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orean Fashion Style Expressed in Youtube Content
A Study On Korean Fashion Style Expressed in Youtube Content
A Study On Korean Fashion Style Expressed in Youtube Content
곽 가 빈 김 세 진*† ․
창원대학교 시니어휴먼에콜로지 협동과정 패션학 석사과정 ,
창원대학교 시니어휴먼에콜로지 협동과정 패션학 조교수*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fine the Korean Wave as global attention to Korea’s unique
culture and consider the specificity of traditional Korean fashion images in Korean
Wave content.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collect Korean Wave content on YouTube, 24 channels with the
highest number of views were selected from among content uploaded from 2018 to
the present through keyword search, and up to two channels with high views showing
traditional Korean fashion images. As a result of selecting the analysis target, 41
Korean Wave videos and 368 costum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fashion
style elements, including item, color, detail, motif, styling, silhouette, and accessory.
As a result of the study, music, broadcast, fashion, and other content were found in
the Korean Wave content fields in which Korean fashion style appea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were derived. Music content was characterized by fashion
Received April 07, 2021
style excluding stereotypes about traditional Korean costume, broadcast and fashion
Revised April 24, 2021
Accepted April 26, 2021
content was characterized by fashion style inherited from traditional costume, and other
content was characterized by symbolic fashion style of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
Corresponding author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design
(sejinkim@changwon.ac.kr) elements recently shared online through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ashion images
in Korean Wave content.
ORCID
Ga Bin Gwak Keywords: digital Korean Wave(디지털 한류), Korean fashion style(한국적 패션 스타
https://orcid.org/0000-0002-3230-3773
일), digital content(디지털 콘텐츠)
Sejin Kim
https://orcid.org/0000-0002-0543-1112
I. Introduction
The authors of this paper
were partly supported by the
Brain Korea21 Projects.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다양한 콘텐츠의 생성과 문화적 소비를 이끌고, 디지털
- 289 -
138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 290 -
Vol. 29, No. 2 ․
곽가빈 김세진 139
기를 끌면서 중국의 언론이 이 같은 현상을 한류로 중문화는 서양을 모방하는 수준을 넘어서 동양의
표현한 데서 시작되었다(Hwang, 2020; Lee, 2017). 정서와 가치관을 투영하여 재구성하는 문화 창조
한류란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세계 각지에서 유행 를 보여주며 성장하였다(Lim, 2006).
하며, 전 세계의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지 새로운 한류를 이끄는 주체 역시 이전과 다르다.
칭한다(Y. J. Lee, 2020). 한류의 발생 시점과 원인 디지털 주류로 꼽히는 MZ세대는 밀레니얼의 M세
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긴 어렵지만, 선행연구에 대와 Z세대를 일컬으며, 전 세계 인구의 큰 비중을
서는 한국 TV 드라마의 인기가 시작된 1990년대 차지하는 떠오르는 소비층으로 세계적 트렌드 변
후반으로 다뤄지고 있다(Chang, 2013). 그러나 한 화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MZ세대는 스마트폰 등
류 현상이 화두가 된 지 20여 년이 지난 현시점의 디지털 미디어 기기를 능숙하게 다루며, 디지털화
한류는 그 양상이 초기와 다르다. 된 서비스에 익숙하여 새롭거나 혁신적인 서비스
한류의 변화 양상을 시기적으로 구분한 Lyu 에 대한 거부감이 낮다(Gwon, 2020). 또한, 이전
(2020)에 따르면, 1997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세대와 달리 글보다 이미지를 선호하고, 정지된 사
의 한류는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의 대중문화에 진보다 동영상을 선호한다. 그렇기에 유튜브는 MZ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아시아 국가 내 소수 마니 세대가 즐겨 찾는 영상 플랫폼으로 급부상할 수 있
아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2000년대 었다(Seo, 2020).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는 K-pop 대중음악을 J. H. Shin(2019)에 따르면, M세대가 넷플릭스와
중심으로 아시아, 중남미, 중동, 구미주 등의 10~20 같은 OTT서비스에 가입한 비율은 전 연령층을 아
대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2008년 울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Z세대의 경우
부터 콘텐츠의 개발 부족과 경쟁 심화로 인해 급속 에도 OTT서비스에 가입한 비율이 베이비붐 세대
히 쇠퇴하는 듯했으나, 이후 온라인 동영상 공유 및 나 X세대와 같은 기성세대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
스트리밍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글로벌 되었다. 따라서 MZ세대는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콘
콘텐츠들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공유되고, 이를 텐츠를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2010년 다. 특히 이들은 미디어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소비
이후에 나타난 한류 현상은 한국의 대중문화를 중 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SNS와 유튜브 등 다양해
심으로 하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지만, 다양한 지는 채널을 통해 관심 있는 콘텐츠를 직접 찾아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수출을 염두에 두지 않고 소비하는 세대이다(Jang, 2019). 최근 한류를 이끌
한국 시청자만을 위해 제작된 콘텐츠로서, 동시다 고 있는 방탄소년단의 사례는 디지털 한류의 주체
발적인 빠른 확산과 한국어와 같이 일상과 밀착된 와 속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한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며, 전 세계와 전 연령층을 국의 방탄소년단이 유튜브를 통해 한국어 가사의
범위로 팬덤이 형성되는데, 이 점이 이전 한류 현 음악을 전 세계적 열광으로 이끌 수 있었던 것은
상과 다른 점이다(Hong, 2013). MZ세대가 소통하는 트위터와 유튜브 등을 적절히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한 한국 문화의 확산 현 활용한 소셜 미디어 콘텐츠 전략을 펼쳤기 때문이
상, 즉 디지털 한류가 본격화된 시점에 대해 Hwang 다. 이러한 전략은 새로운 세대가 지향하는 방향성
(2020)은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기점으로 보고, 미 과 가치관이 일치했기 때문에(Jang, 2019), 전 세계
디어가 발전함에 따라 한류 콘텐츠를 소비할 기회 적인 MZ세대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렇듯 현
가 다양해진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가 전 세계적인 시점에서 한류는 디지털 미디어 특히, 소셜 미디어
열풍을 불러왔고, 이를 계기로 한류가 급격하게 발 를 통해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고, 이를 중심으로
전하여 새로운 한류 세대에 돌입했다는 것을 의미 한 특정 집단과 소통하여 생성된 결과이다.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영상 콘텐츠 속 한국의 대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류를 소셜 미디
- 291 -
140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 292 -
Vol. 29, No. 2 ․
곽가빈 김세진 141
- 293 -
142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정하는 데 핵심 평가 지표를 이용한 연구로 Lee (2018)가 제시한 콘텐츠 유형을 참고하였다. Ministry
and Yu(2017)는 장르별 채널의 구독자 수를 기준 of Culture(2018)에서는 콘텐츠를 장르에 따라 10
으로 하였고, Park and Chun(2020)은 키워드 검색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여기에 패션 장르를
으로 도출된 결과 중 구독자 순으로 10개의 유튜버 추가하여 라이프, 뷰티, 게임, 방송, 푸드 & 먹방,
를 정한 후 각 채널에서 조회 수가 높은 영상 순으 키즈, 지식 & 정보, ASMR, 음악, 패션, 기타 유형
로 대상을 선정하였다. 유튜브 영상 조회 수와 구독 으로 구분된다고 보고, 이를 토대로 주 내용에 따
자 수는 대상의 인지도, 관심도, 영향력 및 선호도 라 41개의 콘텐츠를 유형 분류한 결과, 음악, 방송,
를 반증하므로, 본 연구는 유튜브 이용자들 사이에 패션, 기타 4가지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높은 영향력과 관심을 보인 한류 콘텐츠를 선정하
는 기준으로 조회 수와 구독자 수를 근거로 삼았 1. Analysis of the types of Korean Wave content
다. 이를 토대로 한류 콘텐츠와 분석 대상 채널을 앞선 연구 방법에 따라 수집된 콘텐츠를 유형 분
선정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키워드 검색을 통 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이, 음악 콘텐츠(27개)
해 조회 수가 높은 한류 콘텐츠를 도출한 뒤, 해당 가 높은 빈도수를 보였고, 이어서 방송 콘텐츠(9
콘텐츠를 대상으로 구독자가 많은 24개의 채널을 개), 패션 콘텐츠(2개), 기타 콘텐츠(3개)의 순으로
선정하였다. 각 채널에서 검색 기능을 이용해 한국 나타났다. 음악 콘텐츠는 음악과 각종 퍼포먼스를
적 패션 스타일이 나타난 조회 수가 높은 콘텐츠를 대중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영상으
최대 2개씩 선정하여 총 41개의 콘텐츠를 분석 대 로 뮤직비디오와 무대 영상, 안무 영상, 연습 영상
상으로 하였고, 일부 채널은 1개의 콘텐츠만 포함 이 있었다. 3개의 음악 콘텐츠는 명절을 맞이해 한
되었다. 한국적 패션 스타일 분석은 선정된 한류 콘 복을 착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의 전통 컨셉
텐츠에서 앞서 정의한 한국적 패션 스타일의 특성 콘텐츠가 나타났다. 13개의 음악 콘텐츠는 시기와
을 토대로 한국 고유의 디자인 요소가 반영된 368 음악, 배경에 전혀 관계없이 한국적 패션 스타일이
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한류 콘텐츠의 유형과 나타났다. 방송 콘텐츠는 각종 오락이나 말솜씨, 연
패션 스타일의 요소에 의해 그 양상을 살폈다. 기로 대중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 등 TV와 타 미디어를 통해 방영되는 콘텐
IV. Korean Fashion Style Expressed in 츠이다. 방송 콘텐츠의 내용은 사극 드라마와 관찰
<Table 1> Analysis data by types of the used Korean Wave content
Numbers of Numbers of
Type Content Ratio(%)
content costume
Digital content of music, such as official music videos
Music 27 66 240
and performance video
Digital content of broadcast video containing
Broadcast 9 22 100
entertainment and drama
Fashion Digital content of presenting fashion information 2 5 19
Etc. Digital content of promotion and advertisement 3 7 9
Total 41 100 368
- 294 -
Vol. 29, No. 2 곽가빈 김세진․ 143
<Fig. 1> Mix matched fashion style <Fig. 2> Genderless fashion <Fig. 3> Waist skirt dress and
Adapted from Cheollic one piece traditional chest cover
JYP Entertainment. (2020a). Adapted from Mnet K-pop. (2019). Adapted from BLACKPINK. (2020).
https://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
- 295 -
144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전통 한복의 구성과 착장이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서는 저고리, 당의, 치마, 포, 바지와 같은 한복의
디자인에서만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방송 콘텐츠 아이템이 나타났다. 컬러는 소프트 톤과 비비드 톤
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스타일의 아이템은 한복의 이 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덜 톤과 딥 톤이 사
복종인 치마와 바지, 저고리, 당의, 조끼가 나타났 용되었다. 디테일은 고름과 깃, 동정 등과 같이 전
으며, 현대 복종은 없었다. 긴 당의와 짧은 저고리 통 한복에서 사용되는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 비슷한 비율로 등장했으며, 컬러는 은은한 파스 모티브는 한국 자수 기법과 금박 공예 기법을 통해
텔 톤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딥 톤과 비비드 톤 흉배와 저고리, 포, 치맛자락에 꽃과 자연물로 표현
도 어우러져 표현되었다. 디테일로는 고름과 섶, 되었다(Fig. 7). <Fig. 8>과 <Fig. 9>에서는 스타일링
깃, 동정, 치마 주름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때에 따 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생활 한복과 궁중 한복 등 전
라 동정을 생략하거나 고름 대신 매듭단추를 활용 통 한복 착장 방식이 그대로 나타났으며, 세조대와
하였고, 주머니나 지퍼와 같은 현대적 디테일은 확 갓, 버선, 족두리, 노리개, 부채 등의 전통 소품이
인할 수 없었다. 모티브는 꽃 자수가 나타났으나, 함께 연출되었다.
아기자기하고 은은하게 표현되어 음악 콘텐츠에
사용된 화려한 모티브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4) Other content of Korean Wave
이 밖에도 금박, 한국 자수 등의 한국 전통 공예 기 기타 콘텐츠의 한국적 패션 스타일은 현대와 전
법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5>와 같이 방 통의 복종이 모두 나타났으며, 한국의 자연물과 생
송 콘텐츠에서는 궁중 한복 스타일부터 단정한 생 활양식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전통 공예 기법과
활 한복 스타일과 단아한 전통 한복 스타일 등 격 컬러 조합, 한국만의 고유한 문화적 가치가 내포된
식 위주의 한복 스타일이 나타났다. 스타일링으로 소품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적 미를 표현
는 <Fig. 4>와 같이 바지와 저고리 또는 치마와 저 한 스타일링이 연출되었다. 아이템은 털배자, 저고
고리에 조끼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전통 한복의 착 리, 치마, 티, 바지, 반바지, 점프슈트, 재킷이 있었
용 방식을 그대로 고수하였으며, 소품은 배씨댕기, 다. 컬러는 색동의 연쇄적 컬러 조합과 채도가 높
복건, 망건, 첩지, 비녀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6). 은 비비드 톤이 주로 나타났다, 디테일은 테일러드
칼라와 지퍼, 주머니가 있었다. 모티브는 학, 산, 소
3) Fashion content of Korean Wave 나무 등 한국의 자연물과 전통 문양들이 한국 자수
패션 콘텐츠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스타일은 전 와 은박 기법을 통해 표현되었다. 스타일링은 현대
반적으로 전통 한복의 양식과 착장을 유지하였다. 복종과 전통 복식이 함께 어우러져 연출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전통 한복 스타일을 고수하고 있다 소품으로 허리끈과 각종 전통 모자, 비녀가 사용되
는 점에서 방송 콘텐츠와 유사하다. 패션 콘텐츠에 었다. 전통 복식과 현대 복종을 매치한 착장 방식
<Fig. 4> Boy’s Hanbok <Fig. 5> Korean traditional clothes <Fig. 6> Drama Hanbok
Adapted from KBS which people wear in court Adapted from KBS
Drama Classic. (2019a). Adapted from Overwatch. (2020). Drama Classic. (2019b).
https://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
- 296 -
Vol. 29, No. 2 곽가빈 김세진․ 145
<Fig. 7> Hanbok using traditional <Fig. 8> Daily Hanbok <Fig. 9> Korean dance Hanbok
craft techniques Adapted from League of Legends – Adapted from Free Jia. (2020).
Adapted from League of Legends – Korea. (2020). https://www.youtube.com
Korea. (2020). https://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
<Fig. 10> Hanbok vest <Fig. 11> Rainbow-striped jump-suit <Fig. 12> Korean embroidery suit
Adapted from Imagine your Korea. Adapted from Imagine your Korea. Adapted from
(2020b). (2020a). LOTTE Chilsung. (2020).
https://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
- 297 -
146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 298 -
Vol. 29, No. 2 곽가빈 김세진 ․ 147
<Table 2> Analysis of Korean fashion style expressed in Korean Wave content by fashion style factors
Characteristics of Korean
Type Korean fashion style
fashion style
1) Genderless
fashion
style
Fashion style
2) Mix
excluding
Music Video matched
stereotypes
Music Adapted from Cheollic Mix and match Jeogori shirt fashion
about Korean
BLACKPINK. one piece style Adapted Adapted from style
traditional
(2020). Adapted from from JYP JYP costume
https://www.youtub Mnet K-pop. Entertainment. Entertainment. 3) Non -
e.com/ (2019). (2020a). (2020b). connectivity
https://www.you https://www.you https://www.you in fashion
tube.com tube.com tube.com style
- 299 -
148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Characteristics of Korean
Type Korean fashion style
fashion style
Fashion
documentary
Fashion Men’s Hanbok Dance Hanbok Traditional
Adapted from
Adapted from Adapted from Hanbok
League of Legends
League of Free Jia. Adapted from
– Korea.
Legends – (2020). League of
(2020).
Korea. https://www.you Legends Korea.
https://www.youtub
(2020). tube.com (2020).
e.com/
https://www.you https://www.you
tube.com tube.com
1) Using
traditional
Korean
motifs and
patterns
Symbolic
Promotion of fashion
Etc. Korea Adapted Rainbow-striped Traditional Embroidered 2) Using style of
from Imagine jump-suit hat Adapted suit Adapted traditional
traditional
your Korea. Adapted from from Imagine from LOTTE Korean
culture
(2020a). Imagine your your Korea. Chilsung. accessories
https://www.youtub Korea. (2020b). (2020). such as Gat
e.com/ (2020a). https://www.you https://www.you and hair
https://www.you tube.com tube.com accessory
tube.com
- 300 -
Vol. 29, No. 2 ․
곽가빈 김세진 149
- 301 -
150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 302 -
Vol. 29, No. 2 곽가빈 김세진․ 151
- 303 -
152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 304 -
Vol. 29, No. 2 곽가빈 김세진․ 153
https://www.youtube.com/watch?v=1xK39AI7 10.18652/2020.20.1.3
GMg&list=PL00I9cD3PgAERibSPJAjmT6b51 Park, J. Y., Lim, J. E., & Hwang, J. S. (2018).
KCZ5ouF&index=30 Communication strategies of YouTube brand
Lyu, S. H. (2020). Economic review for creating a channel contents. The Korean Journal of Ad-
new economic system: Opportunities and chal- 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0(2), 95-151.
lenges for new Korean Wave. Hyundai Re- doi:10.16914/kjapr.2018.20.2.95
search Institute. Retrieved January 3, 2021, Park, S. H. (2019). A study on the consumer-driven
from http://www.hri.co.kr/storage/newReList.asp business model in the K-Wave 3.0 (in-depth
Ministry of Culture. (2018). 개인미디어콘텐츠 육 Korean Wave) era. Unpublished doctoral di-
성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motion of 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ersonal media contents]. Retrieved March 2, Seo, J. P. (2020, January). MZ세대를 알면 디지털
2021, from https://www.korea.kr/archive/expD 세상이 보인다 [If you know MZ generation,
ocView.do?docId=38110 you can see the digital world]. Fashion Insight.
Mnet K-pop. (2019). Destiny - Oh my girl 2nd Retrieved January 25, 2021, from http://www.
contest cover song contest comeback war: fi.co.kr/main/view.asp?idx=68279
quindom episode 4 [YouTube Channel]. Ret- Shin, D. W. (2019, October 10). 콘텐츠 소비, 동
rieved March 8, 2021, from https://www. 영상 이용률 증가세 [Contents consumption,
youtube.com/watch?v=e5BseJ4fxzA&list=PL00 video usage growth]. Cosmetic Mania News.
I9cD3PgAERibSPJAjmT6b51KCZ5ouF&index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
=13 cmn.co.kr/mobile/sub_view.asp?news_idx=311
Mohsin, M. (2021, January 25). 10 Youtube stats 41
every marketer should know in 2021. Oberlo. Shin, J. H. (2019). KISDI STAT report 19-04.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
oberlo.com/blog/youtube-statistics tute. Retrieved January 21, 2021, from http://
Opensurvey. (2020). 온라인 동영상 시청 트렌드 kisdi.re.kr/kisdi/fp/kr/publication/selectResearch
리포트 2020 [Online video viewing trend .do?cmd=fpSelectResearch&curPage=2&sMenu
report 2020].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Type=3&controlNoSer=43&controlNo=14508
https://blog.opensurvey.co.kr/trendreport/online &langdiv=1&searchKey=TITLE&searchValue=
video-2020/ &sSDate=&sEDate=
Overwatch. (2020). The story of echo - an authentic Smith, H. J., Pettigrew, T. F., Pippin, G. M., &
historical drama | Overwatch [YouTube Cha- Bialosiewicz, S. (2012). Relative deprivation:
nnel]. Retrieved March 8, 2021, from https:// A theoretical and meta-analytic review. Perso-
www.youtube.com/watch?v=7a0q89dSY_w&lis 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6(3),
t=PL00I9cD3PgAERibSPJAjmT6b51KCZ5ouF 203-232. doi:10.1177/1088868311430825
&index=32 TOMORROW X TOGETHER OFFICIAL. (2020).
Park, J. H., & Chun, J. H. (2020). A study on TXT making songpyeon - TXT (tomorrow by
lookism expressed in YouTube’s fashion con- together)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tents -Focused on videos and comments-. 8,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
Journal of Fashion Design, 20(1), 35-53. doi: v=bRZY9KTGycE&list=PL00I9cD3PgAERibS
- 305 -
154 유튜브 콘텐츠에 표현된 한국적 패션 스타일 복식문화연구
- 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