 큰 규모로 투사될 경우 작아야 한다.

야다브 외 연구진은 구조적 최대 크기가 약 260h/Mpc[2]인 반면 다른 것들은 70-130h/Mpc의 값을 제공했다.[3][4][5]

최근의 계산은 370Mpc 내의 값을 제시한다.

단, U1.11은 상정척도의 2배에 달했고, 다른 구조물들은 전술한 척도보다 더 큰 것을 발견한다.

(헤라클레스 코로나 보레알리스 만리장성 등 8배수만큼 규모를 초과하는 구조도 있다.)

또한 Huge-LQG, CCLQG, U1.54에 근접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1] 현대 우주 모델과는 큰 모순이 될 것이다.

각주

[편집]
  1. Clowes, Roger; Luis E. Campusano; Matthew J. Graham & Ilona K. S¨ochting (2012). “Two close Large Quasar Groups of size ∼ 350 Mpc at z ∼ 1.2”.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9: 556. arXiv:1108.6221. Bibcode:2012MNRAS.419..556C. doi:10.1111/j.1365-2966.2011.19719.x. 
  2. Yadav, Jaswant; J. S. Bagla & Nishikanta Khandai (2010년 2월 25일). “Fractal dimension as a measure of the scale of homogeneit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405 (3): 2009–2015. arXiv:1001.0617. Bibcode:2010MNRAS.405.2009Y. doi:10.1111/j.1365-2966.2010.16612.x. 
  3. Hogg, David W.; Eisenstein, Daniel J.; Blanton, Michael R.; Bahcall, Neta A.; Brinkmann, J.; Gunn, James E.; Schneider, Donald P. (2005). “Cosmic Homogeneity Demonstrated with Luminous Red Galaxies”. 《The Astrophysical Journal》 624: 54. arXiv:astro-ph/0411197. Bibcode:2005ApJ...624...54H. doi:10.1086/429084. 
  4. Scrimgeour, Morag I.; 외. (2012). “The WiggleZ Dark Energy Survey: The transition to large-scale cosmic homogeneit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5: 116. arXiv:1205.6812. Bibcode:2012MNRAS.425..116S. doi:10.1111/j.1365-2966.2012.21402.x. 
  5. Nadathur, S. (2013). “Seeing patterns in noise: Gigaparsec-scale 'structures' that do not violate homogeneit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34: 398. arXiv:1306.1700. Bibcode:2013MNRAS.434..398N. doi:10.1093/mnras/stt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