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사이버대학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1)
이 민 우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Lee, MinWoo. 2022. 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of the Korean
Teacher Training Courses: Focusing on the Cyber University Degree
Cours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3-3: 147-166. This
study analyzed the need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urriculum that can have
professional competenc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field. For the needs analysis, the t-test and the Borich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and the order of
educational necessity was confirmed by adding the necessity i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was confirmed in importance, demand, and necess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ey respondents within the
same group recognized separately what they thought was important
and what they thought was necessary for actu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s.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주제어: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Korean Teacher Training Courses), 요구
분석(Needs Analysis), 요구도(Demand), 필요도(Necessity), 중
요도(Importance), 교육 우선순위(Educational Priority)
* 이 연구는 2022학년도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148 이 민 우
1. 서론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이 제도화되고 본격적인 양성이 진행된 지 10여 년이
훌쩍 넘었다. 그동안 배출된 한국어 교원은 최초 자격증이 발급된 2006년 868
명에서 2022년 6월 현재 70,708명까지 증가하였으며,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은
학위과정 280개, 비학위과정 257개 기관에 달하고 있다(국립국어원 누리집,
https://kteacher.korean.go.kr 참조). 현재 운영 중인 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교원자격증을 주관하는 국립국어원의 심의에 맞추기 위해 국어기본
법에 명시된 교과 영역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교육의 다양성과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교육 기관이 비슷한 교과목으
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
이러한 상황과 달리 최근 한국어교육 현장은 한국어교육 수요의 세계적 팽창에
따라 교육 환경 및 학습자 유형과 목적이 다양해졌으며 이와 함께 학습자 요구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온라인 교수학습
도구들이 이용되며 발전하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 대확산 사태로 인한 교육 현장
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한국어 교원들은 현장에서 혼란과 어려움을 겪으며 새로운
교육 방법에 대한 요구에 스스로 적응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은 최신 기술들의 확대와 영향에 관심과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수용성도 높은 편이지만(오선경, 2020), 실제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개발
은 개인의 몫에 남겨지면서 새로운 기술 사용에 대한 어려움이 두드러지고 있어
(이민우, 2022) 새로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
고 있다. 비단 한국어교육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 전반에서 온라인 교육의 심화와
에듀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교육적 패러다임에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1) 홍종명 외(2021: 205)에 따르면 한국어 교원 양성 기관에 개설된 교과목의 다양성이 대부분
낮은 편으로 파악되었는데 최근의 시대적 경향과 학문적 수요, 한국어교육 현장의 특징 등에
따른 새로운 지식 내용의 필요성을 위해 교과목 인정 기준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49
이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OECD2030(Rychen, D. S., & Salganik, L. H. Eds.,
2003)에서는 교육적 관점에서 역량을 인간의 심리사회적인 특성(스킬과 태도 포
함)을 활용하여 복잡한 사회적 요구들에 적절하게 대처해 나가는 능력으로 정의하
면서 미래교육에 필요한 역량으로 지식, 가치, 기능을 제시하고 다변화된 사회
속에서 지식과 가치뿐만 아니라 기능을 습득하고 이용할 수 있는 역량을 중요시하
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급속히 변화하는 교육 현장에 맞추어 전문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현행
교육과정을 점검하고 시대의 변화에 맞는 새로운 교육과정 구축을 통해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의 질적 제고를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
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한국어 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점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사이버대학 학부 한국어교육
전공 재학생과 졸업생들의 요구를 통계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교육
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현행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살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선행연구 검토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에 필요한 내용에 대해 초기 연구서에는 교사가 갖추어
야 할 자질(백봉자, 1991)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이후 한국어 교사의 다양한
역량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지금까지 여러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한국어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을 위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
지면서 새로운 교육적 역량들을 분석하고 있는 추세이다(박지순・박정아, 2013;
이해영 외, 2017; 손주희・원해영, 2017; 이해영 외, 2020 등).
한국어 교원이 갖추어야 할 능력에 대해 강승혜(2010)는 교사의 전문성을 강조
하며 지식, 기술(기능), 인성과 태도의 세 측면을 제시하였으며,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조한 원진숙(2012)은 다문화적 인식과 태도, 한국어 교수 지식,
150 이 민 우
한국어 교수 기능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방성원(2016)은 교원의 자질을 지식
기반 요소, 신념 기반 요소, 기술 기반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이미혜(2019)는 요인
분석을 통해 핵심 상위 역량을 한국어교육 내용 지식, 한국어 수업 실행, 학습자
상담 및 관리, 태도와 인성, 자기계발 등으로 구분하면서 지식 역량과 실행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들 연구는 하위 분야에서 세부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 한국어 교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있어 교육적 지식, 교수법적 기술, 교육자적 태도와 인성이라
는 세 가지 영역을 중요한 범주로 다루고 있다(강승혜, 2010; 원진숙, 2012; 신호
철・이현희, 2014; 방성원, 2016, 안정민・김재욱, 2016; 이미혜, 2019; 정다운,
2019 등).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는 지식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서 그것을 현실화하는 구체적인 기술이 포함되는데, 이때 지식은 각각의 영역에
대한 융합적 지식이 중요시되며,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연결되지 않으
면 현실적이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원의 수행 능력을 강화시키고 교육
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 역량은 지식과 그 지식을 토대로 실제적인 수행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분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요구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내에서 따로 구체적 과목 유형으로 설정하기 어려운 태도와 인성이라는 정의적
영역 부분을 제외하고 한국어 교원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지식과 수행의 두
개의 대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하위의 세부 항목 분야로 지식 영역에는 한
국어교육에 필요한 내용 지식 분야들인 어학, 사회문화, 교육학, 교수법을 그리고
실제적인 수행 영역에는 실제 수업을 구성하고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제적 내용들
로서 선행 연구에서 한국어 교원이 갖추어야 할 기술 역량에 포함되었던 설계와
구성 능력인 교육과정 설계, 교육 내용 구성, 교실 활동 구성, 도구 활용 능력인
교육 도구 활용과 멀티미디어 활용 능력, 그리고 교육 자료 제작과 평가, 마지막으
로 학생 지도 및 상담 능력 등으로 항목을 구성하였다.(<표 1> 참조)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51
<표 1> 한국어 교원의 역량
상위 역량
세부 역량
비고
어학 지식
한국어학 및 일반언어학적 지식(방성원, 2016; 이해
영 외, 2017; 이미혜, 2019; 정다운, 2019 등)
사회문화 지식
한국 사회와 문화 및 상호문화적 지식(강승혜, 2010;
원진숙, 2012; 방성원, 2016; 이해영 외, 2017; 이미
혜, 2019; 정다운, 2019 등)
교육학 지식
일반 교육학 및 한국어교육학적 지식(강승혜, 2010;
방성원, 2016; 이미혜, 2019; 정다운, 2019 등)
교수법 지식
한국어 교수법 지식(안정민 외, 2011; 원진숙, 2012;
방성원, 2016; 이해영 외, 2017; 이미혜, 2019; 정다
운, 2019 등)
교육과정 설계 능력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이해영 외, 2017; 이미혜,
2019; 정다운, 2019 등)
교육 내용 구성 능력
한국어 교육 내용 구성(원진숙, 2012; 이해영 외,
2017; 이미혜, 2019 등)
교실 활동 구성 능력
한국어 교실 수업 설계 및 진행(강승혜, 2010; 방성
원, 2016; 이해영 외, 2017; 이미혜, 2019; 정다운,
2019 등)
교육 도구 활용 능력
수업을 위한 교육 도구 이용(이해영 외, 2017; 이미
혜, 2019; 이해영 외, 2020 등)
멀티미디어 활용 능력
다양한 매체 이용(이미혜, 2019; 정다운, 2019; 이해
영 외, 2020 등)
교육 자료 제작 능력
수업을 위한 교육 자료 제작 및 활용( 방성원, 2016;
이해영 외, 2017; 정다운, 2019; 이미혜, 2019 등)
교육 평가 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및 수행(원진숙, 2012; 이해영 외,
2017; 이미혜, 2019; 정다운, 2019 등)
학생 지도 및 상담 능력
학습자 이해 및 관리(방성원, 2016; 이해영 외, 2017;
이미혜, 2019 등)
내용 지식
수행 능력
한편 교육과정 개발 및 수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요구분석으로 시작된다.
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은 보통 t검정, Borich와 The Locus for Foucs
모델 등을 이용하는데,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과 관련된 전통적 연구에서는 이러
한 통계적인 방법론을 이용하기보다 대부분 전문가의 중요도 판단을 중심으로 하
152 이 민 우
거나 설문 응답에 대한 빈도 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에 이
연구는 중요도 순위 결정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을 이용한 요구분석과, 교육 우선
순위 결정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도 항목을 추가하여 교육적 필요성 가중치를 더한
새로운 통계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요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3. 연구 방법
3.1. 요구분석 방법
교육과정에서 요구(needs)란 보통 학습자의 현재 수준과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중요 수준 간의 차이(Witkin & Altschuld, 1995)로 정의된다. 요구분석은 학습자
들의 학습 요구를 충족시키는 교육과정의 목적을 정의하고 정당화하기 위하여 필
요한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Brown,
1995)으로서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토대로 학습자들이 만나게 될 교
육과정 개발을 위해 쓰일 기초 자료 수집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요구분석 방법이 있지만 설문을 통한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의 우선순위 결정 과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Borich, 1980).
설문조사 분석은 t-검정을 통해 유의미한 차이를 구분할 수 있지만 이는 평균
사이의 단순한 차이를 고려한 것으로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보
완하기 위해 개발된 Borich 요구도를 이용하여 요구분석을 시행하였다.
Borich(1980)는 교육의 필요를 확인하는 역량분석을 현재의 수준과 중요도로 구
분하고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주는 요구도 공식을 제안하면서 이를 통해 교육에
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에 따르면 가장 명확하게 차이를
보이는 불일치 항목이 교육과정 개선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Borich 요구도 분석 방법과 함께 교육 우선순위 결정을 돕기
위해 The Locus for Focus 모델(LfFM)을 이용한 시각적 도식화도 이용하였다.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53
LfFM은 가로축은 중요도의 평균값, 세로축은 중요도와 현재 수준 차이의 평균값
으로 구성된 좌표평면을 통해 각 항목들의 분포를 보여주는 방법이다(Mink,
Shultz & Mink, 1991). 또한 직접적인 교육 요구 파악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문에
교육 필요도 항목을 추가하여(오승국 외, 2014) 분석에 이용함으로써 해석의 정확
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3.2. 조사 설계 및 시행
본 연구의 조사 설계를 위해 우선 요구조사 관련 연구 및 한국어교육의 요구조
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설문 문항은
연구자를 제외한 한국어교육 전문가 2인2)의 검토를 거쳐 확정하였다. 설문은
2021년 4월 14일부터 21일까지 1주일 간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에는 A
사이버대학 학부 한국어교육 전공 재학생 171명 및 졸업생 192명 등 총 364명이
참여하였다.
설문 참여자의 성별은 남성 70명, 여성 294명으로 여성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
은 20대 17명, 30대 77명, 40대 144명, 50대 102명 60대 22명 등이었다. 설문
참여자의 학력은 고졸 9명, 대졸 236명, 대학원 이상 118명 등으로 대부분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엑셀프로그램으로 정리한 후 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을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 신뢰도는 크론바흐 알파 계수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타당도는 요인분석(KMO, Bartlett)을 통한 설명력과 적재량을 통
해 확인하였다. 각 항목별 요구도의 차이 및 재학생과 졸업생의 요구 차이 등은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2) 해당 전문가는 모두 한국어교육 15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전문가이다.
154 이 민 우
4. 조사 결과
4.1.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본 설문조사의 신뢰도를 보여주는 크론바흐 알파 계수(α)는 모든 변수에서 .8
이상으로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KMO와 Bartlett 검정 결과는
중요도 .91(p<0.000), 현수준 .95(p<0.000), 필요도 .92(p<0.000)로 매우 높게 나
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한 적재량의 경우 중요도, 현수준, 필요도 모두 .4 이상이었
으며, 설명력은 중요도 51.1%, 현수준 69.2%, 필요도 60%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
나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역량과 하위 항목들이 요인으로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
다.(<표 2> 참조)
<표 2> 설문조사 신뢰도 및 타당도
변수
지식
수행
요인
중요도
적재량
α
현수준
설명력 적재량
α
필요도
설명력 적재량
어학
.616
.702
교육학
.786
.775
교수법
.699
사회문화
.528
.589
.426
.810
30.3
.761
.864
35.8
.942
.681
교육내용구성
.462
.638
.682
.532
.652
.780
교육과정구성
.735
.692
.684
교육도구활용
.693
.742
멀티미디어활용 .733
20.8
.729
설명력
.839
37.1
.916
22.9
.553
교실활동구성
.871
α
.948
33.4
.731
.714
교육자료제작
.674
.803
.727
교육평가
.522
.484
.602
학생지도/상담
.498
.528
.569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55
4.2. 요구분석
각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중요도와 필요
도, 요구도와 필요도 사이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 교원 양성에
있어서 실제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요구,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 사이의
차이를 보여주는 결과이다.(<표 3> 참조)
<표 3> 중요도, 현수준, 요구도(Borich), 필요도 분석 결과
항목
지
식
수
행
I
m
P
sd
m
D(I-P)
sd
m
t
Borich
값
필요도
순위
m
순위
6
4.44
2
LfFM
어학
4.48 0.69 3.31 0.84 1.17 20.52*** 0.43
교육학
4.28 0.82 3.19 0.94 1.10 16.79*** 0.40
8
4.27
11
LL
교수법
4.49 0.72 3.15 0.94 1.34 21.57*** 0.49
3
4.37
4
HH
사회문화 4.39 0.74 3.50 0.93 0.89 14.32*** 0.33
12
4.32
9
LH
교육내용
4.62 0.58 3.17 0.93 1.45 25.22*** 0.53
구성
1
4.46
1
HH
교실활동
4.36 0.77 3.08 1.00 1.28 19.32*** 0.47
구성
4
4.35
6
HL
교육과정
4.36 0.77 2.97 0.98 1.39 21.28*** 0.51
설계
2
4.35
7
HL
교육도구
4.38 0.70 3.16 0.98 1.23 19.42*** 0.45
활용
5
4.36
5
HH
멀티미디
4.35 0.71 3.37 0.98 0.99 15.59*** 0.36
어활용
10
4.41
3
LL
교육자료
4.23 0.83 3.11 1.03 1.12 16.16*** 0.41
제작
7
4.32
8
LL
교육평가 4.14 0.81 3.16 0.88 0.98 15.63*** 0.36
11
4.19
12
LL
학생지도/
4.40 0.76 3.34 1.07 1.06 15.44*** 0.39
상담
9
4.29
10
LH
HH
n=364, I=중요도, P=현수준, D=요구도(중요도-현수준), m=평균, sd=표준편차, *=p<.05,
**=p<.01, ***=p<.001, t=t-test
156 이 민 우
설문조사 결과 중요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수행 변인의 교육내용구성 항목으로
4.62이었으며, 반대로 중요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동일 변인 내 교육평가 항목으
로 4.14이었다. 이와 달리 현수준에서 가장 높은 항목은 사회문화 항목으로 3.50
이었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교육과정설계로 2.97이었다. 중요도에서 현수준을 뺀
값을 토대로 계산된 Borich 요구도는 교육내용구성 항목이 .53으로 가장 높았으
며 교육과정설계(.51), 교수법(.49), 교실활동구성(.47), 교육도구활용(.45) 등의
순이었다. 이를 통해 교육내용과 교수법, 교육과정설계, 교실활동구성 등 교실 수
업 운영을 위한 실제적인 수행 방법에 대한 요구가 전반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사회문화(.33)나 교육평가(.36) 등에 대한 요구는 상대
적으로 매우 낮았다. 사회문화에 대한 지식은 대부분의 설문 응답자들이 자신의
현수준을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원 양성 과정에서의 교육 필요성
또한 낮게 판단하고 있었다. 교육평가 항목의 경우 현수준이 그리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중요도와 필요성(4.19)이 다른 항목에 비해 매우 낮았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 현장의 교실 내 학습자 평가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교육내용구성 항목은 Borich 요구도와 필요도 모두에서 동일하게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줌으로써 실제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필요성 또한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달리 어학(Borich 6위, 필요도 2위)과 멀티미디어
활용(Borich 10위, 필요도 3위) 항목은 상대적으로 요구도는 낮으나 필요도는 높
게 나타났으며, 교육과정설계(Borich 2위, 필요도 7위)는 요구도는 높으나 필요도
는 낮게 나타났다.
위의 분석 결과를 4분면 도식화(The Locus for Focus Model: LfFM)를 통해
다시 살펴보면 아래 <그림 1>과 같다.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57
HL
HH
LL
LH
<그림 1> 설문조사 결과 LfFM
LfFM 4분면에서 HH에 분포하면서 필요도가 높은 항목들이 교육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LL에 분포하면서 필요도도 낮은
항목들은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교
육 우선순위를 판단하면 교육내용구성, 어학, 교수법, 교육도구활용 등이 가장 우
선순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교육평가, 교육학, 교육자료제작 등은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다만 LL에 위치하면서도 필요도가 높은 멀티미디
어활용 등은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 사용의 수월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데 교육도구활용에 대한 요구와 함께 멀티미디어활용 관련 교과목의 수준
과 난이도 측면을 새롭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58 이 민 우
4.3. 재학생과 졸업생의 요구 차이 분석
한편 재학생3)과 졸업생의 중요도, 현수준, 요구도, 필요도 등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일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참조)
<표 4> 재학생과 졸업생의 중요도, 현수준, 요구도, 필요도 평균 차이 비교
항목
I
재학 졸업
P
t
재학 졸업
어학 4.51 4.45 0.80 3.09 3.50
지식
D
t
재학 졸업
필요도(G)
borich(G)
t
재학 졸업
t
재학 졸업
LfFM
t
재학 졸업
-4.70
4.22 0.52 0.35 4.22 4.52 4.37
1.42 0.95
1.96 LH HH
***
*** (7) (5) *** (2) (2)
-4.51
4.20 0.50 0.31 4.20 4.33 4.22
교육
1.39 LL LL
4.32 4.25 0.85 2.95 3.39
1.37 0.86
***
*** (8) (7) *** (9) (11)
학
교수
-4.93
4.66 0.60 0.39 4.66 4.41 4.34
4.52 4.47 0.71 2.90 3.38
1.62 1.09
0.83 HH HH
법
***
*** (3) (2) *** (4) (4)
-0.4
-2.77
2.07 0.37 0.28 2.07 4.33 4.31
사회
4.37 4.40
3.35 3.62
1.02 0.78
0.21 LL LH
5
**
* (12) (11) *** (10) (6)
문화
교육
5.33 0.65 0.43 5.33 4.57 4.35 3.09
-5.19
1.75 1.18
HH HH
내용 4.66 4.58 1.34 2.91 3.40
***
*** (2) (1) *** (1) (3) **
구성
교실
-4.61
5.00 0.59 0.36 5.00 4.41 4.30
1.42 HH HL
1.60 0.99
활동 4.43 4.30 1.64 2.83 3.31
***
*** (4) (4) *** (4) (7)
구성
교육
2.55
-5.81
6.66 0.66 0.37 6.66 4.42 4.29
2.67 3.24
1.80 1.02
1.75 HH HL
과정 4.47 4.26
*** (1) (3) *** (3) (9)
*
***
설계
수행
교육
-5.47
4.90 0.57 0.35 4.90 4.41 4.32
1.54 0.95
1.21 HL HH
도구 4.40 4.37 0.44 2.87 3.42
***
*** (5) (5) *** (6) (5)
활용
멀티
-3.40
3.51 0.45 0.29 3.51 4.40 4.41
미디
4.39 4.32 0.94 3.18 3.53
1.21 0.79
-0.08 LL LL
***
*** (11) (10) *** (7) (1)
어활
용
교육
-4.94
5.14 0.54 0.29 5.14 4.35 4.30
1.46 0.81
0.55 HL LL
자료 4.29 4.17 1.46 2.83 3.35
***
*** (6) (9) *** (8) (7)
제작
교육
-4.55
4.00 0.45 0.28 4.0 4.22 4.17
4.17 4.12 0.59 2.94 3.35
1.23 0.77
0.66 LL LL
평가
***
*** (10) (12) *** (12) (12)
학생
-3.86
3.95 0.49 0.30 3.95 4.32 4.26
1.32 0.82
0.62 LH LH
지도/ 4.43 4.36 0.88 3.11 3.54
***
*** (9) (8) *** (11) (10)
상담
n=364, I=중요도, P=현수준, D=요구도(중요도-현수준), G=순위, *=p<.05, **=p<.01, ***=p<.001, t=t-test
3) 재학생의 경우 학년별 응답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59
재학생과 졸업생을 비교해 볼 때 각 항목 전반에서 현수준(P)이 상승하였으며
이에 따라 요구도(D)가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과정 이수를 통한
졸업생의 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보았을
때 중요도에서 교육과정설계 및 필요도에서 교육내용구성 등이 유의미하게 낮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 순위를 고려하면 중요도에 있어서 교육과정설계를 제외하고 두 집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내용구성은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에게 있어서 중요
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학과 교수법 등은 중요도가 두 집단 모두 높았으
며 반대로 교수법, 교육평가 등은 모두 낮게 나타났다. borich 순위는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유사하게 교육내용구성과 교육과정설계, 교수법 등이 높았으며, 사회
문화, 교육평가, 멀티미디어활용 등은 낮았다. 필요도에서는 재학생에 비해 졸업
생이 멀티미디어활용과 사회문화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림 2> 재학생 LfFM
160 이 민 우
<그림 3> 졸업생 LfFM
LfFM을 통해 재학생과 졸업생의 요구를 비교하여 보면 둘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다 분명히 파악할 수 있다.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HH에 포함되는 부
분은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법 지식이 공통적이나, 재학생의 경우 교육과정설계와
교실활동구성이 포함된 것과 달리 졸업생의 경우 교육도구 활용과 어학지식이 포
함되어 있다. 이는 현장 경험을 통해 보다 실용적인 영역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LL면에 위치한 항목은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평가, 교육학지식, 멀티미디
어활용이 공통적이며, 재학생에서는 사회문화지식이, 졸업생에서는 교육자료제작
이 각각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이론적인 부분보다 실제적인 부분의 요
구가 강하게 반영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5. 결론
설문조사 분석 결과 설문 응답자들은 스스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
교육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61
다. 이러한 차이는 요구분석을 통한 교육 우선순위 판단에 있어서 요구도 이외에
교육 필요성에 대해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교육의 중요도와 필요도에 따른 교육 우선 순위 상위 항목은 교육내용구성이
첫 번째였으며, 멀티미디어활용과 교육과정설계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LfFM
에서도 교육내용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교수법과 교육도구 구성, 어학지식
등이 높은 우선 순위로 나타났다. 이들 항목들은 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
정 구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이들에 대한 교육 또한 강화되어
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재학생과 졸업생 사이의 교육 우선순위에서 재학생에게서는 교육과정설계와
교실활동구성이, 졸업생에게서는 교육도구활용과 어학지식 항목이 우선 순위 항
목에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원 양성 과정과 재교육과정에서 차별
화된 교육 구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022년 현재 국립국어원에서 시행중인 한국어 교원 자격 과정 운영에 대한 지
침을 살펴보면 필수 교육 영역은 한국어학,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외국어로
서의 한국어교육론, 한국문화, 한국어교육실습 등 5개로 구분된다. 이들 영역은
교원의 자질이나 역량을 기준으로 나눈 것이라기보다는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학
문 영역을 중심으로 나누어져 있고 실습 과목 영역인 5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과목들이 대부분 지식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양성 과정 운영 기관에서 실제
적인 기술이나 수행 능력을 갖출 수 있는 교과를 다양하게 선정하고 개발하는
것에 일정 부분 한계가 있다. 또한 요구도와 필요도가 높은 어학과 교육도구활용
관련 과목에 대한 비중이 낮거나 따로 고려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점검이 필요
할 것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는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요구분석을 시행함으로써
교육 우선순위와 요구의 차이를 면밀히 파악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요구 차이를 구분하여 교원 양성 과정과 교원 재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차이점을 구분한 것 또한 이전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하지만 본 연구는 변인 추출을 정밀화하지 못하였으며 설문 응답자가 특정 사
162 이 민 우
이버대학생4)에 치우쳐 있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는 향후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및 재교육과정을 위한 객관적인 통계적 요구조사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보다 광범위한 요구분석을 통해
학습자 요구에 맞춘 국립국어원 지침 변화와 교육과정 개발이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승혜(2010),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 한국어 교사의 특성”, 한국어교육, 21
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7쪽.
박지순 박정아(2013), “한국어 교원 연수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및 제언”, 이중언
어학, 52호, 이중언어학회, 181-220쪽.
방성원(2016), “한국어 교사 재교육의 쟁점과 과제”, 한국어교육, 27권 2호,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79-103쪽.
백봉자(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훈련 방법”, 이중언어학, 8호, 이중언어학회,
507-525쪽.
손주희 원해영(2017),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신임 한국어
교사의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6권 3호, 부산대학교 과학교
육연구소, 279-291쪽.
신호철 이현희(2014), “한국어 교원 능력 평가 항목 개발 연구”, 새국어교육, 99호, 한국
국어교육학회, 283-317쪽.
안정민 김재욱(2016), “채용 과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사의 자질”, 국어교육연구, 38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11-142쪽.
오선경(2020), “최신기술 활용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불안과 인식 연구”, 어문논집, 90
호, 민족어문학회, 215-240쪽.
오승국 전주성 박용호(2014), “교육요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 보완 연구”, 교육문제연구, 27권 4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77-98쪽.
4) 사이버대학생은 일반 대학과 같은 연령대인 20대부터 직장을 은퇴한 60대까지 학습자가 다
양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국어 교원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가진 학습
자로서 이들은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위한 다양한 표집이 될 수도 있다.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63
원진숙(2012),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 교사 양성 방안”, 국어교
육, 139호, 한국어교육학회, 81-113쪽.
이미혜(2019),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한국언어문화학, 16권 2호, 국제
한국언어문화학회, 231-254쪽, http://dx.doi.org/10.15652/ink.2019.16.2.231.
이민우(2022), “온라인 한국어교육에 대한 태도, 기대, 인식 연구 -온라인 세종학당 교원
과 학습자 비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87호, 이중언어학회, 49-71쪽.
이해영 외(2017), “국내 한국어 교원 재교육 현황 조사 및 시사점”, 새국어교육, 111호,
한국국어교육학회, 83-113쪽.
이해영 김수현 정혜선(2020), “국외 한국어 교원의 교육 및 연구 역량 제고를 위한 역량
중요도-역량 향상도 분석”, 이중언어학, 78호, 이중언어학회, 149-172쪽.
정다운(2019),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어문론집, 78호, 중앙어문
학회, 443-475쪽.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65-187쪽.
홍종명 외(2021), 한국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결과보고서, 국립국어원
2021-01-22.
Borich, G.(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쪽.
Brown, J. D.(1995), The elements of language curriculum: A systematic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Heinle & Heinle Publishers.
Mink, O. G. Shultz, J. M. Mink, B. P.(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TX: Somerset Consulting Group.
Richards, K.(2003) Qualitative inquiry in TESOL. Springer.
Rychen, D. S. Salganik, L. H.(Eds.)(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Publishing.
Witkin, B. R. Altschuld, J. W.(1995),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Thousand Oaks, CA: Sage.
164 이 민 우
<부록> 요구조사 설문 항목
Ⅰ. 기초 정보
1. 성별: ① 남 ② 여
2. 연령: ① 10대 ② 20대 ③ 30대 ④ 40대 ⑤ 50대 ⑥기타 (
3. 학력: ① 고졸 ② 대졸 ③ 대학원졸 ④ 기타 (
)
)
4. 학년: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④ 4학년 ⑤ 졸업생 ⑥ 기타(
Ⅱ. 한국어교육을 위한 다음의 역량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낮음 <-------------------------------------------------------------------------------> 높음
1
2
3
4
5
5. 어학 지식이 중요하다.
6. 교육학 지식이 중요하다.
7. 교수법 지식이 중요하다.
8. 사회문화 지식이 중요하다.
9. 평가 능력이 중요하다.
10. 교육 내용 구성 능력이 중요하다.
11. 교육 도구 활용 능력이 중요하다.
12. 멀티미디어 활용 능력이 중요하다.
13. 교육 자료 제작 능력이 중요하다.
14. 교실 활동 구성 능력이 중요하다.
15. 교육과정 설계 능력이 중요하다.
16. 학생 지도 및 상담 능력이 중요하다.
Ⅲ. 한국어교육을 위한 자신의 현재 역량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낮음 <-------------------------------------------------------------------------------> 높음
1
2
17. 나의 현재 어학 지식
3
4
5
)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165
18. 나의 현재 교육학 지식
19. 나의 현재 교수법 지식
20. 나의 현재 사회문화 지식
21. 나의 현재 평가 능력
22. 나의 현재 교육 내용 구성 능력
23. 나의 현재 교육 도구 활용 능력
24. 나의 현재 멀티미디어 활용 능력
25. 나의 현재 교육 자료 제작 능력
26. 나의 현재 교실 활동 구성 능력
27. 나의 현재 교육과정 설계 능력
28. 나의 현재 학생 지도 및 상담 능력
Ⅳ. 한국어교육을 위한 다음의 역량 교육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낮음 <-------------------------------------------------------------------------------> 높음
1
2
3
29. 어학 지식 교육이 필요하다.
30. 교육학 지식 교육이 필요하다.
31. 교수법 지식 교육이 필요하다.
32. 사회문화 지식 교육이 필요하다.
33. 평가 교육이 필요하다.
34. 교육 내용 구성 교육이 필요하다.
35. 교육 도구 활용 교육이 필요하다.
36.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이 필요하다.
37. 교육 자료 제작 교육이 필요하다.
38. 교실 활동 구성 교육이 필요하다.
39. 교육과정 설계 교육이 필요하다.
40. 학생 지도 및 상담 교육이 필요하다.
4
5
166 이 민 우
이민우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부 부교수
(0245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전화번호: 02-2173-2922
전자우편: meanwoo@cufs.ac.kr
접수일자: 2022. 06. 30.
심사일자: 2022. 08. 13.
게재확정: 2022. 0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