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래틀리 군도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Spratly Islands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스프래틀리 군도 다른이름: 난사 군도, 쯔엉사 군도, 칼라얀 군도 | |
---|---|
지리 | |
위치 | 남중국해 |
좌표 | 북위 10° 동경 114° / 북위 10° 동경 114°
|
구성 도서 | 750개 이상
|
면적 | 5km 미만 |
해안선 | 926km |
최고점 | 남서 소도 4m |
실효 지배 | |
영유권 주장 | |
말레이시아 | |
주 | 사바주
|
베트남 | |
성 | 카인호아성 |
현 | 쯔엉사현 |
브루나이 | |
EEZ | 브루나이 구역
|
중화민국 | |
시 | 가오슝시 치진구
|
중화인민공화국 | |
시 | 하이난성 싼사시
|
필리핀 | |
주 | 팔라완주
|
인구 통계 | |
인구 | 0명
|
스프래틀리 군도(영어: Spratly Islands)는 남중국해 남부 해상에 있는 군도로, 필리핀의 서쪽, 베트남의 동쪽, 보르네오섬(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의 북쪽, 중국의 남쪽에 위치해있다.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필리핀의 영토 분쟁 지역으로, 현재 분쟁 당사국들이 섬을 하나하나를 각각 실효 지배하고 있다.(→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지리
[편집]1939년 스프래틀리 군도는 대부분 새들이 서식하는 산호섬이었다.[1]중국의 1986년 소식통에 따르면 자연적으로 19개의 섬으로 구성된 군도임에도 14개의 섬, 6개의 둑, 113개의 수중 암초, 35개의 수중 둑, 21개의 수중 모래톱으로 이루어져 있다.[2] 스프래틀리 군도의 북동부는 위험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낮은 섬, 가라앉은 암초, 퇴화된 가라앉은 환초들이 바다 깊이에서 1,000 미터 (3,300 ft) 이상 갑자기 솟아오르는 경우가 많아 항해에 위험한 지역이다. 이곳은 거의 경작 가능지가 없고, 토착민도 없으며, 식수 또한 구하기 힘들다.[3]
경제
[편집]이곳의 천연자원은 어류가 많이 잡히며, 구아노, 석유, 천연가스 등이 매장되어 있으며,[4] 경제활동에는 어업, 구아노 광업,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그리고 최근에는 관광업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곳은 몇 개의 주요 항로 근처에 위치해 있다.
명칭
[편집]영토 분쟁을 겪는 지역인 만큼 나라마다 부르는 명칭이 각각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 난사 군도(南沙群島) →남사 군도
- 베트남 - 쯔엉사 군도(베트남어: Quần Đảo Trường Sa / 群島長沙 →장사 군도)
- 필리핀 - 칼라얀 군도(타갈로그어: Kapuluan ng Kalayaan →자유 제도) 또는 티투 제도
-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 스프래틀리 군도(말레이어: Kepulauan Spratly)
역사
[편집]주요 해양 지물
[편집]면적순
[편집]스프래틀리 군도에서 해수면 위의 면적이 존재하는 섬(island), 케이(cay), 초(reef)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실효 지배국별
[편집]- 중화민국 : 이투아바섬, 중저우 암초
- 중화인민공화국 : 쿼테론 암초(화양 암초), 피어리크로스 암초, 게이븐 암초, 휴스 암초, 존슨 사우스 암초, 미스치프 암초, 수비 암초
- 필리핀 : 플랫섬, 란키암 케이, 로아이타 케이, 로아이타섬, 난샨섬, 노스이스트 케이, 티투섬, 웨스트요크섬, 코모도어 암초, 어빙 암초, 세컨드 토마스 숄
- 베트남 : 사우스웨스트 케이, 샌드 케이, 남옛섬, 신카우섬, 스프래틀리섬, 암보이나 케이, 그리어슨 암초, 센트럴 런던 암초, 피어슨 암초, 바크 캐나다 암초, 웨스트 런던 암초, 래드 암초, 디스커버리 그레이트 암초, 피전 암초, 이스트 런던 암초, 앨리슨 암초, 콘월리스 사우스 암초, 사우스 암초, 페틀리 암초, 콜린스 암초, 랜즈다운 암초, 봄베이캐슬 암초, 프린스오브웨일스 천퇴, 뱅가드 천퇴, 프린스콘소트 천퇴, 그레인저 천퇴, 알렉산드라 천퇴, 올리아나 숄, 킹스턴 숄
- 말레이시아 : 스왈로 암초, 아데이지어 암초, 마리벨레스 암초, 댈러스 암초, 에리카 암초, 인베스티게이터 숄, 제임스 숄
- 브루나이 : 루이사 암초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laudius Madrolle (1939). “La question de Hai-nan et des Paracels” [The question of Hai-nan and Paracel]. 《Politique étrangère》 (프랑스어) 4 (3): 302–312. doi:10.3406/polit.1939.5631. 2018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7일에 확인함.
- ↑ “The Impact of Artificial Islands on Territorial Disputes Over The Spratly Islands, by Zou Keyuan”.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7일에 확인함.
- ↑ Mark E. Rosen (2016년 7월 18일). “China Has Much to Gain From the South China Sea Ruling”. 《The Diplomat》 (미국 영어). 2017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그러나 2013년 미국 EIA 보고서는 많은 잠재적 매장량의 경제적 생존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의 영토 분쟁
| |||
---|---|---|---|
종류 | 지역 | 실질적 지배 | 분쟁 국가 |
내륙 | 중국 대륙과 부속 영토 | ||
악사이친 | 2 | ||
남티베트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일부) | 2 | ||
백두산 | |||
헤이샤쯔/볼쇼이우수리스키섬 동쪽 구역2 | 2 | ||
인도-방글라데시 월경지 | |||
간도 | 2 | ||
잠무 카슈미르 | |||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 |||
카친주 (장신포) | 1 2 | ||
카인주 | 1 | ||
한반도와 부속 영토 | |||
파미르고원3 | |||
빠따니주 | 1 | ||
북보르네오3 (사바주) | 1 2 | ||
샨주 | 1 | ||
티베트 (남티베트 제외) | 1 2 | ||
강동육십사둔2 | |||
탕누 우량하이2 | |||
카라코람 회랑 | 2 | ||
도서 | |||
타이완 (타이완 지구) | |||
중사 군도3 (메이클즈필드 천퇴·스카버러 암초) | |||
파라셀 제도3 | |||
녹둔도 | |||
페드라브랑카섬 | |||
함박도 | |||
독도 | 2 | ||
둥사 군도 | |||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및 부속 도서3 | |||
이어도 | 2 | ||
남쿠릴 열도 | |||
스프래틀리 군도3 | |||
1망명 정부 2활동적으로 주장하고 있지 않음 3셋 이상의 국가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 4수몰되어 섬이 소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