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via proxy:   [ UP ]  
[Report a bug]   [Manage cookies]                
본문으로 이동

장음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음계

장음계(長音階, 영어: major scale) 또는 아이오니안 모드는 음계의 하나로 자연 음계에서 제 3~4음과 7~8음이 반음온음계이다. 다음은 가령 다장조자연장음계를 나타낸 것이다.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time 7/4 c^"다장조 자연장음계(自然長音階)" d e f g a b c b a g f e d c2
} }

크게 자연 장음계(natural major scale), 화성 장음계(harmonic major scale), 가락 장음계(melodic major scale)로 나뉜다.

장음계를 사용하는 조성은 '장조 (major key)'라고 한다.

종류

[편집]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time 7/4 c^"다장조 자연장음계"d e f g a b c b a g f e d c2
} }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time 7/4 c^"다장조 화성장음계"d e f g aes b c b aes g f e d c2
} }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time 7/4 c^"다장조 가락장음계"d e f g aes bes c bes aes g f e d c2
} }

구조

[편집]
장조의 온음과 반음의 패턴

장조는 장2도 또는 온음을 사이에 둔 두개의 동일한 테트라코드로 보인다. 즉, 온음, 온음, 반음, 온음, 온음, 온음, 반음 순으로 진행된다. 각 테트라코드는 두 개의 온음과 뒤이어 오는 반음으로 구성된다. 서양의 음계는 오선지 상에 줄이나 공백을 남기지 않으며, 임시표가 붙은 음을 반복하지 않는다.

오도권(The circle of fifths)

[편집]

오도권요한 다비트 하이니헨이 1728년에 최초로 그의 책 Der General-bass에서 도입했으며, 키(key)들 사이의 상대적인 음정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왔다.[1]

원 안의 수는 어떠한 조표내림표, 올림표의 개수를 나타낸다. 내림표나 올림표가 없는 다장조(C major)에서 시작하여, 내림표계 조성은 반시계방향으로, 올림표계 조성은 시계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원의 배치에서 이명동조 관계를 볼 수 있다. 각각 6개의 내림표, 올림표가 붙을 경우, 장조로는 내림사장조올림바장조가 서로 이명동조 관계가 된다.[1]

참고 문헌

[편집]
  1. Drabkin, William. 2001. "Circle of Fifth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Publishers.